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빛/숲노래 우리말 2022.10.1.

오늘말. 사람결


어느 만큼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싶기에 짝을 찾아서 붙어 봅니다. 나한테 맞추어 주는 짝꿍하고 움직이면서 발걸음이며 몸놀림을 차근차근 되새깁니다. 곁에서 도와주는 손길이란 따뜻하지요. 푸근히 퍼지는 사람결을 누리면서 한결 새롭게 맛보고 느끼고 배웁니다. 어렵게 해야 잘 배우지 않습니다. 얼마든지 가볍게 배울 만합니다. 가시밭길을 거쳐야 잘 배우지 않아요. 대단하지 않아도 이바지하고, 흔하더라도 돕습니다. 우리는 서로 꽃 한 송이로 만나고 별빛 한 줄기로 마주하면서 너그러이 토닥이고 감쌉니다. 과일 한 알을 나누듯 과즐 하나를 조각내어 노늡니다. 콩 석 톨을 심어서 사람이랑 새랑 풀벌레가 함께 즐기듯, 사람살이에서도 숲살이에서도 어깨동무로 따스한 나날이에요. 훌륭하거나 빼어난 재주가 없어도 넉넉합니다. 수수한 손길에 수월히 오가는 마음으로 이웃사랑을 폅니다. 어느 사람길이건 꽃길일 만합니다. 어느 들길이건 푸른길일 만하고요. 곱게 흩날리는 꽃씨를 바라봅니다. 아름답게 흐르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가뿐하게 한 발 두 발 내딛어요. 거뜬하게 한 손 두 손 거듭니다. 참하게 가꾸고, 참되게 돌아봅니다.


ㅅㄴㄹ


맛보기·익힘짝·배움짝·짝·짝꿍·짝지 ← 연습상대


사람·사람길·사람답다·사람결·사람됨·사람꽃·사람빛·곱다·너그럽다·아름답다·따뜻하다·따사롭다·따스하다·포근하다·푸근하다·참되다·참하다·착하다·서로돕기·어깨동무·이웃사랑·돕다·도와주다·이바지 ← 인도(人道) 2, 인도적(人道的), 인도주의, 인도주의적


과줄·가볍다·가뿐하다·거뜬하다·쉽다·수월하다·안 어렵다·아무렇지 않다·만만하다·대수롭지 않다·대단하지 않다·흔하다 ← 약과(藥果)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