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빛/숲노래 우리말 2022.7.7.
오늘말. 섬찟
잘 안 되는구나 싶어 고단할 때가 있다면, 잘 되는구나 싶으나 고달픈 때가 있습니다. 한여름이라 더워서 힘들다고 할 만하다면, 한겨울이라 추우니 괴롭다고 할 만합니다. 아이들하고 한여름 뙤약볕을 받으며 걷다가 속삭입니다. “우리 마음이 얼음장처럼 차가우면 한여름이어도 춥단다. 우리 마음이 모든 열매를 무르익도록 북돋우는 해님을 품는 따사로운 빛이라면, 이 여름은 너무 더워 버거운 하루가 아닌, 알맞게 자라고 싱그럽게 바람이 찾아드는 길이야.” 누가 억누르기에 들볶이기도 하지만, 따로 짓누르거나 밟는 사람이 없어도 스스로 가시밭길일 수 있습니다. 늘 마음에 따라 다른 하루라고 느껴요. 그놈들 등쌀에 애먹을까요? 저놈들 서슬에 소름이 돋나요? 이놈들 무쇠낯 탓에 섬찟하면서 벅찬 나날인가요? 못된 녀석을 굳이 봐주어야 하지는 않아요. 다만, 모질고 맵찬 녀석이 아닌, 우리랑 그들을 잇는 길에 드리우는 빛줄기를 보기를 바라요. 해는 누구한테나 비추어요. 바람은 어디에나 불어요. 비는 가리는 곳이 없어요. 꽃도 이와 같지요. 언제나 스스로 사랑을 지피는 마음결로 하루를 그리면서 모든 겨울을 사르르 녹여 아우를 만합니다.
고단하다·고달프다·끔찍하다·힘겹다·힘들다·괴롭히다·괴롭힘질·괴롭힘짓·못살게 굴다·들볶다·겨울·얼음·얼음장·차갑다·차다·추위·날서다·서늘하다·시리다·싸늘하다·쌀쌀맞다·호되다·가시·가시밭·가시밭길·가싯길·너무하다·되게·되우·된통·등쌀·서슬·섬찟·소름·칼같다·흠씬·매몰차다·매섭다·매운맛·맵다·맵차다·모질다·쑤시다·애먹이다·째다·무쇠낯·무쇠탈·무시무시하다·쇠낯·쇠탈·버겁다·벅차다·빠듯하다·뻐근하다·뼈빠지다·볶다·볶아대다·볶아치다·봐주지 않다·안 봐주다·누르다·짓누르다·억누르다·밟다·짓밟다·짓이기다·짓뭉개다 ← 가혹(苛酷)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