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묘 猫
반려묘 → 집고양이 / 한집냥이 / 벗냥이
유기묘 → 버림냥 / 길냥 / 길고양이
토종묘 → 텃고양이 / 텃냥이
애묘 → 사랑냥이 / 사랑고양이 / 귀염냥
성묘 → 어른고양이 / 큰고양이 / 어른냥
‘묘(猫)’는 따로 사전에 없습니다. 고양이를 가리키는 외마디 한자말인데, ‘고양이’라 하면 되고, 줄여서 ‘냥이·냥’이나 ‘나비’를 쓸 만합니다. ㅅㄴㄹ
미나 씨가 얼마나 미인(미묘美猫)인데!
→ 미나 씨가 얼마나 이쁜냥인데!
→ 미나 씨가 얼마나 아름냥인데!
《내 친구의 그림일기 3》(아비코 미와/최미애 옮김, 대원씨아이, 2001) 103쪽
미식묘용 캣푸드
→ 맛고양이 밥
→ 고양이 맛밥
→ 맛지기 고양이밥
→ 맛을 아는 고양이밥
《달님은 알고 있을지도 몰라》(아사쿠라 세카이이치/오주원 옮김. 중앙북스, 2010) 54쪽
유기묘도 괜찮다
→ 어미 잃은 고양이도 좋다
→ 버려진 고양이도 좋다
→ 길냥이도 좋다
《곳간이 있는 집》(하츠 아키코/한나리 옮김, 시공사, 2015) 76쪽
부여에서 데려온 완전 토종묘예요
→ 부여에서 데려온 참말 텃고양이예요
→ 부여에서 데려온 참말 텃냥이예요
《오늘은 홍차》(김줄·최예선, 모요사, 2017) 217쪽
애묘 꼬마의 죽음
→ 사랑하던 고양이 꼬마가 죽다
→ 아끼던 고양이 꼬마가 죽다
→ 귀염냥 꼬마가 죽음
→ 아낌냥 꼬마가 죽음
《고양이를 쓰다》(나쓰메 소세키 외 글/박성민·송승현 옮김, 시와서, 2018) 66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