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시시하게 2024.8.4.해.



시시하게 볼 수 있어. 하는 짓이 시시한걸. 시답잖게 느낄 수 있어. 하는 말이 영 시답잖으니까. 그런데 네가 누구를 시시하거나 시답잖게 보거나 느낄 적에 곰곰이 짚으렴. 왜 너는 시시한 꼴이나 시답잖은 짓을 보거나 느낄까? 네가 바란 삶이 네 눈앞에 드러나게 마련이야. 네가 바라는 삶은 네가 배워야 할 삶이란다. 시시한 사람을 스치기에 ‘시시하다’를 알아본단다. 너는 눈앞에서 ‘시시한’ 짓을 보기 때문에, 어느 날 너 스스로 시시한 짓을 똑같이 할 수 있고, “이런 시시한 짓이 사람을 어떻게 망가뜨리는가?” 하고 느끼고 새기면서 “나는 삶을 어떻게 그려서 나아가야 하는가?”를 새롭게 돌아볼 수 있어. 심심해 보이기에, 이럴 때에 이렇게 심심하다고 배워. 시시해 보이기에, 이럴 때마다 이 시시한 빛이 아닌, 구름그늘이나 나무그늘을 드리우려고 마음을 기울여. 시시한 누구를 만나면, 어떤 모습·길·일·말이 시시한 줄 느껴서 배울 수 있어. 네가 가난하기에, 가난한 나를 가꾸면서 가난한 이웃하고 손잡고 걸어갈 길을 그릴 수 있단다. 시시한 모두가 거울 노릇이야. 시시한 하루가 너를 일깨워. “시시한 사람이 되지 말아야겠다”가 아닌, “아름답게 살아가는 오늘을 그리자”라는 마음으로 일어서지. 누가 언제 왜 시시한지 들여다보렴. 네 이웃과 한집이 왜 시시한 굴레에 있는지 알아보고서, 네가 그리는 길이 어떤 실타래이고 실마리인지 눈여겨봐. 그냥 시큰둥하거나 마냥 싫어서 등돌리지는 마. 속으로 스며들어서 네 싱그러운 마음을 그득히 펴렴. 시원하게 열어서 하나씩 가다듬어 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