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1.28.

오늘말. 씨나락 까먹는 소리


처음 “씨나락 까먹는 소리”라는 말을 듣던 날을 곧잘 떠올립니다. 어릴 적에는 어린이라서 어떤 말이건 스스럼없이 받아들였습니다. 속뜻을 아직 모르더라도, 말을 하는 어른 눈길을 헤아리면서 곰곰이 짚으려 했습니다. 말 같지 않은 말이란 없거든요. 스무 살을 넘기고 서른 살로 나아갈 무렵 얼결에 시골이웃을 만나러 자주 움직였고, 시골일을 비로소 손으로 매만지면서 여태 얼마나 엉터리에 멍청하게 지냈는지 곱씹었습니다. 서울이건 큰고장이건 얼척없는 터전이에요. 풀도 나무도 돌볼 수 없이 매캐한 곳에서 그저 근심걱정으로 앞만 쳐다보며 내달려야 하거든요. 날마다 마주하는 새가 어떤 새인지 모른다면 웃기는 삶입니다. 봄이면 깨어나는 풀벌레를 눈여겨보지 못 하면 헛물을 켜고 헛바람이 든 하루입니다. 그러나 여태 몰랐을 뿐인 줄 받아들이고서, 이제는 나한테 안 맞는 터전을 스스럼없이 떠난다면, 구태여 아닌 짓과 말을 꾸며야 할 까닭이 없으면서, 허울도 허방도 씻을 만하다고 느꼈어요. ‘씨나락’이란 “씨로 삼는 나락”입니다. 시골지기라면 씨나락을 안 까먹지요. 말도 안 되거든요. 새봄에 심을 씨나락을 까먹는다면 그저 바보입니다.


ㅅㄴㄹ


걱정없다·근심없다·그르다·맞지 않다·안 맞다·바르지 않다·뜬금없다·마땅찮다·마뜩잖다·바보·말이 안 되다·말도 안 되다·말 같지 않다·건방지다·몹쓸·못된·사납다·괘씸하다·고약하다·구태여·굳이·씨나락 까먹는 소리·아니다·아닌 말·안 그렇다·안 어울리다·어이없다·어처구니없다·얼척없다·터무니없다·턱없다·멍청하다·엉터리·옳지 않다·웃기다·틀리다·잘살다·잘 있다·허방·허울·허튼·헛것·헛되다·헛다리·헛발·헛물·헛바람·헛심·헛일·헛짓·헛짚다 ← 가당찮다(可當-), 가당치 않다, 당찮다(當-), 당치 않다)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1.28.

오늘말. 띄우다


그들끼리 잔치를 벌이기에 그들끼리 띄우면서 추킴책을 삼습니다. 그들이 쓱싹하면서 쓸어가니 그들 사이에서 꼭두책입니다. 풀벌레랑 개구리를 사랑할 줄 아는 마음으로 쓴다면 온책이요, 새하고 헤엄이를 사랑하는 이웃으로 살아가면서 엮는다면 아름책입니다. 그냥그냥 거머쥔 안담에서 추키거나 올리는 책은 어쩐지 알맹이가 없어 보입니다. 사람뿐 아니라 이 별에서 어울리는 뭇숨결을 헤아리려는 마음이라면 울타리를 끼고서 사재기를 하거나 휘어잡거나 깔고앉는 짓이란 없을 테지요. 담벼락을 치고서 휩쓸거나 해먹는 무리는 나라 곳곳에 있습니다. 이른바 혼차지일 텐데, 힘을 부리면서 올라앉는 무리는 힘을 검잡을 테지만 살림살이를 등져요. 이름을 드날리면서 또아리를 트는 떼거리는 이름을 주무를 테지만 사랑살림을 몰라요. 돈으로 도차지하는 모둠도 매한가지입니다. 끼리질이란, 가두는 ‘우리’인 가두리입니다. 어깨를 겯고서 노래하는 곳일 적에 비로서 너와 내가 눈을 밝히는 ‘우리·울’로 만나서 하늘(한울)을 이룹니다. 혼자만 하면 따분하기에 오히려 이웃을 괴롭히는 이들은 삶이 아닌 죽음으로 달리는 셈인데, 아무래도 안쓰럽습니다.


ㅅㄴㄹ


꼭두책·으뜸책·꽃책·꽃·멋책·멋·온책·아름책·올림책·올리다·띄움책·띄우다·추킴책·추키다 ← 추천도서, 권장도서


끼리·끼리끼리·끼리질·끼리짓기·끼리끼리 놀다·담·담벼락·돌담·돌담벼락·안담·안담벼락·우리·울·울타리·차지·도차지·-만·사재기·혼차지·혼자차지·혼자하다·홀로하다·거머잡다·거머쥐다·검잡다·검쥐다·움켜잡다·움켜쥐다·잡다·잡히다·주무르다·쥐다·휘어잡다·깔고앉다·또아리·똬리·따바리·그들잔치·그들판·그들마당·그들놀이·그들나라·쓱·쓱싹·쓸다·쓸어가다·쓸리다·휩쓸다·해먹다·오르다·올라가다·올라앉다 ← 전유(專有), 전유물, 독점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1.28.

오늘말. 밑밭


바탕이 선다면 기둥을 세울 자리를 살펴서 밑돌을 놓습니다. 밑바탕을 세우지 않은 채 일감과 놀거리부터 찾는다면 속빛이 여물지 않아요. 속을 살찌우지 않으면 기운이 나지 않고, 허울만 커다랗습니다. 깃드는 숨빛을 헤아려야 살림을 가꿀 수 있어요. 어느 자리에 있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조각 하나뿐이라서 안 대단할 까닭이 없습니다. 우리 손에 무엇이 있는지 바라보아야 눈뜰 만합니다. 우리 마음에 어떤 꿈이 흐르는지 되새겨야 눈이 밝아요. 밑밭을 일구는 나날은 오래 안 걸립니다. 밑거름으로 삼기에 배우고, 하나하나 가다듬어 익히는 사이에 어느덧 사랑이 흘러들면서 웃음이 감도는 하루를 누립니다. 멀리 마실을 다녀야 더 배우지 않아요. 곳곳을 떠돌아야 더 살펴보지 않습니다. 나무가 어떻게 줄기가 굵는지 헤아려 봐요. 풀포기가 어떻게 줄거리가 짙푸르면서 곧은지 들여다봐요. 씨앗을 맺는 시늉이라면 쭉정이입니다. 알이 차려면 뿌리가 깊어야 하고, 속내가 맑고 밝을 노릇입니다. 바람과 해와 비가 온누리를 부드러이 나들이를 하듯, 이 손길에 사랑과 꿈을 말씨 한 톨로 심는 아침을 열고서 저녁으로 걸어갑니다.


ㅅㄴㄹ


감·거리·결·것·곳·밑·밑동·밑빛·밑감·밑거리·밑거름·밑바탕·밑절미·밑꽃·밑짜임·밑틀·밑판·밑받침·밑밭·밑밥·밑천·바탕·바탕틀·바탕짜임·바탕판·살림·살림거리·속·속내·속빛·기운·빛·물·씨·씨앗·알·알맹이·뿌리·줄거리·줄기·내기·자리·자위·조각·깊은말·깊말·속말·깃들다·들다·감돌다·있다·흐르다 ← 성분(成分)


나들넋·나들결·마실빛·떠돌넋·떠돌결·떠돌빛·마실넋·마실결·마실빛 ← 여심(旅心)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1.28.

오늘말. 갇히다


갑갑한 저놈을 끌어내리는 길은 어깨동무하고 멉니다. 나뭇가지에 쓰레기가 걸렸으면 가지가 안 다치도록 살살 걷어내어야 나무가 숨막히지 않아요. 그런데 쓰레기를 떼낸다면서 가지를 뭉텅 자르면 나무가 죽습니다. 들꽃누리에는 고약한 풀이나 구린 꽃이 없습니다. 다 다른 풀꽃이 어울립니다. 그런데 사람누리는 그만 구실아치에 벼슬아치가 넘치고, 일꾼이 아닌 감투를 쓰면서 나리처럼 굴려고 하기에 그만 답답하고 딱딱하게 틀에 박힙니다. 들숲을 잊은 시답잖은 곳에는 즐겁게 아우르는 꿈이 없습니다. 바다와 하늘을 잊은 안 맑은 서울에는 어화둥둥 빛나는 씨앗이 없습니다. 고리타분한 모지리를 어떻게 다스려야 아름길인지 생각할 때입니다. 왜 예부터 더디더라도 “미운놈한테 떡 하나 더 주”면서 달랬는지 곱씹을 오늘입니다. 놀고먹는 꼰대를 나무란대서 꼰대질이 사라지지 않아요. 다 다른 들길과 숲빛이 새롭게 피어나는 봄을 맞이하려면, 바로 이곳에서 다 다른 사람이 다 다른 일과 놀이로 만나는 새터를 상그럽게 그릴 노릇입니다. 어느 놈이 밉다고 여기는 데에서 그치면, 머잖아 또다른 밉놈이 판박이처럼 나옵니다. 맑은 빛은 늘 포근합니다.


ㅅㄴㄹ


갇히다·갑갑하다·막히다·숨막히다·꼰대·꼰대질·꼿꼿하다·놀고먹다·더디다·굼뜨다·답답하다·딱딱하다·틀박이·틀에 박히다·판박이·판에 박히다·고리다·구리다·고약하다·고리타분·구실아치·구실바치·벼슬아치·벼슬꾼·일꾼·일바치·분·나리 ← 관료적, 관료주의


시원하다·시답다·싱그럽다·산뜻하다·상그럽다·상큼하다·새뜻하다·선뜻하다·선선하다·즐겁다·어화둥둥·좋다·깔끔하다·말끔하다·맑다·낫다·달갑다·해낙낙·흐뭇하다·들길·들빛·바람빛·푸르다·숲빛·풋풋하다·가뿐하다·아늑하다·포근하다 ← 쾌적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1.28.

오늘말. 맺다


어린이한테 놀이터가 생긴 지 얼마 안 됩니다. 놀이뜰이 무엇인지 잊은 사람이 너무 많은데, 아스라이 먼 옛날부터 굳이 어린이한테 놀이채를 마련해 주지 않았습니다. 어른이 일하는 자리는 모두 어린이가 뛰노는 터였어요. 어른은 늘 어린이가 마음껏 모이고 어울리고 뒹굴 만한 터를 보금자리와 마을로 삼았습니다. 노는 마당을 따로 마련한다면, 이미 어린이도 어른도 쉴 만한 마루가 없다는 뜻입니다. 언제 어디에서나 일을 끝내고서 느긋이 쉴 터전이 있으면 굳이 놀이뜨락을 안 두어도 돼요. 일자리란 놀이자리요 노래자리인걸요. 이제는 새길을 바라볼 때예요. 목돈을 들여서 어떤 뜨락을 억지로 만들기보다는, 누구나 느긋이 해바람비를 맞아들이면서 들숲바다를 누리는 삶터로 거듭나야지 싶습니다. 서울은 시골도 박살내지만 들숲도 때려부숩니다. 큰고장은 작은고장도 억누르지만 멧들숲도 깨부수지요. 부릉부릉 매캐한 서울은 판갈이를 해요. 길을 틀어서 온누리가 푸른터로 나아가도록 힘을 모아요. 잎이 돋고 꽃이 피어야 열매를 맺듯, 어린이가 푸르게 뛰놀고 어른이 싱그럽게 일하면서 하루를 마무리하는 살림터를 그립니다.


ㅅㄴㄹ


놀이터·놀이뜰·놀이뜨락·놀이채·마당·마루·마루벌·모임터·모임뜰·모임자리·자리·터·뜨락·뜰 ← 살롱(salon)


끝·끝내다·다되다·모두 되다·마감·마감하다·마감길·마감줄·마감꽃·마무르다·마무리·마침·마치다·마침꽃·마침길·마침날·매듭·매듭짓다·맺다·맺음 ← 탈고(脫稿)


새·새롭다·새물결·새너울·새바람·새길·새빛·남다르다·앞서가다·유난하다·알깨기·깨다·깨부수다·때려부수다·크게 바꾸다·판갈이·박살내다·확·휙·거듭나다·길틀다·뒤집다 ← 포스트모던, 포스트모더니즘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