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모네 자수 일기
몬덴 에미코 지음, 편설란 옮김 / 단추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책시렁 18


《모모네 자수 일기》

 몬덴 에미코 글·실

 편설란 옮김

 단추

 2018.4.25.



내 몸속에 공존하는 또 하나의 존재. 꿈틀꿈틀 자유롭게 움직인다. 아프다……. (27쪽)


아기에게는 옆에 있는 사람을 여유롭게 하는 힘이 있다. (57쪽)


어린 아이들이 있는 집은 빨래가 없는 날이 없다. 호텔 거울 위 조명은 빨래 건조대로 제격이었다. 여행 중에 매일 빨래를 하다 보니 손빨래 실력만 몰라보게 늘었다. (128쪽)


“엄마, 귤껍질은 꽃 모양으로 벗겨 줘야 해!” 새벽 3시, 아파서 잠이 들었던 아오가 귤이 먹고 싶다며 벌떡 일어났다. (196쪽)


눈길에서 우산과 우산을 연결해 기차놀이를 했다. 등에 업힌 모모도 꺅꺅 소리를 내며 동참했다. 지금밖에 없는 특별한 시간. (248쪽)



  모든 아이는 저마다 어버이를 골라서 태어난다고 느낍니다. 모든 아이는 다 다른 삶을 누리려고 다 다른 어버이 품에서 태어나 다 다른 길을 걷는다고 느껴요. 어느 아이는 가멸차디가멸찬 집안에서 태어나서 자라는 길을 걷고, 어느 아이는 가난하디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자라는 길을 걷지요.


  어느 아이는 좀 어른스럽지 못한 집안에서 태어나 시달릴 수 있고, 어느 아이는 무척 따사로운 품인 집안에서 태어나 사랑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 아이를 어떤 눈이나 손으로 맞아들이는 어버이일까요?


  “모모가 태어나고 아오가 오빠가 되어 가는 386일 간의 기록”이라는 이름이 붙은 《모모네 자수 일기》(몬덴 에미코/편설란 옮김, 단추, 2018)를 가만히 읽습니다. 이 책은 아이를 돌본 나날 삼백여든엿새를 실무늬놓기로 보여줍니다. 그러니까 모모란 아이하고 아오란 아이를 지켜본 하루를 바늘하고 실을 놀려서 날마다 이야기를 엮었다고 할 만합니다. 아기한테 젖을 물리다가 지친 날도, 아기하고 까르르 웃으며 놀던 날도, 아이들한테 성을 터뜨린 날도, 아이가 무럭무럭 크는 모습을 눈물로 바라보던 날도, 그때그때 손에 집히는 대로 천이나 종이에 실로 무늬를 새기면서 발자국을 남겨요.


  아이들하고 살아오면서 늘 느끼는데, 어버이는 ‘육아일기’를 쓸 수 없구나 싶습니다. ‘육아’란 이름으로 ‘아이를 키운’ 이야기란 있을 수 없어요. 아이하고 살아가면서 아이한테서 배운 이야기가 있을 뿐이지 싶습니다. 어버이는 아이한테서 배워요. 그래서 어버이는 “아이한테서 배운 이야기”를 적습니다. 아이는? 아이는 아이 나름대로 어버이한테서 받은 사랑을 마음에 새깁니다.


  어른은 이야기를 남기고, 아이는 사랑을 새깁니다. 어른은 이야기를 짓고, 아이는 사랑을 가꿉니다. 어른은 이야기를 노래하고, 아이는 사랑을 꿈꾸지요. 이렇게 두 사람, 어른하고 아이는 사이좋게 어우러지는 숨결로 거듭납니다. 삶을 노래하며 이야기가 태어나고, 살림노래를 들으면서 사랑스레 웃고 뛰놀면서 씩씩하게 자랍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쿠마미코 1
요시모토 마스메 지음, 이병건 옮김 / 노엔코믹스(영상노트)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만화책시렁 82


《쿠마미코 1》

 요시모토 마스메

 이병건 옮김

 노블엔진

 2016.3.25.



  멧골에 사는 아이는 도시로 가고 싶습니다. 멧골에서는 만날 사람도 적고, 뭔가 새롭다 싶은 일이 적다고 여깁니다. 이 말 그대로 도시에는 사람으로 늘 북적이고 뭔가 새롭다 싶은 일이 잔뜩 있을는지 모릅니다. 그러면 사람을 자주 만나기에 즐거울까요? 늘 뭔가 일이 있으니 재미있을까요? 그리고 멧골에서는 아침저녁으로 어떤 새로운 하루를 열 만하고, 어떤 이웃하고 사귀면서 즐거울 만할까요? 《쿠마미코》 첫걸음은 멧골에서 곰이랑 함께 살아가는 아이가 나옵니다. ‘쿠마’라는 이름이 들어간 멧골마을은 마을이름처럼 곰을 가까이 두면서 지낸다고 합니다. 곰을 꺼리는 일이 없고, 곰도 사람하고 말을 섞는다고 해요. 어느 모로 본다면 사람들이 곰말을 못 알아듣거나 안 하니, 곰이 사람말을 배워서 한달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곰은 사람하고 이웃이자 동무로 지내고픈 마음입니다. 멧골이나 숲에서 갖가지 숲짐승도 이와 같은 마음일 테고, 풀이며 나무이며 돌이며 바위이며 흙이며 냇물이며 다 같은 마음일 테지요. 어느 쪽이 더 낫다고 할 수 없습니다만, 멧골에서도 하루 내내 신나고 새로우면서 복닥거리는 이야기가 흘러넘칩니다. ㅅㄴㄹ



“매번 그렇지만 쿠마데 마을사람들은 긴장감이 없구만. 이런 산속에 사는 사람들이니 곰은 친구겠지.” (33쪽)


“‘나츠, 안 돼! 겨울잠 자면 안 돼.’라고 마치가 매년 울어서 그만뒀었지, 겨울잠.” “그런 일이 있었나?” “그래서 이때도 마치가 말야…….” “나츠. 나츠. 역시 나 도시의 고등학교로 가고 싶어.” (87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여쁜 각시붕어야 물들숲 그림책 7
김성호 글, 윤봉선 그림, 윤창호 감수 / 비룡소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시렁 13


《어여쁜 각시붕어야》

 김성호 글

 윤봉선 그림

 비룡소

 2014.2.21.



  골짜기나 냇가로 마실을 가면 물살을 가르는 물고기를 퍽 쉽게 만납니다. 이와 달리 바다로 마실을 가서 물고기를 만나기란? 바다마실을 갈 적에는 바다 한복판보다는 바닷가를 거닐거나 바닷가에서 물놀이를 할 테니 물고기를 만나기 만만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바람이 알맞게 불던 어느 날 아이들하고 물살을 누리며 바다놀이를 즐기는데 문득 날랜 바닷물고기 몇을 보았습니다. 아주 눈 깜짝할 사이에 휙휙 여러 마리가 눈앞에 나타나더니 바로 몸을 돌려 쌩 헤엄질을 하더군요. 이렇게 빠르구나 하고 느끼며 냇물고기를 새삼스레 떠올립니다. 냇물고기도 냇물에서 제법 재빠릅니다만, 드넓은 바다를 가르는 바닷물고기는 훨씬 재빠른 듯해요. 《어여쁜 각시붕어야》를 읽습니다. 냇물에서 살며 어여쁜 이웃인 각시붕어 한살림을 찬찬히 들려줍니다. 그림결도 글결도 상냥합니다. 아이 눈높이하고 좀 안 맞는 어려운 말씨가 제법 있어, 이 대목은 손질해 주면 좋겠습니다만, 우리를 둘러싼 뭇숨결이란 얼마나 어여쁜가를 잘 그려내지 싶어요. 가만히 바라보고 손을 내민다면, 이 땅에서 함께 숨을 쉬는 줄 안다면, 우리는 모두 어여쁜 사람이 됩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책시렁 12


《파우스트와 필로우》

 까롤린느 그레고와르 글·그림

 유혜자 옮김

 중앙출판사

 2000.10.3.



  한집에 개랑 고양이를 함께 키우는 사람(어른)이 보기에 개하고 고양이가 늘 툭탁거리는 듯할 수 있습니다. 웬만한 사람이라면 개가 하는 말이나 고양이가 하는 말을 몰라요. 아니, 개나 고양이가 말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을 아예 못 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개나 고양이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여긴다든지, 둘 사이에 ‘따뜻한 마음이 흐르리’라고 여기기 어려울 수 있어요. 《파우스트와 필로우》는 처음에는 한동안 툭탁질을 일삼았지만, 어느새 이 툭탁질은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도록 사이좋게 어울리며 즐기던 놀이인 줄 깨달은 개하고 고양이 이야기를 다룹니다. 다만 이를 사람(어른)이 알아채기가 만만하지 않아요. 사람이 보기에는 개하고 고양이를 따로 두어야 안 다투리라 여길 뿐, 둘이 가끔 툭탁거리기는 하더라도 서로 얼마나 아끼거나 돌보는가를 조금도 모를 수 있어요. 개하고 고양이를 놓고서만 이런 일이 있지는 않아요. 아이가 여럿 있는 집이라면, 이 여러 아이 사이에서도 툭탁질이 흔히 있을 테고, 툭탁질 못지않게 서로 돌보며 아끼는 숨결이 흐를 텐데, 우리 어른들은 이러한 살림을 얼마나 눈여겨보거나 알아볼 만할까요.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집에 용이 나타났어요 북극곰 무지개 그림책 35
엠마 야렛 지음, 이순영 옮김 / 북극곰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책시렁 11


《우리 집에 용이 나타났어요》

 엠마 야렛

 이순영 옮김

 북극곰

 2018.7.28.



  사람이 사는 어느 집이든 사람만 사는 일은 드뭅니다. 예부터 지구 어느 곳에서든 사람 곁에 숱한 숨결이 함께 깃들었습니다. 우리로 치면 도깨비가 같이 살고, 갖은 님이 함께 살아요. 구렁이도 뱀도 제비나 참새도 지네나 지렁이도 개미나 벌도 나비도 풀벌레도 나란히 살지요. 파리하고 모기도 저마다 몫이 있으니 사람집 곁에서 살림을 잇습니다. 오늘 우리는 살림집 곁에 어떤 숨결이 함께 있도록 보금자리를 꾸릴까요? 《우리 집에 용이 나타났어요》는 우리 집에 어느 날 불쑥 찾아든, 또는 깨어난 미르를 이야기합니다. 아무래도 다른 사람들은 ‘우리 집에 미르가 나타났어요’ 하고 말하면 안 믿겠지요. 미르한테 어떤 밥을 먹여야 하는지, 미르는 어떻게 재워야 하는지, 미르는 어떤 놀이를 좋아하는지, 이모저모 궁금한 대목이 많을 텐데, 둘레에 이를 물어보기가 만만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아이는 이곳저곳에 글월을 썼대요. 반가운 한집벗인 미르하고 오순도순 지내고 싶은 마음을 글월마다 넉넉히 읽을 수 있어요. 한집에서 한마을에서 한나라에서 한별에서 함께 살아갑니다. 서로 어떤 숨결인가를 배워 즐겁게 어우러져 살아갑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