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6.14.
《생물다양성과 황해》
최영래·장용창 글, 지성사, 2010.12.30.
비는 멎는가. 가만히 하늘을 본다. 숲노래 책숲 꽃종이(소식지)를 손으로 그린다. 손글씨로 척척 이야기를 여민다. 셈틀을 켜서 판을 짜도 즐겁고, 흰종이에 깜냥껏 금을 긋고 글씨를 넣어도 즐겁다. 여름 한복판으로 다가서지만 선선한 하루이다. 글손질이란 무엇일까. 글쓰기란 또 무엇인가. 우리나라처럼 “사회생활을 하려면 이런 말은 알아야지?” 하면서 어린이를 얕보거나 깔보는 데가 있을까? 우리나라 아이들은 숱한 어른들이 그냥 쓰거나 함부로 굴리는 갖은 일본말·일본 한자말·일본 영어에다가, 영어·옮김말씨에다가, 중국 한자말·사자성어에 갇혀서 헐떡거린다. 우리한테 우리말이 있으면 우리말을 쓰면 될 노릇이고, 다른 모든 바깥말(외국어)은 바깥말로 제대로 배울 노릇일 텐데. 《생물다양성과 황해》를 읽었다. ‘황해’로 쓴 대목은 반가우나 ‘생물다양성’ 같은 일본스런 말씨를 우리말로 못 옮기나? 생각이 없나? 이름에 매달리면 ‘주의자’가 되고 ‘팬덤’에 갇힌다. 스스로 새롭게 눈뜨지 않으면 삶을 잊고 살림을 등지다가 사랑을 밟고 만다. 말뜻을 옳게 짚는 어른이 되어야 할 테고, ‘주의자·팬덤’이 아닌 어질며 밝은 ‘사랑님’으로 오늘을 살아가며 아이들을 아름다이 품을 줄 아는 숲빛으로 나아가야지 싶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