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살다 1

고등학교 1학년이던 무렵 시라고 하는 글을 쓰고 싶었으나 가르칠 만한 어른을 만나지 못했다.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나온 시를 읽고, 헌책집에 찾아가 오래된 시를 찾아서 읽고, 새책집에 나들이를 해서 새로 나온 시를 살펴서 읽는다. 누가 가르치지 않으니, 또 배울 만한 어른이 없으니 그저 다른 시나 시집을 찾아 읽으면서 스스로 생각한다. 마음에 와닿는 시는 쉽게 알아보았다. 시를 쓴 사람이 그분 삶을 스스로 생각하면서 그분 말씨대로 쓴 시가 마음에 와닿는다. 그분 삶이 아닌 딴 사람 삶을 어깨너머로 구경하면서 쓴 시는 마음에 안 와닿는다. 멋을 부리려고 한자를 집어넣거나 영어를 섞는 시도 마음에 안 와닿는다. 아이들한테 아양을 떨듯 말장난을 하는 동시도 마음에 안 와닿는다. 마치 어른끼리 다 안다는듯 어린이를 내려다보는 동시도 마음에 안 와닿는다. 그렇구나. 잘나든 못나든 내가 살아가는 대로 쓸 노릇이구나. 내가 살지 않는 모습을 쓰려니 꾸며야 하고, 내가 사는 모습을 고스란히 쓰니 꾸밀 일이 없다. 내가 살지 않는 모습을 쓰려니 맞춤법이나 띄어쓰기 같은 겉모습에 마음을 빼앗기고, 내가 사는 모습을 그대로 쓰니 맞춤법이나 띄어쓰기가 틀린 글이어도 마음을 찡하게 사로잡는구나. 저잣거리 아재나 할매가 투박하게 흘려쓴, 이러면서 맞춤법도 띄어쓰기도 틀린, 이녁 바구니 앞에 놓은 수수한 글씨야말로 시요 노래요 고운 글이다. 1995.11.17.


글을 살다 2

살아가는 터전에서 글을 쓴다. 살아가는 사람하고 글을 쓴다. 살아가는 보금자리에서 내가 하는 일과 내가 꾸리는 살림을 글로 쓴다. 살아가는 사람하고 어울리는 나날을 글로 쓴다. 시골집에서 살아가는 나는 시골집 시골다움을 글로 담는다. 시골집에서 네 사람 짐을 꾸려 먼 마실을 나와 새 보금자리를 찾는 동안, 시골집 아닌 길손집에서 묵는다. 길손집에서 묵는 내내 귀로 들리는 소리는 자동차랑 텔레비전 울리는 소리와 에어컨이나 냉장고나 정수기가 전기를 먹으며 끄르릉 끓는 소리. 우리 넷이 지난 한 해를 살아온 시골집은 텅 비었을 테지만, 시골집 둘레로 갖은 풀벌레가 새벽부터 밤까지 고즈넉히 울겠지. 귀를 기울이자. 마음을 열며 귀를 기울이자. 읍내 길손집에서 묵을지라도 냉장고 꼬르륵 소리에 묻히는 저 먼 멧골자락 풀벌레 울음소리에 귀를 기울이자. 마음을 열면 이 소리를 고즈넉히 들을 수 있으리라. 마음을 열지 못하면 길가 풀섶 작은 풀벌레 소리조차 못 들으리라. 나는 내가 먹는 밥과 내가 입는 옷과 내가 자는 보금자리 기운을 하나하나 받아들이면서 글을 쓴다. 나는 내가 딛는 땅과 내가 마주하는 살붙이와 내가 사랑하는 하늘땅을 고스란히 맞아들이면서 글을 쓴다. 내 글은 내 사랑이어야 한다. 내 글은 내 삶이어야 한다. 내 글은 내 눈물과 웃음이어야 한다. 2011.9.27.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