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인권이다
이건범 지음 / 피어나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책시렁 42


《언어는 인권이다》

 이건범

 피어나

 2017.9.15.



사전과 법률, 공문서에만 등장하는 어려운 한자어들, 그리고 각종 광고와 상품 이름, 사용 설명서에 실린 영어 낱말은 고등학교를 나온 일반인조차 문장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된다. 국민의 알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것이다. (41쪽)


새말을 표준어로 정하여 사전에 올릴 것이냐 말 것이냐도 국가에서 정하는 일이 아니라 민간의 사전 편찬자들 몫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한글학회 등 민간 학술단체와 학자들이 맡던 이 일이 1980년대부터 국가 주도로 기울었고, 1990년대부터는 국립국어원으로 거의 모든 권한이 옮아갔다. (78쪽)


일제 잔재를 제대로 청산하지 못한 역사에 비춰볼 때 국한문 혼용과 실용파의 득세는 당연했다. (170쪽)


국어심의위원회에서 외래어 여부를 심의하여 결정해야 하는데, 1990년대 이래 단 한 번도 외래어를 심의한 적이 없다는 답이 돌아왔다. 즉 영어가 물밀 듯이 밀려 들어와 한국어의 자리를 빼앗던 그 20여 년의 세월 동안 외래어와 외국어를 가르는 어떠한 책임 있는 사회적 결정도 없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센터’라는 말은 왜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갔단 말인가? (218쪽)



  요 몇 해 사이에 인권 강의하고 인권을 다루는 책이 꾸준히 늘어납니다. 이런 인권 이야기를 보면 빠진 대목이 늘 한 가지 있지 싶습니다. 바로 ‘말’입니다. 인권을 거스르거나 인권하고 엇나가는 말이란 무엇인가 하는 이야기를 아직 제대로 못 짚거나 못 다루지 싶습니다.


  공문서를 비롯해 인문책에 어렵게 나오거나 딱딱한 일본 한자말이나 영어도 ‘인권을 등지는’ 모습입니다. ‘어려운 말’이나 ‘외국말을 그냥 쓰는 말버릇’이나 ‘한자를 드러내어 자랑하거나 사자성어를 함부로 쓰는 말씨’로 인문 지식을 펴거나 정치나 문화나 예술을 하는 일도 민주나 평등하고 어긋난다고 할 만합니다. 일제강점기 찌꺼기를 터느냐 마느냐 하는 대목을 떠나서, 우리가 참답고 슬기로우며 아름답게 민주와 평등과 평화를 누리려는 길에 어떤 말을 어떻게 쓰면 즐거울까를 이제부터 헤아려야지 싶습니다.


  《언어는 인권이다》(이건범, 피어나, 2017)는 말, 우리가 여느 때에 쓰는 말이 바로 인권을 보여주는 잣대라는 이야기를 찬찬히 짚습니다. 공문서뿐 아니라 인문학자나 지식인이 어렵게 쓰면서 지식을 자랑하는 말이야말로 ‘반인권’인 모습이라고 짚습니다. 그리고 국립국어원이 마치 독재처럼 한국말을 쥐락펴락하거나 주무르는 대목을 나무랍니다.


  가만히 돌아보면, 아이 앞에서 아이가 알아듣기 어려운 말을 섣불리 쓰는 어른도 인권하고 어긋난 일이라 할 만합니다. 아이를 둘러싼 마을이나 터전에서 어른들이 거친 말씨나 막말을 쓰는 모습도 인권을 등진 일이라 할 만해요. 아이들이 거친 말씨나 막말을 쓴다면, 바로 어른한테서 배우기 때문이에요. 어른들이 찍은 영화나 연속극에서 듣고 배우기 때문이고요.


  앞으로는 인권 교육에서 말을 더 깊이 살피면 좋겠습니다. 어른으로서 어린이나 푸름이 앞에서 어려운 말이나 거친 말을 쓰지는 않는지, 교과서나 문학이나 인문책에 여느 사람들이 알아듣거나 읽기 어려운 말을 섞지는 않았는지 곰곰이 돌아볼 노릇이라고 봅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