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 2
아오기리 나츠 글 그림 / 대원씨아이(만화)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만화책시렁 120


《flat 2》

 아오기리 나츠

 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10.2.15.



  아이들이 얼마나 사랑스럽느냐고 누가 물으면 “글쎄요.” 하는 말이 대뜸 나옵니다. 왜 그럴까요? 아이들은 아이대로 저마다 사랑스러우니 우리 아이나 이웃 아이나 다 달리 사랑스러워서 따로 사랑스럽다고 말할 수 없다고 느껴요. 제가 대꾸할 만한 말이라면 “아이는 아이답습니다.” 한 마디입니다. 《flat》 두걸음을 읽습니다. 이 만화책에 나오는 어린이하고 푸름이는 가까운 듯하면서 멉니다. 또 먼 듯하면서 가깝습니다. 고등학생인 푸름이는 매우 어린 조카하고 어울리거나 노는 일이 그리 반갑거나 재미있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그러려니 받아들여요. 이 푸름이 곁에 있는 여러 동무(고등학생)는 어린 조카하고 어울린다니 대견하다 여기면서도 어린 조카 마음을 너무 못 읽는다고 타박합니다. 타박을 듣는 푸름이는 타박을 듣는 까닭을 제대로 읽지 못해요. 문득 생각합니다. 어린이라는 나이에서 푸름이라는 나이로 접어들기만 해도 어릴 적 제 모습을 잊을 수 있겠다고. 그렇다고 아이를 낳는 어른(어버이) 마음을 다 읽어내지는 못하겠지요. 사이에 있는 아이가 사이에서 아이를 바라보고 동무를 바라보다가 하늘도 마을도 가만히 바라봅니다. 저마다 마음자리에 어떤 이야기가 새겨질까요. ㅅㄴㄹ



“보렴, 저렇게 기뻐하잖니. 이런데도 귀찮다거나 기력이 없다고 하면, 넌 악마야.” (132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기 2018.10.12.


《우리 신부님은 사진가》

 장긍선 신부 엮음, 눈빛, 2017.3.2.



1922년부터 1942년 사이에 천주교 평양교구 메리놀 외방 선교회 신부님이 바라본 이 나라 아이들하고 삶터 이야기를 묵은 사진으로 들여다보는 《우리 신부님은 사진가》이다. 북녘 살림하고 사람을 보여준다고 하지만, 남녘하고 비슷하다. 아니, 같다. 오늘 우리는 남북녘으로 가르지만 지난날에는 그저 한겨레였다. 이쪽저쪽으로 가르는 사람들이 아닌, 모두 하나로 어우러지던 사람이요 살림이다. 사진책을 넘기다가 문득 생각한다. 북녘에서도 ‘남녘 옛자취’를 돌아보는 사진을 보여줄까? 북녘에서도 남녘이 딴 나라 아닌 한겨레로 오래오래 어우러졌다는 대목을 들려주는 글이나 그림이나 사진이 있을까? 서로서로 삶 이야기를 할 만한 길이 있을까? 정치는 저 멀리 밀쳐두고서 오순도순 이야기를 꽃피우는 글이며 그림이며 사진이 얼마나 있을까? 따지고 보면 남녘에서 북녘을 한겨레로 어깨동무하거나 얼싸안는 길을 밝히는 글이나 그림이나 사진이 매우 적다. 드문드문 나오더라도 북녘을 뱀처럼 쳐다보는 느낌이 짙어 거북하기 일쑤이다. 우리는 어느 곳이 가난하거나 못사는 모습이 아니다. 우리는 어느 곳이 경제개발이나 뭔가 물질문명이 번쩍이는 곳이 아니다. 우리는 살림을 짓고 삶을 가꾸며 사랑을 하는 사람이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읽기 2018.10.11.


《차마 말할 수 없는 이야기》

 카롤린 필립스 글/김영진 옮김, 시공사, 2011.2.15.



이레 뒤에 인천을 거쳐 서울하고 전주를 돌다가 고흥으로 돌아오는 마실길에 나선다. 네 사람이 함께 움직일 길이라 이모저모 알아보느라 여러 날 힘쓴다. 머물 곳, 타고 갈 기차나 버스, 움직이는 길에 버스나 기차는 몇 시에 타야 하는가, 찾아다닐 곳 길그림, 목요일하고 토요일에 가는 곳에서 들려줄 이야기를 놓고 밑글 쓰기, 며칠 집을 비우기 앞서 보내 줄 마감글 미리 쓰기 …… 이레 뒤까지 날마다 이모저모 살피면서 눈이 빙빙 돌겠지. 그러나 이렇게 마실틀을 짜면서 지난날 우리 어버이가 네 사람이 함께 움직일 적에 얼마나 바쁘고 힘드셨을까를 어림해 본다. 《차마 말할 수 없는 이야기》를 읽는데 여러모로 벅차다. 책을 읽기 벅차다기보다 책에 흐르는 줄거리가 벅차다. 사랑으로 짝을 맺지 않은 사내는 아이도 사랑으로 낳지 못할 뿐 아니라 사랑으로 돌볼 마음이 없다. 사랑을 못 받고 태어난 아이는, 사랑이 흐르지 않는 집을 보금자리나 잠자리로조차 못 느낀다. 처음에는 반짝반짝 빛나는 아이였으나, 아버지가 윽박지르는 몸짓에 억눌려 차마 아무 말을 못하고 오랫동안 시달리는데, 누나가 낳은 아이, 그러니까 조카 앞날을 그리니 너무 끔찍해 드디어 입을 열고 움직이기로 한다. 외쳐야 한다. 일어서야 한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루드비히 B.
데즈카 오사무 지음, 조민경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시렁 115


《루드비히 B.》

 데즈카 오사무

 조민경 옮김

 AK comics

 2017.10.12.



  꿈을 꿀 수 있다면 언제 어디에서라도 꿉니다. 좁은 우물에 갇혔어도, 비행기를 타고 날아도, 꽃밭에 엎으려 개미를 보더라도, 땡볕에 낫질을 하며 풀을 베더라도, 우리는 마음 가득 꿈노래를 채울 수 있습니다. 꿈을 꿀 수 없다면 어느 때 어느 곳에서라도 못 꿉니다. 가멸찬 어버이 품에서 태어났어도, 빼어난 스승이 가르쳐 주더라도, 훌륭한 이슬떨이가 길을 알려주어도, 가슴을 틔우지 못한 삶에는 어떠한 꿈도 깃들지 못해요. 《루드비히 B.》는 데즈카 오사무 님이 마무리를 짓지 못한 채 붓을 내려놓은 만화책이라고 합니다. 며칠쯤 더 살 수 있다면 몇 쪽을 더 그릴 수 있었을 테고, 달포쯤 더 살 수 있으면 한두 꼭지를 더 맺을 수 있었겠지요. 그러나 끝맺지 못한 만화 이야기라 하더라도, 꼭 그려내어 새롭게 꽃피울 숨결을 온누리 아이들한테 들려주고 싶었다 하더라도, 이 애틋한 만화에 흐르는 베토벤이며 노래님 발자국은 우리 마음을 살며시 건드리면서 스스로 꿈을 키우는 길을 비추어 주겠지요. 귀가 닫히기 앞서 숲소리를 하나라도 더 품에 안으려고 했다는 베토벤이라면, 붓을 내려놓기 앞서 아이들 앞날에 꿈이 가득한 사랑을 씨앗 한 톨로 더 심고 싶었던 만화님 데즈카 오사무 어른이었겠지요. ㅅㄴㄹ



“확실히 아까워. 하이든 선생님은 초일류 작곡가야. 하지만 반년 넘도록 이래서야 앞으로도 제대로 배울 수 없을 거야. 게다가 하이든 선생님만이 빈의 음악가는 아니지.” (448쪽)


“여기엔 뭐든지 있어. 훌륭해! 온 우주의 소리가 모여 있어! 신이시여, 감사합니다. 신께서는 전 세계의 생물과 자연에 소리와 울음을 주셨어. 어차피 내 귀는 언젠가 멀 거야. 그 전에 이 소리를 다 기억해 둬야 해!” (481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 희디흰 눈속 같은 세상 - 성원근 유고시집 창비시선 146
성원근 지음 / 창비 / 1996년 2월
평점 :
품절


노래책시렁 30


《오, 희디흰 눈속 같은 세상》

 성원근

 창작과비평사

 1996.2.28.



  아침에 뒤꼍으로 가는데 들고양이 한 마리가 돌담에 앉아서 저를 빤히 바라봅니다. 이 들고양이는 우리 집에서 태어났고, 우리 집에서 곧잘 먹이를 얻습니다. 태어나서 얼마 안 될 즈음 큰고양이한테 물리고 뜯겨 무척 앓았고, 한동안 이 아이를 어루만지며 보살펴 주었는데, 사람손을 탔어도 들고양이로 살고, 들고양이로 살면서도 우리 곁에서 알맞게 떨어져 지냅니다. 어제는 이 아이하고 10센티미터쯤 떨어진 데에 밥그릇을 놓고 밥먹는 모습을 바라봤어요. 그래서 오늘은 이 아이가 저를 빤히 바라볼는지 모르지요. 《오, 희디흰 눈속 같은 세상》을 읽으며 눈속 같은 누리를 바라보는 눈빛은 어떠할까 하고 헤아립니다. 하늘이 맑을 적에 노래가 생겼듯이, 마음이 맑을 적에 노래가 흘러나옵니다. 봉우리에 올라 하늘을 본다면 맑은 바람을 마실 수 있듯이, 손수 짓는 사랑으로 살림을 돌볼 적에 우리 보금자리에 맑은 바람이 노상 싱싱하게 흘러요. 누구나 맑은 마음으로 노래를 부릅니다. 노래를 부르는 손길로 글줄을 여밉니다. 노래를 부르듯 살림을 짓고, 살림을 짓는 손으로 글발을 엮습니다. 시를 쓰지 말고 살림을 쓰면 됩니다. 시를 지으려 하지 말고 사랑을 지으면 됩니다. 우리 삶자리에서 태어나는 시 한 줄입니다. ㅅㄴㄹ



그날, / 하늘이 맑을 때, / 노래가 생겼다. / 그날 감람산에 오르면 / 하늘을 볼 것이다. (하늘/6쪽)


내가 가진 모든 것과 / 네가 가진 모든 것으로써 / 우리 만나지 못한다면 / 우리가 못 가진 그것으로 만나기로 할까. (여백/77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