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의 흔적 15
오시미 슈조 지음, 나민형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24년 3월
평점 :
일시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2.2.

책으로 삶읽기 985


《피의 흔적 15》

 오시미 슈조

 나민형 옮김

 학산문화사

 2024.3.25.



《피의 흔적 15》(오시미 슈조/나민형 옮김, 학산문화사, 2024)을 돌아본다. 아이 어머니는 아이를 낳았으나 사랑을 느끼지 못 했다고 한다. 아이를 낳기 앞서 짝꿍한테서 사랑을 느끼지 못 했고, 어릴 적부터 사랑을 누린 적이 없다지. 그러나 아이 어머니는 어릴 적에 드디어 시골집을 벗어나면서 홀가분하다고 느꼈으니 이때부터 새길을 열면 되는데 자꾸 예전 모습을 떠올리고 되새기면서 “난 안 돼!”에다가 “난 하면 안 돼!”라는 혼잣말을 자꾸 심었다. 밤이 지나갔기에 새벽이 오고 아침이 환하다. 겨울이 지나갔기에 봄이 오고 여름이 빛난다. 누구나 예전에 가시밭길을 걸었을 수 있고, 터지고 얻어맞고 시달리면서 주눅이 들었을 수 있다. 그렇지만 모두 지나간 일이다. 오늘 내가 품에 안은 아이를 바라보면 되고, 오늘 아이를 낳아 돌보는 내가 얼마나 사랑으로 빛나는지 되새기면 된다. 남이 찾아주거나 베푸는 사랑이란 없다. 모든 사랑은 언제 어디에서나 스스로 짓는다. 모든 꽃은 어디에서나 핀다. 그늘이라서 안 피는 꽃이 아니고, 벼랑끝이라서 싫어하는 꽃이 아니다. 오히려 그늘꽃이 짙고 향긋하며, 벼랑꽃이 눈부시게 마련이다.


ㅍㄹㄴ


“나는 계속 혼자 세이랑 있었어. 이치로는 일이 바쁘다면서 집에 오지 않아서 계속 혼자.” (80쪽)


“그 동네를 떠나던 날, 기차 안에서 무슨 생각을 했지? 아마 이런 거였을 거야. 겨우 빠져나왔다. 이제 돌아가지 않을 거야. 난 도쿄에서 배우가 돼서 저쪽 편으로 나아갈 거야.” (116∼117쪽)


“내가 아이를 낳는다? 실감이 나지 않았어. 나 자신이 태어나도 괜찮은 거였는지도 잘 모르겠는데, 뭘 위해 아이 같은 걸 낳아야 하지? 태어나지 않는 편이 더 행복하지 않을까?” (157쪽)


#血の轍 #押見修造


+


나는 내가 인간인 것도 싫었고, 여자인 것도 싫었어

→ 나는 내가 사람이어서 싫고, 가시내여서 싫었어

→ 나는 내가 사람이니까 싫고, 순이여서도 싫었어

103쪽


아마 이런 거였을 거야

→ 아마 이랬겠지

→ 아마 이랬어

116쪽


실감이 나지 않았어. 나 자신이 태어나도 괜찮은 거였는지도 잘 모르겠는데, 뭘 위해 아이 같은 걸 낳아야 하지?

→ 믿기지 않았어. 내가 태어나도 되는지도 잘 모르겠는데, 왜 아이를 낳아야 하지?

→ 느낄 수 없었어. 내가 태어나도 되는지도 잘 모르겠는데, 왜 아이를 낳아야 하지?

157쪽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늑대의 딸 2 - 루나 코믹스
코다마 유키 지음, 정우주 옮김 / ㈜소미미디어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2.2.

책으로 삶읽기 984


《늑대의 딸 2》

 코다마 유키

 정우주 옮김

 소미미디어

 2025.1.8.



《늑대의 딸 2》(코다마 유키/정우주 옮김, 소미미디어, 2025)을 읽자니 《언덕길의 아폴론》이 바로 떠오른다. 첫걸음만 읽을 적에는 ‘늑대·숲·사람·삶’이 어우러지는 사랑을 그리려나 싶었으나, 두걸음부터 확 맛갔다. 아이들하고 함께 읽다가 쓴웃음을 지었다. 어쩜 이렇게 밀당과 실랑이만 줄기차게 그려댈 수 있을까. 그림감만 늑대로 잡을 뿐, 정작 늑대가 어떤 숲길이요 숲살림인지는 안 짚는구나 싶다. 그러나 누구나 스스로 그리고 싶은 붓끝대로 흐를 뿐이리라. 이루지 못할 짝짓기라든지, 시샘과 미움이 춤추는 밀당판이라든지, 뭔가 말을 못 하고 끙끙거리면서 달아나고 등지면서 가슴앓이로 헤매는 하루를 그리면서 ‘즐겁다’고 여긴다면, 굳이 더 읽을 까닭이 없으리라 본다. 석걸음이 나오면 사기는 할 텐데, 이 뻔한 실랑이가 아주 수렁으로까지 빠진다면 뒷걸음은 더 안 사려고 한다.


ㅍㄹㄴ


“무심코 반해버릴 뻔했지 뭐야.” “그, 그런 농담은 하지 마세요!” “아니, 정말이라니까. 가슴이 콩닥 뛰었어.” (19쪽)


“지금 난 소리는?” “키리토의 울음소리야. ‘또 보자’라고 말하고 있어.” “알아들으세요?” “너도 조만간 알아듣게 될 거야.” (81쪽)


“거짓말을 하지 않아도 되는 곳에서 자연스럽게 살아갈 방법이 반드시 있을 거야. 바로 찾을 수 없다면, 우리 와이너리에서 일하면서 생각해 보는 방법도 있어. 곤란해지면 언제든지 찾아와. 너라면 대환영이야.” (141쪽)


#狼の娘 #小玉ユキ


+


이 녀석은 내가 점찍었으니

→ 이 녀석은 내가 찍었으니

→ 이 녀석은 내가 골랐으니

6


무리를 지어서 우리를 습격하려고 여기까지 끌어들인 건 아니겠지

→ 무리를 지어서 우리를 들이치려고 여기까지 끌어들이진 않았겠지

→ 무리를 지어서 우리를 치려고 여기까지 끌어들이진 않았겠지

15


너도 조만간 알아듣게 될 거야

→ 너도 곧 알아들어

→ 너도 머잖아 알아들어

81


아빠도 엄마도 응원했는데 전부 허사로 만들어버리다니

→ 아빠도 엄마도 밀었는데 모두 물거품이라니

→ 아빠도 엄마도 바라지했는데 다 부질없다니

149


그런 놀라운 에피소드를 잔뜩 가지고 계신 분입니다만

→ 그런 놀라운 얘기가 잔뜩 있는 분입니다만

164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2.2.

오늘말. 쉬는삯


집에서 일하는 사람한테는 오래삯이 없다고 할 만합니다. 이를테면 집안일을 도맡는 살림꾼한테 일삯을 챙겨주는 나라가 있을까요? 모름지기 모든 나라는 바로 ‘집일꾼’이 있기 때문에 버팁니다. ‘집살림꾼’이 집안일을 하면서 아이를 사랑으로 돌보는 손길을 펴는 터라 어느 삶터이든 든든합니다. 이제부터는 살림지기를 보듬는 나라길로 거듭나야지 싶어요. 뭇일터라면 일을 쉴 적에 쉬는삯을 받습니다만, 일터사람은 쉼몫이 있어도 집안일을 맡는 사람한테는 한 해 해내 ‘일날’입니다. 아침저녁뿐 아니라 아침낮저녁밤으로 쉬잖고 살림살이를 여미고 살피는 사람을 제대로 맞이하고 아낄 줄 알 때에 아름마을에 아름나라로 섭니다. 무엇을 만지고 움직여야 할까요? 어느 틀부터 손보고 다듬어야 할까요? 하루를 온통 보금자리에서 보금살림을 맡는 사람한테는 어느 만큼 값을 치러 주어야 알맞을까요? 모든 나날을 밤일과 낮일이 갈마드는 집살림님 마음을 추스를 적에 비로소 어깨동무를 이룹니다. 하루삯이란, 하루일을 한 품삯만 가리킬 수 없습니다. 하루살림을 사랑으로 짓고 아우른 우리 스스로 달래며 쓰다듬을 줄 알 때에 비로소 날삯을 알 수 있어요.


ㅍㄹㄴ


오래삯·자리값·자릿삯·일삯·품삯·몸값·하루삯·날삯·날찍·값·돈·삯 ← 근속수당, 근무수당


쉬는몫·쉬는삯·쉼몫·쉼삯·이레쉼몫·이레쉼삯 ← 주휴수당


밤삯·밤일삯 ← 야근수당, 야간근무수당


소리고르기·소리잡기·가누다·가다듬다·고르다·다독이다·다듬다·다루다·다스리다·달래다·만지다·맞추다·매만지다·바꾸다·보듬다·손대다·손보다·손질·살피다·살펴보다·쓰다듬다·아우르다·어르다·어우르다·움직이다·잡다·추스르다 ← 조율(調律), 조음(調音)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2.2.

오늘말. 첫코


이제껏 못 들었으니 모를 테지요. 아직 못 들었으니 안 배웠다고 여기곤 합니다. 들은 적 없대서 손을 놓기도 하는데, 누구도 모르더라도 나부터 알아가면 됩니다. 처음 보니까 낯설 만한데, 처음 겪으니 뚱딴지라고 여기다가는 언제나 쳇바퀴입니다. 첫걸음을 내딛을 때에 비로소 첫단추를 여미면서 새길을 열어요. 처음 듣는다면서 마냥 손사래를 친다면 코흘리개로 갈 뿐입니다. ‘알못’이니까 하나하나 알아보고 알아차리면서 첫삽을 뜨는 하루를 지을 만합니다. 풀지 못할 일은 없어요. 아무도 모른다고 여기면서 팔짱을 끼었기에 첫코조차 안 뜰 뿐입니다. 누가 첫싹을 틔우든 아름답습니다. 첫째로 나아가야 하지 않아요. 둘째이건 다섯째이건 막째이건, 스스럼없이 첫물을 내고서 아직 짧은 길을 느긋이 여밀 노릇입니다. 까막눈이란 눈앞이 까맣게 보인다는 뜻일 텐데, 아무리 밤이 깊더라도 천천히 기다리고 지켜보면 밤눈을 틔우게 마련입니다. 언제까지나 바보인 사람은 없어요. “난 아직 알지 못했어!” 하고 기쁘게 받아들이는 사람은 바다처럼 넓으며 바람처럼 싱그럽게 바라보는 눈썰미를 키웁니다. 철없는 나이기에 이제부터 철든 나로 거듭납니다.


ㅍㄹㄴ


이제껏 못 들었다·여태 못 들었다·아직 못 들었다·듣지 못하다·들은 적 없다·못 듣다·안 들리다·누구도 모르다·누구도 못 보다·아무도 모르다·아직 없다·이제껏 없다·여태 없다·이제 처음·여태 처음·처음 보다·처음 겪다·처음 듣다·처음 있다·풀지 못하다·못 풀다·뚱딴지·뜬금없다·엄청나다·어마어마하다·아직·알못·알지 못하다·새·새로·새롭다·처음·첫걸음·싹트다·움트다·첫길·첫내기·첫단추·첫마당·첫물·첫밗·첫싹·첫씨·첫발·첫손·첫삽·첫일·첫코·첫째·첫터·어줍다·어중이·짧다·철없다·코흘리개·멍청이·까막눈·바보·모르다·몰라보다·낯설다 ← 전대미문(前代未聞)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2.2.

오늘말. 느물거리다


풀밥이 몸에 이바지한다기에 풀밥을 잔뜩 먹으면 속이 더부룩합니다. 꽃밥이 몸을 살리더라도 꽃밥을 실컷 먹다가는 되레 어지럽습니다. ‘좋다’는 말에 이끌려서 ‘좋은책’이나 ‘좋은말’을 붙잡으려고 하면 으레 ‘좁게’ 얽매이는 노닥질로 치우치는구나 싶어요. 좋은 마음이란 더러운 티하고 다를 테지만, 좋게좋게 넘어가다 보면 어느새 얄궂은 추레질로 기울고, 마침내 못난 마무리를 짓는 모습을 수두룩하게 지켜봅니다. 난봉을 부리는 이도 처음에는 나쁜 마음이 아니었겠지요. 사내질도 계집질도 똑같이 술짓에서 비롯합니다. 술노름은 멈추고서 알맞게 누리는 길로 거듭나지 않는다면, 누구나 엉큼손에 징그럽게 구는 멍텅구리로 치닫습니다. 느물거리는 모든 이는 첫마음을 잃고서 넋이 나간 매무새입니다. 지분거리는 지저분한 무리도 첫뜻을 등지고서 얼이 빠진 몸짓입니다. 치근치근 못돼먹은 손놀림을 나무라는 이웃이 없지는 않다고 느껴요. 고약한 몸놀림을 다그친 동무가 없지 않을 테지요. 능글맞은 팔난봉은 걷어내기를 바라요. 노닥짓이 아닌 놀이와 노래를 되찾을 일입니다. 얼룩이 아닌 어울리는 길을 바라볼 노릇입니다.


ㅍㄹㄴ


술노름·술지랄·술짓·술지랄꾼·술지랄뱅이·술짓꾼·걸쭉하다·계집질·사내질·고약하다·고얀·고얀놈·고얀짓·난봉·난봉꾼·팔난봉·노닥거리다·노닥질·노닥짓·느물스럽다·느물거리다·능글맞다·능글거리다·더러운 손·더럼손·더럼손길·더러운 손길·더럽다·더럼길·더럼짓·더럼꼴·못나다·못난이·못난것·못난놈·못난치·못되다·못된것·못돼먹다·못쓰다·속보이다·얄궂다·얼룩·어우러기·짓궂다·징그럽다·엉큼하다·엉큼손·앙큼손·응큼손·엉큼짓·앙큼짓·응큼짓·의뭉스럽다·자분거리다·지저분하다·지질하다·추근거리다·추레하다·치근거리다 ← 음탕(淫蕩), 주색잡기(酒色雜技)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