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은 선을 넘는다 - 나와 당신의 존엄을 지키기 위한 11개의 시선
오후 지음 / 사우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후의 책을 벌써 3권 읽었다. <나는 농담으로 과학을 말한다>를 읽고 <아주 공적인 연애사>를 읽었다. 두 권 모두 유쾌하고 재밌었다. 이번 책도 그럴 줄 알았다. 재밌고 유쾌한 영화이야기를 생각했었다. 예상과 달랐지만 오히려 더 좋았다. 이번 책은 유머가 없다. 유쾌하지도 않다. 니체가 말했던가? 오직 피로 글을 쓰고 피로 쓴 글만 읽으라고. 이 책은 피냄새가 난다. 독기와 배짱이 느껴진다.


 오후 그는 자신을 아나키스트라고 말한다. 아나키스트를 글로 만나긴 처음이다. 그의 사회, 정치적 입장이 굉장히 급진적이라고 생각하긴 했지만 이정도 일 줄은 몰랐다. 하지만 그의 주장과 이야기를 들어보면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원래 세상이 미쳐있을 땐 바른 소리를 하면 미친 사람 취급을 받기 마련이다. 내가 보기엔 11개의 시선 모두 타당하다. 미쳐있는 건 우리 사회다. 나도 평소 자주 그렇게 생각했다. 지금 세상은 분명 정상이 아니라고, 후손들은 분명 우리 사회의 모습과 우리를 이해하지 못할 거라고. 


 이 책에 명나라 시대 유학자 이탁오의 이야기가 나온다. 이탁오는 54살에 평생을 몸담았던 관직을 그만둔다. 그리고 자신이 이제까지 인생을 개같이 살아왔다고 고백한다. 자신이 앞의 개가 그림자를 보고 짖으면 따라 짖는 개였다는 것이다. 그는 유학이 금기시했던 모든 것에 대해 반문하기 시작한다. 또한 학교를 세워 제자를 육성했는데 남녀 구분없이 가르쳤다. 유학은 여성을 천시했기 때문에 여성의 교육과 토론은 용납되지 않았다. 어느 날 갑자기 미래의 영혼이 이탁오의 몸에 들어오기라도 한 것일까? 그렇게 그는 76세에 감옥에 투옥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저자는 영화를 마중물로 11개의 시선으로 이 시대를 비판한다.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것들에 대해 의문을 던진다. 그의 글은 차갑지 않다. 뜨겁고 거침없다. 그는 이 시대의 이탁오다. 다행히 요즘은 현재 사회의 모순이나 시스템을 비판한다고 잡혀가거나 하지는 않는다. (불과 몇 십년 전에는 잡혀갔다.) 


 그의 시선 덕분에 나도 평소에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깨닫고 생각해볼 수 있었다. 그는 이상을 말한다. 현실주의자들은 그의 이상이 실현불가능하다고 비판할 것이다. 이상을 제시하는 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달을 가리켰는데 손가락만 바라보는 것은 정말 답답한 일이다. 


 주인공은 선을 넘는다. 우리는 우리 인생의 주인공이다. 일단 이 책을 읽고 우리를 둘러싼 선들이 어떤 선들이 있는지 깨달아보자. 선을 넘을지 말지 선택하는 것은 그 다음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07-25 00: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7-25 15: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평점 6.5

 감독 마츠나가 다이시

 출연 요시다 요, 사노 레오, 무라카미 니지로

 장르 드라마



 단편소설집 <도쿄기담집>에 수록된 하나레이 만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입니다. 예전에 팟캐스트에서 이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보고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최근 <도쿄기담집>을 보다 영화를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봤습니다. 하루키 원작 영화들을 봤을 때 지금까지 모두 만족스러웠는데 그 흐름이 끊겼습니다. 


 너무 흐름이 느려서 좀 지루했습니다. 그래서 1.5배속으로 보고 싶은데 그런 옵션이 없어서 잠깐 잠깐 딴 짓 하면서 봤습니다. 원래 영화를 보면서 결코 딴짓하는 스타일이 아닌데... 잠깐 딴짓해도 같은 화면이기 때문에... 

 

 영화를 보고 소설을 보니 소설이 훨씬 좋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뭔가 영화가 설득력, 개연성이 떨어집니다. 차라리 그냥 원작에 충실했으면 더 나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들었습니다. 


 전혀 웃을 내용이 아닌데 어이가 없어서 3-4번 헛웃음이 나왔습니다. 예를 들면, 영화에서 아들이 상어에 물려 죽은 어머니에게 경찰이 '아들의 죽음은 안됐지만 자연은 중립이다, 우리 섬을 미워하지 말아달라' 고 이야기 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영화를 보면서는 '아니 저게 뭔 개소리야. 그게 지금 아들 잃은 어머니한테 할 소리야?' 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소설을 보니 그런 위화감없이 경찰이 이야기가 설득력이 있었습니다. 말의 순서와 뉘앙스 등 약간만 달라져도 큰 차이가 느껴지더군요.  


 아무튼 기대에 비해 많이 아쉬운 영화였습니다. 그래도 하루키 원작 영화들을 계속 찾아보고 싶습니다. 




 평점 10 : 말이 필요없는 인생 최고의 영화. 

 평점 9.5: 9.5점 이상부터 인생영화. 걸작명작

 평점 9 : 환상적. 주위에 강력히 추천하고 싶은 영화. 수작

 평점 8 : 재밌고 괜찮은 영화. 보길 잘한 영화. 

 평점 7 : 나쁘진 않은 영화. 안 봤어도 무방한 영화. 범작

 평점 6 : 아쉬움이 많이 남는 영화. 6점 이하부터 시간이 아까운 영화. 

 평점 5 : 영화를 다 보기 위해선 인내심이 필요한 영화. 

 평점 4~1 : 4점 이하부터는 보는 걸 말리고 싶은 영화. 망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쿄 기담집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55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비채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키의 단편소설집이다. 오랜만에 다시 읽었다. 상당히 오랜만에 읽은 거 같다. 10년 전에 읽은 건 기억이 나는데 중간에 읽지 않았었나보다. 처음 읽는 것처럼 새로운 소설도 있었다. 


 <우연한 여행자>는 책 첫머리에 하루키의 기이한 우연에 관한 경험담이 나온다. 인상깊어서 기억하고 있었는데 어디서 봤는지는 잊고 있었다. 다시 봐서 반가웠다. 재즈에 관한 기이한 경험담이다. 기이한 우연이 겹치는 경험 누구나 하나씩 있으신가요?


 <하나레이 만>은 동명의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팟캐스트에서 그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서 기억하고 있는 단편이었다. 상어에게 아들이 물려죽은 어머니에 관한 단편이다. 영화가 궁금해서 봤는데 좀 지루했다. 소설이 훨씬 좋았다.


 <어디에서든 그것이 발견될 것 같은 장소에서>. 처음 본 듯한 단편이었다. 이야기에 빠져들게하는 하루키의 매력이 가득담긴 단편이다.


 <날마다 이동하는 신장처럼 생긴 돌>. 책을 읽으면서 어렴풋이 중간중간 기억이 나긴했지만 전체적으로 처음 읽는 느낌이었다. 역시 이야기 속으로 빨려들어 갔다.


 <시나가와 원숭이>. 단편집 중에 가장 좋았던 소설이다. 감동적인 마무리가 좋았다. 



 10년 전에 <도쿄 기담집>과 <렉싱턴의 유령>을 같이 읽었던 기억이 생생하다. 이야기에 빨려들어서 너무 재밌게 읽었다. 충격적이기까지 했다. 하루키의 단편소설의 매력에 빠지는 순간이었다. 오랜만에 다시 읽으니 그 때만큼의 감흠, 감격은 없었지만 여전히 좋았다. 하루키 단편집을 계속 이어서 읽고 싶다. 다음 책은 <신의 아이들은 모두 춤춘다>! 이것도 굉장히 재밌게 읽었던 단편집인데, 벌써 기대가 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3-07-19 22: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얼마전(?)에 나온 <일인칭 단수>에 실린 ‘시나가와 원숭이의 고백‘의 전신이 ‘시나가와 원숭이‘라는걸 처음 알았습니다 ㅋ 저도 원숭이가 젤 좋더라구요

고양이라디오 2023-07-19 22:27   좋아요 1 | URL
아? <일인칭 단수>에 시나가와 원숭이가 나오나요? 찾아봐야겠네요ㅎㅎ

새파랑 2023-07-19 22:30   좋아요 1 | URL
나왔던거 같아요 ㅋ 제가 <일인칭 단수> 읽었을때는 북플을 안해서 리뷰를 안남겼었지만 재미있게 읽은 기억이 남니다 ㅋ

고양이라디오 2023-07-20 16:34   좋아요 1 | URL
어렴풋이 기억이 나는 것도 같고, 찾아보면 재밌겠네요ㅎㅎ <일인칭 단수> 전 재밌게 봤는데 세간의 평이 좀 안 좋은 거 같네요ㅠㅋ

얄라알라 2023-07-21 13:51   좋아요 2 | URL
하루키로 통하신 두 분^^ 부럽습니다

새파랑 2023-07-21 15:27   좋아요 2 | URL
저도 하루키 좋아하지만 고양이라디오 님이 더 찐팬이신거 같아요~!!
 














 아주 오랜만에 <도쿄기담집>을 다시 읽었다. 역시 재밌다. 오랜만에 읽어서 그런지 몇몇 단편은 처음 읽는 것처럼 새로웠다. <렉싱턴의 유령>, <도쿄기담집>은 여름에 세트로 읽으면 좋을듯하다. 

















 '우연한 여행자' 단편 속 주인공이 읽고 있는 책인데 3권 짜리 장편이다. 찰스 디킨스의 책을 읽어보고 싶다. 평점도 아주 높은 책이다.



 "형태가 있는 것과 형태가 없는 것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 된다면, 형태가 없는 것을 골라라. 그게 제 룰이에요. 어떤 벽에 부딪치든 언제나 그 룰에 따랐고, 긴 시선으로 보면 그게 좋은 결과를 낳았다고 생각해요. 그 당시는 무척 힘이 들긴 했지만요." -p36 


 멋진 룰이다. 기억해두고 싶다. 


 우연의 일치라는 건 어쩌면 사실 매우 흔해빠진 현상이 아닐까 하고 말입니다. 요컨대 그런 종류의 일은 우리 주위에서 끊임없이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 태반은 우리의 눈에 띄는 일 없이 그대로 지나쳐버립니다. 마치 한낮에 쏘아 올린 폭죽처럼, 어렴풋이 소리는 나지만 하늘을 올려다보아도 아무것도 볼 수는 없죠. 하지만 만약 우리가 강하게 구하고자 하는 마음만 있다면, 언젠가는 꼭 우리 앞에, 하나의 메시지로 떠올라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속에 내재된 도형이나 함축된 의미를 선명하게 읽어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의미를 파악하고 나면 그제야, '아아, 이런 일도 있구나. 이상한 일도 다 있네' 하고 깜짝 놀라게 되지요. 사실은 전혀 이상한 일도 아닌데 말이에요. 그런 생각이 자꾸만 들더라고요. 어떤가요? 제가 너무 지나친 확대 해석을 하는 걸까요?" -p50  

 

 우리는 살면서 하루에도 수많은 우연을 마주친다. 하지만 우리에게 의미가 있는 것만 하나의 메시지로 떠오르는 것 뿐이다. 이런 식의 설명이 모든 것에 통용될지는 모르겠지만 하나의 해석으로서는 적절하다.


 중요한 것은 누군가 한 사람을 몽땅 받아들이려는 마음이라고 그는 이해한다. 그리고 그것은 항상 처음이자 마지막이 아니면 안 되는 것이다. -p192 

 

 누군가를 몽땅 받아들이려는 마음, 어렵다.


 "제가 그런 말을 꺼내는 것은, 가스가 가득 찬 방에서 성냥을 그어대는 것과 마찬가집니다." -p229


 멋진 비유였다. 


"아가씨와 잘 지내는 방법은 세 가지밖에 없어. 첫째, 상대방의 얘기를 잠자코 들어줄 것. 둘째, 입고 있는 옷을 칭찬해 줄 것. 셋째, 가능한 한 맛있는 음식을 많이 사줄 것. 어때, 간단하지? 그 정도로 했는데도 효과가 없다면, 차라리 담념하는 게 나아." -p097


 있지 않게 메모해둬야겠다. 



 다시 읽어도 좋은 책. 역시 내게 하루키의 책은 소확행이다. 위에 책은 절판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벌거벗은 한국사 : 인물편 - 본격 우리 역사 스토리텔링쇼 벌거벗은 한국사
tvN〈벌거벗은 한국사〉제작팀 지음, 최태성 감수 / 프런트페이지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재미있다. 역사를 재밌다고 생각했던 게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다방면에 책을 읽으면서 역사를 알아야할 필요를 느끼게 됐고 역사를 좋아하게 됐다. 역사는 재미난 이야기들의 보고이다. 때로 현실은 픽션보다 훨씬 강렬하다. 현실은 픽션을 뛰어넘는 상상력과 창의성이 존재한다. 그래서 실화를 바탕으로한 드라마나 영화들이 제작되는 것이다. 


 이 책은 주로 조선의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8명의 인물들에 관한 이야기다. 어렴풋이 알던 역사 이야기를 세세하게 알게 되어 재밌었다. 어렸을 때의 역사 인식과 지금 책을 본 후 인식은 완전히 다르다. 그래서 더 재밌었다. 예를 들면, 중학교 때는 나당연합에 부정적이었다. 아니 치사하게 외세의 힘을 필어 삼국을 통일하다니! 치사하고 비겁한 신라! 고구려가 통일했어야 되는데!!! 하지만 당시의 시대상과 백제와 신라의 복수로 뒤엉킨 뿌리깊은 반감을 이해하자 나당연합이 이해됐다. 신라왕 김춘추는 자신의 딸의 원수인 백제에게 복수를 하고 싶은데 힘을 합칠 만한 국가가 당시에는 당나라 뿐이었다. 당나라와 신라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연합이었다. 지금이야 백제, 고구려, 신라가 모두 우리 민족, 우리 조상이라 생각하지만 당시에 신라와 백제의 지도층들은 서로 같은 민족이라 생각했을까? 당나라의 힘을 빌린 게 이해가 되었다. 


 이성계, 궁예, 의자왕, 이방원, 연산군, 사도세자, 세종대왕, 어우동, 8명의 이야기들 모두 재밌었다. <벌거벗은 한국사>는 tvN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시리즈도 있으니 더 찾아서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