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4.3.8.

오늘말. 해롱


왜 이렇게 엉터리 같느냐고 핀잔을 하면 고개를 넙죽 숙입니다. 받아들여야지요. 엉클어진 모습을 뉘우치고, 어그러진 자리를 되새깁니다. 자꾸 엇가락이라며 나무라면 꾸벅 절을 합니다. 해롱거리건 메롱거리건 우리 몸짓입니다. 아직 앞뒤가 안 맞아 어설픈데다가 저지레가 잇달더라도 차근차근 보듬습니다. 새로 여미고 다시 끌러서 하나씩 건사합니다. 일을 그르칠 적마다 옛날 옛적을 떠올립니다. 목을 가누던 아기 무렵을 그리고, 아장아장 걸음을 떼던 하루를 곱씹어요. 넘어지기에 울기보다는, 넘어지니까 다릿심을 기르려고 용쓰던 어린 나날을 생각해요. 맞지 않으니 고칩니다. 알맞지 않으니 손봅니다. 헛발을 일삼은 나를 끌어안습니다. 허탕을 치는 너를 보살핍니다. 어제까지만 사달이 아닌, 오늘도 영 말썽이라면, 남들보다 우리 스스로 섭섭하고 아파요. 다시금 꿈을 그려서 품고, 거듭거듭 별빛을 모시면서, 이튿날부터 펼칠 이야기를 가다듬습니다. 또 틀린다면 또 쓰다듬어야지요. 자꾸 틀어지면 지며리 어루만져요. 솜씨가 모자라서 일을 맡기 어렵다고 하니, 더욱 갈닦습니다. 한 손에는 땀방울을 놓습니다. 다른 손에는 노래를 둡니다.


ㅅㄴㄹ


놓다·두다·품다·모시다·보듬다·보살피다·받다·받아들이다·받아주다·맡다·건사하다·맞다·맞아들이다·묶다·가두다·여미다·끌다·끌어가다·끌어내다·끌어안다·끌어오다·끌어들이다 ← 유치(留置)


곱새기다·넘겨짚다·스스럽다·그르치다·그릇·그릇되다·그릇하다·글잘못·말잘못·말썽·말썽거리·사달·잘못·저지레·맞지 않다·안 맞다 1·알맞지 않다·올바르지 않다·앞뒤 안 맞다·앞뒤 다르다·앞뒤 어긋나다·옳지 않다·안 옳다·잘못 알다·잘못 보다·어그러지다·어긋나다·메롱·메롱거리다·해롱·해롱거리다·엇가락·엇나가다·엇가다·엇말·엉클다·엉뚱하다·엉터리·헝클다·틀리다·틀어지다·허방·허튼·헛것·헛발·헛물·헛속·여기다 ← 오해(誤解)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