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월간 토마토> 2024년 4월호에 실었다


..


손바닥만큼 우리말 노래 10


곧 잎빛이 푸른 철이 온다. 겨우내 잠든 잎망울이 깨어나라며 잎샘바람이 분다. ‘잎샘’은 잎이 돋는 봄을 시샘하는 듯한 바람이라 여길 수 있으면서, 잎이 샘솟도록 북돋우는 바람이라 여길 수 있다. 수수한 사람을 들풀이나 풀잎에 빗대곤 하는데, 나뭇잎이며 잎으로 빗대어도 어울린다. 나무를 이루는 잎처럼, 푸른숨을 베푸는 잎처럼, 푸른봄을 기다린다.



잎빛

꽃은 꽃빛이고 풀은 풀빛이나. 하늘은 하늘빛이고 바람은 바람빛이다. 모든 곳에는 빛이 있으니, 모래빛도 흙빛도 다르고, 눈빛도 물빛도 새롭다. 풀과 나무는 ‘풀잎’하고 ‘꽃잎’을 내놓는다. 푸른 ‘잎빛’에 고운 ‘잎빛’이 있다. 풀빛과 매한가지로 잎빛이란 수수하면서 맑고 밝은 넋을 나타낸다. 풀빛이며 잎빛을 그리기에 아름다운 길로 걸어갈 만하다.


잎빛 (잎 + 빛) : 1. 잎에서 나는 빛·빛깔. 싱그러운 나뭇잎이나 풀잎이 띠는 빛·빛깔. (← 초록草綠, 초록색·초색草色, 녹색, 그린, 연두軟豆, 연두색,연둣빛, 식물, 녹색식물) 2. 해바람비를 머금으면서 싱그러운 풀잎·나뭇잎처럼 반짝이면서 맑고 밝게 퍼지는 빛이나 기운이나 결. (← 신록, 녹음綠陰, 녹음방초, 대자연, 천지자연, 생태, 자연, 천연, 녹색성장) 3. 나라·삶터·마을을 이루는 모든 사람이나 숨결. 나라·삶터·마을에서 바탕으로 있고, 높거나 낮지 않으며, 서로 어깨동무를 하면서 뜻·생각·마음을 나누고, 스스로 이 터전에 뿌리를 내리면서 맑고 밝게 살아가는 사람이나 숨결. (← 국민, 백성. 백인百人, 민중, 민초, 양민, 중생衆生, 인민, 서민, 시민, 대중) 4. 나라에 깃든 사람으로서 으뜸길(헌법)을 함께 따르고, 제몫(권리·의무)을 누리면서, 스스로 삶을 짓고 꿈을 펴고 생각을 나누면서 살아가는 사람. (← 국민)



오솔바다

좁고 길게 난 길이라 ‘오솔길’이다. 으레 숲에 난 좁으면서 호젓한 길을 가리키는데, 큰고장 골목길도 오솔길로 여길 만하다. 뭍 사이에 난 바닷길이라면 ‘오솔바다’로 가리킬 수 있다. ‘옹송그리다·옹크리다’는 조그맣게 움직이는 결이다. 조그맣게 패인 듯한 곳에서 솟기에 ‘옹달샘’이다. 조그맣게 뭉치듯 가까이 모여서 포근하게 이루는 사이라서 ‘오순도순’이다.


오솔바다 (오솔 + 바다) : 뭍 사이에 좁고 길게 있는 바다. 난바다를 잇는데, 뭍 사이로 좁고 길게 잇는 바다. (= 쪽바다·목·길목 ← 해협)

오솔길 (오솔 + 길) : 한 줄로 다닐 만큼 좁으면서, 조용하거나 아무도 없어 외롭다고 느끼는 길.



옷나래

예부터 “옷이 날개”라는 말이 있다. 옷을 갖춘 모습으로 달라 보일 수 있다고 여긴다. 어떤 차림새여도 아랑곳하지 않으면서 속빛을 읽을 수 있고, 새롭게 차리면서 힘을 낼 수 있다. 옷이 날개나 나래가 된다면, 옷이 꽃이 될 만하리라. 옷으로 드러내는 멋이나 맵시가 있고, 마음멋이나 마음꽃이나 마음날개를 펼 수 있다.


옷나래 (옷 + 나래) : 옷이 나래·날개. 나래·날개 같거나, 나래·날개를 단 듯한 옷이나 옷차림. 겉으로 보거나 느끼는 옷이나 모습. 옷으로 꾸미거나 차리거나 보여주는 모습. 틀에 가두거나 갇히지 않고서, 마음껏 입거나 즐기거나 누리는 옷. (= 옷날개·옷멋·옷맵시·옷꽃·옷이 나래·옷이 날개. ← 패션, 핏fit, 복식服飾, 복장服裝, 의관衣冠, 인상착의, 코디coordination, 외적外的, 외부, 외면外面, 외관, 외모, 외양外樣, 외장, 외형, 외견, 코스프레コス-プレ, 교복자율화, 자유복)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