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론 - 니체, 마르크스, 비트겐슈타인, 프로이트의 신체적 유물론
테리 이글턴 지음, 전대호 옮김 / 갈마바람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으로 삶읽기 367


《유물론》

 테리 이글턴

 전대호 옮김

 갈마바람

 2018.9.15.



우리 문화와 사뭇 다른 어떤 문화의 언어를 우리가 배우려 한다고 상상해 보자. 우리는 그 문화의 구성원들이 어떻게 요리하고 농담하고 숭배하고 옷을 꿰매고 범법자를 처벌하는지 등을 관찰할 것이며, 그러면서 그들의 말하기 형태들이 이 활동들과 관련되어 있는 한에서 그 형태들을 이해할 단서를 발견할 것이다. (187쪽)



《유물론》(테리 이글턴/전대호 옮김, 갈마바람, 2018)을 읽고 난 뒤 끙끙 앓았다. 수요일에 한 가지를 잘못 먹고 나서 사흘 동안 물 한 방울 입에 댈 수 없을 만큼 드러누웠고, 나흘째에 비로소 물도 밥도 먹을 수 있었지만 몸이 깨어나기까지 꽤 벅찼다. 앓는 소리를 내며 꼼짝할 수 없는 동안 다른 일은 하지 못하지만, 생각 하나는 한다. 아픈 몸은 어떤 나일까? 아픈 몸을 달고서 뭔가 생각하는 나는 누구인가? 몸앓이를 마친 나는 또 누구요, 다시 밥을 먹는 나는 또 누구일까? 우리 몸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몸을 얼마나 아는가? 책 하나는 수수께끼를 풀어줄 수 없다. 책을 쓴 이도 실마리를 알려주지 않는다. 그런데 우리는 수수께끼를 못 풀거나 실마리를 못 얻더라도, 수수께끼를 풀려고 애쓰는 동안 수수께끼를 푸는 길을 살짝 엿보거나 실마리가 나오는 자리를 어렴풋이 느낄는지 모르리라. 앓는 동안 물 한 방울 입에 댈 수 없는 몸은, 거꾸로 보면 굳이 안 먹어도 움직일 수 있는 몸이기도 하다. 앓고서 일어나는 몸은, 곰곰이 보면 한결 튼튼하게 거듭나는 몸이란 뜻이기도 하다. ‘테리 이글턴이 읽은 유물론’은 이이가 ‘몸으로 읽은 유물론’이라 하는데 여러 학자들 말을 바탕으로 몸을 돌아보기보다는, 글쓴이 삶을 바탕으로 몸을 돌아보고 유물론을 바라보면 어떠할까 싶기도 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