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떠난 김민기 (2024.12.10.)

― 부천 〈용서점〉



  간밤과 새벽에 김민기 님 노래를 새삼스레 들었습니다. 2024년 7월 21일에 너무 일찍 흙으로 돌아가셨는데, 싸움터(군대)에도 끌려가서 싸움터 속낯을 보고, 조용히 시골살이를 하다가 시골텃힘 속내를 보고, 들너울(민주화) 한복판을 지켜보면서 숱한 민낯을 보아야 하던 삶길이 노랫가락에 어떻게 스몄는지 되새겨 봅니다. 누구처럼 ‘문화부장관’이나 ‘기관장’이나 ‘국회의원’ 같은 어깨띠를 하나도 꿰차지 않은 김민기 님입니다. 어깨띠가 아닌 어깨동무로 살아가는 길을 이야기하고 생각하고 찾고 스스로 살아내야 온누리를 바꾼다고 느낍니다.


  서울에서 시내버스를 타고서 부천으로 건너옵니다. 아침해를 느끼면서 노래(시)를 두 자락 씁니다. 원미구청 언저리에서 내리고 〈용서점〉에 닿습니다.


  노래란, 책이란, 삶이란, 길이란 무엇일는지 곱씹습니다. 팔리지 않으면 사라진다고 여기느라 살아남으려고 팔릴 책으로 기운 책은, 얼핏 사람들이 손에 쥐어 읽을 수 있지만, 팔려서 살아남으려고 태어난 책은 오히려 더 쉽게 사라진다고 느낍니다. 오늘 바로 팔리지는 않더라도 사람들 마음에 사랑씨앗과 살림씨앗과 숲씨앗을 심으려는 꿈을 그리는 이야기를 담은 책은 아무래도 제대로 안 팔리는 듯싶지만, 사랑씨·살림씨·숲씨로 이야기를 여민 책을 누가 문득 손에 쥐면, “아! 책이란 이렇게 아름답구나!” 하고 깨달으면서 온누리를 새롭게 북돋우는 길은 바로 우리 스스로 오늘 이곳에서 천천히 한 걸음을 떼면 넉넉한 줄 들려줄 만하지 싶습니다.


  ‘걸작이 되면서 잘팔리는 책이 되기를 바라는 책’은 언제나 더 빨리 잊히고 사라지면서 거꾸로 ‘사람들이 책한테 등지는 빌미’를 이룬다고 느낍니다. ‘오늘 이곳에서 서로 이웃으로 만나 도란도란 이야기꽃을 지피려는 수수한 책’은 여러모로 적게 팔리거나 더디 팔리거나 잘 안 팔리는 듯 보이는데, 이렇게 이야기를 건네는 수수한 책이 하나둘 늘어날 적에 오히려 차근차근 책마을도 살아나고 우리 마음도 스스로 살린다고 봅니다.


  떠난 김민기 님은 이쪽에도 저쪽에도 안 섰습니다. 늘 ‘사람 곁’에 섰고, ‘아이 곁’에 있었고, ‘들숲바다 곁’에서 하늘빛을 보려고 했습니다. 우리는 어떤 책을 놓은 어떤 책집 곁으로 다가가는 하루일까요. 누리책집에서 손쉽게 장만해도 될 책이지만, 이웃을 안 느끼면서 책(지식·정보)만 쥘 적에는 저마다 이쪽저쪽으로 갈려서 끝없이 싸운다고 느껴요. 하루하루가 놀라운 일인 나날입니다. 겨울 첫머리를 느긋이 넉넉히 누리려면 “‘내’가 ‘나’로서 ‘너’랑 ‘함’께 ‘있’을 곳”을 차분히 그릴 노릇입니다. 새별을 곁에 두는 하루란 늘 빛나는 삶입니다.


ㅅㄴㄹ


《유한양행, 미스 고》(고성순, 부크크, 2024.8.1.)

《맛의 달인 104 먹을거리와 환경문제》(테츠 카리야 글·하나사키 아키라 그림/장수영 옮김, 대원씨아이, 2010.7.15.)

《싸가지 없는 진보》(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14.8.29.)

《삶에 지칠 때 작가가 버티는 법》(곽재식, 북스피어, 2019.10.10.)

《잊기 좋은 이름》(김애란, 열림원, 2019.7.5.)

《비행운》(김애란, 문학과지성사, 2012.7.18.)

《상냥한 폭력들》(이은의, 동아시아, 2021.11.3.)

《우울이라 쓰지 않고》(문이영, 오후의소묘, 2022.10.31.)

《‘국민’이라는 노예》(김철, 삼인, 2005.3.25.)

《아름다운 삶, 사랑 그리고 마무리》(헬렌 니어링/이석태 옮김, 보리, 1997.10.10.첫/1997.11.15.2벌)

《동물을 위해 책을 읽습니다》(김보경, 책공장더불어, 2021.1.25.)

《세월호와 역사의 고통에 신학이 답하다》(조석민과 여섯 사람, 대장간, 2014.8.8.)

《브레히트의 여성관》(우테 베델/장지연 옮김, 미크로, 1999.3.31.)

《플랜P vol.3》(이은주 엮음, 평화저널, 2021.3.20.)

《플랜P vol.14》(김유승 엮음, 평화저널, 2023.12.15.)

《서울시내 일제유산답사기》(정운현, 한울, 1995.10.2.첫/1996.1.10.재판)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입으로 쓰다 2025.1.4.흙.



예전에 사람들은 “입으로 말하기”도 했지만, “몸으로 말하기”하고 “살림으로 말하기”하고 “눈으로 말하기”하고 “꿈으로 말하기”하고 “사랑으로 말하기”하고 “생각으로 말하기”하고 “씨앗으로 말하기”를 했어. 요즈음 사람들은 “입으로 말하는 시늉”으로 그치기 일쑤야. 거의 “입으로 소리내기”에 머무르는구나. ‘말하기’란 “마음을 소리로 내기”인데, “입으로 소리내기”만 해서는 마음이 안 드러나. “입으로 소리내기”란 “느끼는 대로 터뜨리기”야. 이른바 ‘감정분출·감정표출’이고, 좋거나 싫거나 나쁘다고 느끼는 대로 마구 터뜨린다는 뜻이지. 그래서 요즈음 사람들은 ‘입으로 소리내기’랑 ‘몸으로 소리내기’랑 ‘돈·이름·힘으로 소리내기’라는 굴레에서 맴도는구나. 누구나 스스로 깨어나려면, 먼저 마음을 소리로 낼 줄 알아야 해. 마음을 말로 드러내고, 몸으로 밝히고, 살림으로 나누고, 눈으로 빛내고, 꿈으로 심고, 사랑으로 이루고, 생각으로 펴서, 씨앗으로 이을 적에 비로소 “말하는 사람”으로 선단다. 마음을 말로 낼 수 있으면, 마음을 글로 쓸 수 있어. “입으로 말하기”가 “입으로 쓰기”로 옮아가지. 그런데 “입으로 소리내기”를 하는 사람이라면, 아무리 멋있거나 대단하거나 놀랍게 보이는 글을 내놓더라도 ‘글쓰기’가 아닌 ‘글만들기’란다. ‘글만들기’란 “글을 쓰는 시늉”이야. 마음을 내놓아야 ‘말’이듯, 마음을 그려야 ‘글’이야. 마음을 글로 그리지 않거나 못 할 적에는, 몸도 삶도 살림도 사랑도 꿈도 생각도 씨앗도 글로 못 그려. 마음을 말하는 사람으로 서야 비로소 다른 모든 일을 한단다. ‘사람’이라는 몸을 입을 적에는, 몸으로 누린 삶을 고스란히 마음에 담아. 마음에 담은 삶을 가다듬기에 모든 일이 생겨.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구식 2025.1.5.해.



사람이 누리는 삶에서 ‘새롭’지 않은 길이란 없어. 모든 길이 새로워. 사람이 지내는 삶에서 ‘오래’지 않은 길이란 없어. 모든 길이 오래지. 길이란 새로우면서 오래 흘러왔어. 삶이란 새로우면서 오랜 길이야. 누가 “이런 말은 참 ‘구식’이네요”라 한다면, ‘구식’이라는 말처럼 낡았다는 뜻일까? 무엇을 ‘구식(옛)·신식(새)’으로 가르는 이라면, 무엇에나 흐르는 밑동과 빛줄기를 안 보다가 어느새 못 본다는 뜻이란다. 갓난아기라서 새몸이지 않고, 할아버지라서 헌몸이지 않아. 누구나 스스로 느끼는 대로 입는 ‘새몸’이자 ‘오래몸’이야. ‘오래’라는 말은 “오늘로 온 길”이라는 첫뜻과 “어제부터 오늘을 거쳐 모레로 잇는 길목”이라는 다음뜻이 있어. ‘오래 = 골목’이기도 하단다. ‘새’란 새벽처럼 다시금 밝는 빛이면서, 하늘과 땅을 잇는 곳이라는 뜻이야. 가만히 보면 ‘오래’하고 ‘새’는 ‘밤’과 ‘낮’처럼 자리와 때만 다를 뿐, 밑빛은 같으면서 나란히 흐른단다. 사람이라면 그저 ‘옷’을 입고서 ‘집’을 짓고 ‘밥’을 머금어서 ‘삶’을 누리는 ‘길’을 가는 동안 하나하나 배워서 익히는 사이에 ‘생각’을 하고 ‘씨앗’을 심어서 ‘사랑’으로 이르지. ‘씨앗’이란 말씨·글씨·맵시·솜씨·마음씨야. 옷·밥·집으로 이루는 삶을 스스로 온몸으로 받아들이기에 배울 수 있고, 이때에 이곳에서 저마다 다르면서 하나인 사랑을 알아보고 눈떠. 그런데 ‘몸’이나 ‘옷밥집’이 새것이냐 옛것이냐 하고 따지면, 그만 ‘삶’이 아닌 ‘겉’만 쳐다보느라 ‘껍데기’에 얽매여. 이러면 삶을 등지다가 눈을 못 뜨지. 늙어가고 낡아간단다. 오래면서 새롭고, 새로우며 오랜 몸과 옷밥집을 늘 그대로 보고 담으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846


《自轉과 公轉》

 성내운 글

 새교실

 1976.1.1.



  부릉부릉 몰지 않는 길잡이(교사)가 더러 있을 테지만,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길잡이는 걸어서 배움터를 오가지 않는다고 할 만합니다. 시내버스나 시골버스를 타는 길잡이조차 드뭅니다. 지난날에는 교사·교무주임·교감·교장 다 걸어다니며 아이 곁에 섰어도 아이들을 두들겨패고 돈을 우려냈습니다. 《自轉과 公轉》은 그즈음 길잡이답지 않은 길잡이를 나무라는 줄거리를 담아서 “새교실 1월호 보너스 북”으로 처음 나옵니다. 짐(숙제)을 마구 퍼붓기, 힘을 쥐락펴락 눈치보기, 끝없는 청소와 대청소, 너무 길고 넘치는 수업이 왜 어떻게 배움길하고 동떨어지는지 짚으면서, 이 나라 배움판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하고 보탭니다. 스스로 밝게 살림하지 않는다면, 아이가 물려받을 살림과 사랑도 못 짓게 마련입니다. 부릉부릉 다니는 길잡이는 아이들한테 ‘너희도 스무 살 지나면 이렇게 다니라’고 알리는 셈입니다. 같이 거닐면서 다 다른 철을 느끼고 이웃마을을 헤아리고 하늘빛과 들빛을 읽는 눈썰미를 나눌 때라야 길잡이입니다. 다만 1976년과 2025년은 뒤집어진 듯싶습니다. 지난날에는 가르침이 없었다면 오늘날에는 배움이 없어요.


“청소하는 사람을 따로 쓰자면 돈이 드니 어린이에게 시켜서 돈을 아끼기로 하자” 이래서 시키시는 청소는 아닐 것을 저는 빕니다 … 그런데 이상하네요, 지금의 우리 선생님은 이토록 성질이 건강하신데도 다른 선생님들은 어째서 그토록 심한 병을 얻으셨을까요? 병을 앓으신 선생님들을 위해서나 그분들한테서 배우느라고 날마다 그럭저럭 열시간 가까이를 그분들 곁에서 지내는 저희들 꼬마들을 위해서나 한시 바빠 그 병을 고쳐야 하겠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67, 73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848


《女工 20년 후》

 鹽澤美代子(시호자와 미요코) 글

 이길진 옮김

 청년사

 1979.9.5.



  문득 생각해 봅니다. 《女工 20년 후》를 되읽으면서 “대학생 스무 해 뒤”라든지 “고졸 스무 해 뒤”라든지 “무학 스무 해 뒤”라든지 “군복무 스무 해 뒤”라든지 “농부 스무 해 뒤”라든지 “탈시골 스무 해 뒤”를 놓고서 이야기를 여민다면, 우리 삶은 스무 해에 걸쳐 어떤 발걸음이라고 돌아볼 만할까요. 이웃나라 일본이라면 “가미카제 스무 해 뒤”라든지 “제국주의 스무 해 뒤”처럼 스스로 되새기는 길을 짚을 만합니다. 우리는 “독재자 스무 해 뒤”라든지 “아동학대 스무 해 뒤”를 뼈아프게 되짚으면서 왜 예나 이제나 똑같이 굴레를 쓰는지 눈물로 곱씹을 일이라고 봅니다. 일순이도 일돌이도 가난한 흙지기였습니다. 싸움터로 끌려가서 이슬이 된 숱한 사내도 흙지기였습니다. 돈있거나 힘있거나 이름있는 이들은 일터에도 싸움터에도 시골에도 안 갔습니다. 예나 이제나 매한가지입니다. 누가 글을 쓰지요? 누가 글을 읽지요? 붓을 쥔 사람은 어디에서 뭘 하지요? 밥을 안 먹으면 죽는다면서 정작 ‘밥을 낳는 시골’에서는 살 마음이 터럭만큼도 없고, 시골하루는 글로 싣거나 다루지도 않는 이 나라는, 앞으로 스무 해 뒤에 어떤 몰골일는지 그려 봅니다.


그러나 역시 가난한 농민인 어머니만은 눈물을 흘리면서 “귀여운 딸내미들이 파업할 기분이 나게 되기까지는 얼마나 고통을 받았을까 …… 얼마 되지 않은 봉급을 갖다 주는 네게, 그 일에 대해 자신과 자랑을 갖게 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을 때 나는 좀더 급료가 많았으면 하고 바랬었다.” (151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