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소수자 少數者
수자의 권익 보호 → 작은이 자리 지키기
소수자의 이익을 짓밟아서는 안 된다 → 어린씨 몫을 짓밟아서는 안 된다
소수자가 다수의 의견을 분석·비판할 수 있다 → 작은소리가 큰소리를 따질 수 있다
‘소수자(少數者)’는 “적은 수의 사람”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낮다·작다·적다·조그맣다’나 ‘낮은소리·작은소리’로 고쳐씁니다. ‘작은겨레·작은길·작은힘·작은돌·조약돌’이나 ‘작은이·작은님·작은벗·작은사람·작은이웃’이나 ‘작은별·작은빛·작은숲·작은풀·작은꽃’이나 ‘작은모임·작은무리·작은판·작은자리·작은나무’로 고쳐써도 됩니다. “거의 없다·몇 없다·보기 드물다·얼마 없다”로 고쳐쓸 만하고, ‘몇·몇 가지·몇뜻·몇몇·몇힘’이나 ‘뒤·뒤쪽·뒤켠·뒷자리·뒷칸·뒷자락’이나 ‘어린이·어린님·어린씨·여린이’로 고쳐써도 어울려요. ‘뜸하다·초라하다·한 줌·한 주먹’이나 ‘눈곱·콩·콩알·티·티끌’이나 ‘꼬마나라·꼬마누리·여린나라·여린누리·작은나라·작은누리’로 고쳐써도 되고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소수자’를 둘 더 싣는데 모두 털어냅니다. ㅅㄴㄹ
소수자(小?子) : 더벅머리를 한 어린아이 = 소수
소수자(蘇穗煮) : 덜 여문 차조기 열매의 송이를 찹쌀 풀을 묻혀 말려서, 기름에 튀겨 만든 반찬 = 차조기보숭이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폭력
→ 어린이와 작은이한테 막짓
→ 여린님과 작은님한테 주먹
《아시아의 낯선 희망들》(이유경, 인물과사상사, 2007) 173쪽
성소수자들은 동거하면서 함께 살아가더라도 제도적으로 그 관계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 나란짝은 함께 살아가더라도 나라에서 이 틀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 나란짝꿍은 한집에서 함께 살더라도 둘레에서 이 살림을 헤아리지 않습니다
《숨통이 트인다》(황윤과 열 사람, 포도밭, 2015) 125쪽
거의 소수자가 되어 있는 상태예요
→ 거의 뒤켠이에요
→ 거의 뒷자리예요
→ 거의 뒤예요
→ 아주 초라해요
→ 아주 낮아요
《대학은 누구의 것인가》(채효정, 교육공동체 벗, 2017) 98쪽
세상의 거의 모든 변화는 소수자나 약자들이 기존의 주류 질서와 가치에 의문을 던지고 이것을 행동으로 옮기는 데서 시작되었습니다
→ 온누리는 작고 여린 사람들이 낡은 틀과 굴레에 고개를 갸우뚱하고 움직이면서 바꾸어 왔습니다
→ 이 땅은 낮고 힘없는 이들이 고리타분한 틀과 굴레를 따지고 일어서면서 고쳐 왔습니다
《크다! 작다!》(장성익, 분홍고래, 2018) 108쪽
저는 여성이자 성소수자인데 제 인권을 반으로 가를 수 있습니까
→ 저는 순이이자 무지개사랑인데 제 삶결을 뚝 가를 수 있습니까
《호시절》(김현, 창비, 2020) 149쪽
겨우 안면이 있는 누군가가 저더러 소수자가 아니시냐 물은 적이
→ 겨우 얼굴 아는 누가 저더러 작은이가 아니시냐 물은 적이
→ 겨우 아는 누가 저더러 작은이가 아니시냐 물은 적이
《고양이 게스트하우스 한국어》(권창섭, 창비, 2021) 23쪽
지금은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소수자를 희생시키는 방식을 인정하지 않아요
→ 이제는 바른길을 이룬다며 작은꽃을 바치는 짓을 받아들이지 않아요
→ 오늘날은 옳은뜻을 편다며 어린이를 내모는 일을 받아주지 않아요
《10대와 통하는 법과 재판 이야기》(이지현, 철수와영희, 2021) 1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