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깨어나는 눈 (2022.6.20.)
― 서울 〈서울책보고〉
우리는 두 가지 몸을 입습니다. 사람도 암수요, 풀꽃나무도 암수요, 짐승도 암수요, 벌나비도 암수요, 고래도 헤엄이도 암수입니다. 처음에는 수(돌이)가 태어났고, 이윽고 암(순이)이 태어났다고 합니다. 암이 먼저 태어나지 않았으나, 우리말에서는 ‘암수’처럼 순이를 앞에 놓습니다. ‘어버이’라는 낱말도 ‘어머니(순이)’가 앞입니다. ‘가시버시’라는 낱말도 ‘가시내(갓)’이 앞이에요.
처음에 태어난 ‘수(돌이)’는 덜 깨어난, 또는 아직 깨어나지 않은 숨결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처음 지은 사람인 수였으나 덜 깨어나거나 아직 깨어나지 않은 탓에 마음을 열 줄 모르고, 마음을 틔울 줄 모르며, 마음을 닦을 줄 몰랐다지요. 이리하여 이 수(돌이)를 바탕으로 ‘다르지만 닮아서 닿도록’ 빚은 몸인 사람이 ‘암(순이)’이라고 합니다.
얼핏 보면 먼저 태어난 수가 앞인 듯싶으나, 그저 먼저 태어났을 뿐, ‘깨어나지 못 한 마음’이요, 나중에 태어난 암은 뒤라고 하지만 늦게 태어났어도 ‘깨어난 마음’입니다. 그래서, 몸나이로 앞뒤를 가르지 않고 마음빛으로 앞뒤를 살펴 ‘암수’로 쓰는구나 싶어요.
태어날 적에 스스로 깨어난 빛인 암인 터라 구태여 다른 데에서 빛을 안 찾습니다. 이와 달리, 태어날 적에 스스로 안 깨어나거나 덜 깨어난 수인 터라 스스로 밝히려 하기보다는 바깥(남)에서 빛을 찾으려고 합니다. 짝을 맺을 적에 수(돌이)가 그렇게 뽐내거나 자랑하거나 내세우면서 무지갯빛으로 꾸미는 뜻을 읽을 만해요.
암수에서 ‘수’는 ‘수수함·숲·수월함’을 품을 만했는데, 막상 수컷은 수수한 숲으로 수월하게 피어나는 숨빛하고 동떨어졌어요. 이와 달리 암컷은 스스로 알고 스스로 앞장서면서 살림을 짓는 슬기롭고 사랑스러운 빛으로 알찬 삶으로 나아갑니다. 사람이 모여 마을을 이룬 첫자리가 ‘엄마누리(모계사회)’일 만합니다.
서울마실을 하며 〈서울책보고〉로 찾아갑니다. 즐거이 책숲마실을 할 헌책집을 두 곳 이야기하는 날입니다. 일찌감치 잠실나루에 닿아 책시렁을 돌아봅니다. 돌이(수컷)란 몸을 입고 태어났기에 덜 깨어난 마음을 살찌울 책을 하나둘 헤아립니다. 돌이는 참말로 바지런히 읽고 쓸 노릇입니다. 돌처럼 딱딱한 머리랑 마음을 깨뜨려야 깨어날 테니까요. 이와 달리 순이는 굳이 글이나 책에 기대지 않고서 마음빛을 돌아보면 언제 어디에서나 어질고 슬기로운 눈망울로 살피겠지요.
글로만 적는 이야기로는 어느 마음도 깨울 수 없습니다. 숲을 수수하게 품으며 푸르게 살리려는 이야기일 적에 마음을 깨웁니다. 머슴으로 머물지 않으려고 하루를 읽고 바람을 노래하고 별빛을 보듬습니다.
ㅅㄴㄹ
《제3세계의 이해》(변형윤·박현채·사무엘 팔머 외, 형성사, 1979.2.첫/1990.7.25.중판)
《경주 속담·말 사전》(김주석·최명옥, 한국문화사, 2001.6.15.)
《영리한 공주》(다이애나 콜즈 글·로스 아스키스 그림/공경희 옮김, 비룡소, 2002.4.24.)
《일본의 소출판》(와타나베 미치코/김광석 옮김, 신한미디어, 2000.6.25.)
《현대 출판학 원론》(박유봉·채백, 보성사, 1989.4.15.첫/1992.10.15.4벌)
《전통무용 1호》(최종실·최석실 엮음, 월간 전통무용, 1987.11.1.)
《남북한 청소년 말모이》(정도상·박일환 글, 홍화정 그림, 창비교육, 2020.7.30.)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왜 왔읍니까?》(지학순, 뿌리깊은나무, 1984.4.2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03/pimg_7051751243768913.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03/pimg_705175124376891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03/pimg_705175124376891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03/pimg_705175124376891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03/pimg_705175124376891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03/pimg_7051751243768918.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03/pimg_705175124376892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03/pimg_7051751243768922.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03/pimg_7051751243768923.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03/pimg_705175124376892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03/pimg_705175124376892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303/pimg_705175124376892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