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의 마음 - 심리학, 미술관에 가다
윤현희 지음 / 지와인 / 2021년 7월
평점 :
절판


미술작품도 인간인 화가가 그리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화가의 마음이 반영될 수밖에 없고 그러기에

미술작품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심리학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미술작품과 

심리학을 함께 다룬 책들을 적지 않게 만났었는데 '미술관에서 만난 심리학' 같은 책들이 대표적이고

미술작품으로 심리 치유를 추구하는 '그림의 힘'이나 '그림에 마음을 놓다' 같은 책들도 떠오른다. 

앞에 언급한 책들이 미술작품들을 소재로 활용한 측면이 좀 더 큰 데 비해 이 책은 미술작품들을 중심에

두고 심리학을 가져다 작가와 작품을 이해하는 데 좀 더 집중하고 있는데 총 15명의 화가들을 빛의 

역사라는 공통된 키워드로 분석한다.  


이 책에선 카라바조를 필두로 총 5부로 나눠 각 부당 세 명씩의 화가를 배치하고 있는데 초반부에는

비교적 친숙한 화가들이 등장하다가 후반부로 갈수록 낯선 화가들로 채워졌다. '지킬 박사와 하이드 

'처럼 천재와 광인의 이중생활을 했던 카라바조는 살인을 저지르고 도망다니다 보니 참수형에 대한

공포가 작품에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저자는 그가 조현병 등 정신과적 장애를 앓고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유럽 여행 갔을 때 젊은 시절의 자화상을 봤던 렘브란트는 평생에 걸쳐 자화상을 남겼는데 

평생 자신에 대한 진지한 탐구를 했다고 볼 수 있고, 요하네스 페르메이르는 섬세한 묘사로 일상을 

그려냈는데 자기 정체성을 담은 사적 공간에 주목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바로크 시대의 화가들을

거쳐 윌리엄 터너, 클로드 모네, 제임스 휘슬러의 낭만주의 화가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이 색채를 활용

하는 방식은 이전 화가들과는 좀 달랐다. 특히 휘슬러는 얼마 전에 봤던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여름'의   

7월을 장식하는 그림들로 만났었는데 그림과 제목만 알다가 이 책을 통해 그의 작품 세계에 대해 제대로

설명을 들으니 훨씬 더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 


3부에는 우리에겐 아직은 좀 낯선 북유럽 화가들이 대거 등장하는데 전에 읽었던 '북유럽 그림이 건네는

'이라는 책에서 만난 빌헬름 히메르스회 등을 다시 만나 북유럽 특유의 정서들이 담긴 작품들과 그

지역 사람들의 성향이 어떻게 작품 속에 발현되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4부에선 현대인의 우울과

불안을 주제로 프레더릭 차일드 하삼과 존 슬로안, 에드워드 호퍼를 다루는데 앞선 두 명은 이 책을

통해 처음 만나 좀 생소했고 그나마 에드워드 호퍼의 작품들을 휘슬러가 7월을 담당했던 시화집에서

6월 담당으로 만났던 게 어색함을 줄일 수 있었다. 마지막 5부에서도 마크 로스크, 사이 트웜블리, 

제임스 터렐의 초면이라 할 수 있는 작가들과 만났는데 나름 미술책을 많이 봤다고 생각됨에도 여전히 

낯선 화가와 그림들이 많아 더 분발해야 할 것 같다. 이 책을 통해 15명 이상의 화가들과 그들의 작품

세계를 심리학의 관점에서 저자의 꼼꼼한 분석으로 다시 감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는데, 새롭게

알게 된 화가와 작품들은 물론 기존에 알던 화가와 작품들도 놓쳤던 부분들을 풍성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재발견할 수 있던 시간이었다. 역시 미술작품들은 어떤 관점에서 접근하느냐에 따라 안 보이던 많은 

것들을 발견할 수 있음을 제대로 보여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