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1.28.

오늘말. 밑밭


바탕이 선다면 기둥을 세울 자리를 살펴서 밑돌을 놓습니다. 밑바탕을 세우지 않은 채 일감과 놀거리부터 찾는다면 속빛이 여물지 않아요. 속을 살찌우지 않으면 기운이 나지 않고, 허울만 커다랗습니다. 깃드는 숨빛을 헤아려야 살림을 가꿀 수 있어요. 어느 자리에 있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조각 하나뿐이라서 안 대단할 까닭이 없습니다. 우리 손에 무엇이 있는지 바라보아야 눈뜰 만합니다. 우리 마음에 어떤 꿈이 흐르는지 되새겨야 눈이 밝아요. 밑밭을 일구는 나날은 오래 안 걸립니다. 밑거름으로 삼기에 배우고, 하나하나 가다듬어 익히는 사이에 어느덧 사랑이 흘러들면서 웃음이 감도는 하루를 누립니다. 멀리 마실을 다녀야 더 배우지 않아요. 곳곳을 떠돌아야 더 살펴보지 않습니다. 나무가 어떻게 줄기가 굵는지 헤아려 봐요. 풀포기가 어떻게 줄거리가 짙푸르면서 곧은지 들여다봐요. 씨앗을 맺는 시늉이라면 쭉정이입니다. 알이 차려면 뿌리가 깊어야 하고, 속내가 맑고 밝을 노릇입니다. 바람과 해와 비가 온누리를 부드러이 나들이를 하듯, 이 손길에 사랑과 꿈을 말씨 한 톨로 심는 아침을 열고서 저녁으로 걸어갑니다.


ㅅㄴㄹ


감·거리·결·것·곳·밑·밑동·밑빛·밑감·밑거리·밑거름·밑바탕·밑절미·밑꽃·밑짜임·밑틀·밑판·밑받침·밑밭·밑밥·밑천·바탕·바탕틀·바탕짜임·바탕판·살림·살림거리·속·속내·속빛·기운·빛·물·씨·씨앗·알·알맹이·뿌리·줄거리·줄기·내기·자리·자위·조각·깊은말·깊말·속말·깃들다·들다·감돌다·있다·흐르다 ← 성분(成分)


나들넋·나들결·마실빛·떠돌넋·떠돌결·떠돌빛·마실넋·마실결·마실빛 ← 여심(旅心)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