팥경단과 찹쌀떡 2
와카나 우스쿠라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11.22.

만화책시렁 696


《팥경단과 찹쌀떡 2》

 와카나 우스쿠라

 김승현 옮김

 대원씨아이

 2010.10.15.



  아이가 앓기에 걱정할 수 있지만, 아이가 앓기에 무럭무럭 잘 크는구나 하고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우리말 ‘알·알다·앓다’는 한동아리입니다. 알에서 깨기에 알아가고, 알에서 깨려고 앓아요. 껍데기를 하나 깨뜨리면서 새로 태어나기까지 온힘을 쏟아야 하니까 앓고, 이렇게 껍데기를 깨고서 일어서는 동안 새롭게 알아보게 마련입니다. 《팥경단과 찹쌀떡 2》은 얼결에 고양이를 맡아서 돌보다가 어느새 스무 해를 훌쩍 지난 어느 날까지 어떻게 하루살림을 지었나 하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이제는 언제라도 떠날 수 있는 고양이는 팥구슬떡 같다지요. 팥구슬떡 못잖게 나이를 먹은 고양이는 찹쌀떡 같다고 합니다. 따로 짝꿍이나 곁님을 사귀지 않으면서 바쁜 나날인 그림꽃님한테는 두 고양이가 곁동무이자 곁지기라고 할 만합니다. 함께 자고 함께 먹고 함께 놀면서 하루가 흐릅니다. 온누리 모든 사람이 다르듯 온누리 모든 고양이가 다르고, 나무도 풀도 새도 다릅니다. 이 다른 숨빛을 바라보면서 문득문득 새삼스레 삶을 알아갑니다. 서로 부딪히며 끙끙 앓기도 하지만, 부딪히거나 앓기에 즐겁게 잠들고서 씩씩하게 아침을 맞이하는 나날이에요. 구름처럼 바람처럼 다독이면서 어울립니다.


ㅅㄴㄹ


‘앞으로의 방향이 정해졌다. 노인의 힘을 믿어 보자. 젊지 않으니 진행도 더딜 테고, 나이 먹는 게 꼭 나쁘지만은 않아. 오늘내일 죽을 것도 아니니 느긋한 마음으로 돌보는 거야.’ (11쪽)


‘젊은 혈기에 소녀감성에 덜컥 키우게 된 부였지만, 문득 생각해 보니 내 인생의 절반은 부와 함께였다.’ (111쪽)


#臼倉若菜 #おはぎと大福


+


《팥경단과 찹쌀떡 2》(와카나 우스쿠라/김승현 옮김, 대원씨아이, 2010)


그리고 결전의 날

→ 그리고 다투는 날

→ 그리고 겨루는 날

→ 그리고 맞붙는 날

19쪽


고작 사흘간 내가 없었다는 이유만으로 탈모가 생길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은

→ 내가 고작 사흘 없었다면서 털이 빠질 만큼 힘든

→ 내가 고작 사흘 없었는데 털이 빠질 만큼 괴로운

26쪽


천변지이의 전조라는 말도 있지만

→ 널뛸 낌새라는 말도 있지만

→ 물결칠 눈치라고도 하지만

→ 출렁일 듯하다고도 하지만

37쪽


우리 집 식구들은 모두 마이너 기호, 마이너 입맛

→ 우리 집은 모두 어린이맛, 어린이 입맛

→ 우리 집안은 모두 꼬마맛, 꼬마 입맛

63쪽


포토제닉의 조건은 충분

→ 넉넉히 멋스럽다

→ 넘치도록 아름답다

→ 몹시 눈부시다

→ 너끈히 빛난다

81쪽


그 후 피해는 가족 차원으로 확대! 전도다난

→ 그 뒤 온집안이 시달림! 까마득

→ 곧이어 집안 모두 고달픔! 아찔

→ 이제 우리집 모두 괴롭다! 힘들어

109쪽


아령 한 마리 탈주

→ 쇠 한 마리 내뺌

→ 주먹쇠 하나 토낌

117쪽


고양이 스쿼트, 만만치 않다

→ 고양이 쪼그림, 만만치 않다

→ 고양이 쪽앉기, 만만치 않다

117쪽


그 고육지책도 실제로는 허점이 매우 많아서

→ 이 억지도 막상 빈틈이 매우 많아서

→ 악을 써도 정작 매우 허술해서

→ 어렵게 해도 되레 매우 느슨해서

12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9.22.


《도라에몽 컬러작품집 4》

 후지코 F. 후지오 글·그림/유민선 옮김, 대원키즈, 2007.3.15.



빗줄기가 천천히 잦아든다. 이틀 내리 비날을 이으면서 가을더위가 훅 꺾인다. 비와 바람과 해를 헤아리면서 들살림을 짓는다면, 논밭에서 거두는 낟알과 열매와 푸새를 오직 사람만 누리려 하지 않는다면, 서로 한결 느긋하고 넉넉하면서 짙푸를 텐데. 이웃들이 ‘채식·육식’을 놓고서 그만 싸우기를 빈다. 풀도 고기도 숨붙이인걸. 우리는 여러 숨붙이를 우리 몸으로 받아들이면서 이 삶을 배운다. 풀을 먹든 고기를 먹든, 튀국수(라면)를 먹든 까까를 먹든, 얼음을 먹든 빵을 먹든, 모두 숨빛이다. 《도라에몽 컬러작품집 4》을 되읽는다. 이따금 끄집어서 찬찬히 넘기곤 한다. 작에 꾸린 《도라에몽》하고 비슷하지만 꽤 다른 결로 잇는다. 더 어린 아이들부터 읽을 이야기로 짠 《도라에몽 컬러작품집》이라서 한결 부드럽고 사랑스럽다. 아이들은 이렇게 따뜻하게 품고 안으면서 다독이고 달래는 이야기를 반긴다. 옳거나 그르다고 가르거나 가르치는 길이 안 나쁘되, 오늘날 숱한 배움터는 굴레처럼 가두려고만 한다. ‘가르치다·가르다’는 그저 한끗이다. ‘배우다·배다(버릇)·배다(아기)’도 참말로 한끗이다. ‘옳다·올가미(올무)’도 한끗인 줄 알아본다면, 먼저 아이어른이 함께 살림을 짓는 오늘을 노래하며 이야기하겠지.


#藤子F不二雄 #ドラえもん

#ドラえもん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9.21.


《걸어다니는 부엉이들》

 팔리 모왓 글·임연기 그림/곽영미 옮김, 북하우스, 2005.9.16.



비날을 잇는다. 오늘 비가 오지 않았으면 다시 가을더위가 춤추었을 듯했다. 어제에 이어 좍좍 쏟아지다가 가볍게 멎다가 새삼스레 촤라락 들이부으면서 모든 소리를 잠재운다. 비가 뿌리다가 멎으면 어느새 풀벌레가 노래한다. 풀벌레도 빗소리를 즐기는구나 싶다. 꾀꼬리가 아직 안 떠났을까. 얼핏 꾀꼬리노래도 섞여서 퍼지는 듯싶다. 저물녘에 우리 책숲으로 가서 빗물을 치우고서 책도 조금 추스른다. 《걸어다니는 부엉이들》을 아이들하고 즐겁게 읽었다. 팔리 모왓 님 글은 어린이도 푸름이도 어른도 반갑게 맞이할 만하다고 느낀다. 잘 옮기면 훌륭하다. 어린이 눈결과 푸름이 마음결을 못 읽으면서 옮김말씨로 춤추지 않으면 된다. 다만, 1961년에 처음 나온 이 책은 2005년뿐 아니라 2024년에도 푸르고 아름답다만, 안타깝게도 판이 끊겼다. 그래도 이분이 쓴 다른 책은 아직 가늘고 길게 읽히는 듯싶다. 아이들이 곧잘 묻는다. “왜 다른 사람들은 이런 책을 안 읽어요?” “그러게나 말이다, 이런 책을 읽으면 눈을 환하게 뜨면서 스스로 깨어날 텐데.” “사람들은 안 깨어나려고 이런 책을 안 읽고, 아예 책조차 안 읽어요?” “글쎄, 아무래도 네 말이 맞는 듯하구나. 그저 슬픈 일이야. 그러나 우리가 알아보고 읽으면 돼.”


#Owls in the Family (1961년)

#Farley Mowat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9.20.


《가업을 잇는 청년들》

 백창화·장혜원·정은영 글, 남해의봄날, 2013.11.30.



비가 온다. 비가 좍좍 온다. 바람이 휭휭 분다. 비가 멎고 풀벌레노래가 그윽하다. 다시 비가 온다. 솨솨 꽂는다. 이러다가 비가 멎고 구름이 빛난다. 17시 시골버스로 읍내로 가서 나래터를 들르고서 저잣마실을 한다. 한가위가 지나간 가게는 썰렁하다. 이 빗줄기는 하늘도 땅도 씻을 테지. 부디 풀죽임물은 그만 뿌리기를 빌 뿐이다. 《가업을 잇는 청년들》을 되읽었다. 2014년에 부산 〈고서점〉 지기님이 알려주어서 그때 얼핏 읽은 뒤 얼른 내려놓고서 잊었다. 열 해 만에 되읽는데, “책을 내려고 얼른 써낸 글”이라는 티가 짙다. 글을 써서 책을 내어도 안 나쁘지만, 처음부터 얼른 끝내려고 후다닥 쓰고 찍는다면, 이런 책은 얼마나 이어가며 읽을 만한지 모르겠다. 일본사람이라 ‘가업·청년’이지만, 우리는 ‘집일·젊은이’이다. “집안을 잇는 젊은이”를 만났다고 밝히는 꾸러미인데, 뭔가 책으로 선보일 만한 ‘일’을 찾으려고 하면서 확 어긋났다고 느낀다. 어버이를 이어서 일하는 사람한테는 어딘가 다르거나 튀거나 훌륭한 마음씨가 있어야 하는 듯 몰아가는 줄거리가 버겁다. 그저 곁에서 젊은이를 지켜본 바를 수수하게 담으면 될 텐데. 늙은 어버이도 예전에 젊은 일꾼이었다. 즐겁게 일하는 아름이웃을 만나면 될 텐데.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9.19.


《안익태 케이스》

 이해영 글, 삼인, 2019.1.15.



올가을에 새로 책으로 내려는 글꾸러미를 추스른다. 어떤 목소리를 담아서 어떤 살림살이를 풀어놓을 만할는지 돌아본다. 이웃나라에 ‘글지기 아줌마’가 있다. 아줌마로서 아이들 곁에 서고 마을사람 사이에 스미는 하루를 담아내는 ‘이시무레 미치코’ 님이다. 나는 이곳에서 ‘글지기 아저씨’일 수 있을까. 늘 아이들 곁에 서면서 들숲바다 사이에서 스미는 오늘을 담아내는 길을 걸을 수 있을까. 걸어야 글을 읽고 쓴다. 걸어야 아이 곁에서 나란하면서 이야기를 듣고 들려준다. 《안익태 케이스》를 읽은 지 여러 해 지난다. 한참 책더미에 쌓고서 지나치다가 오늘 비로소 치운다. 안익태가 감춘 민낯을 찬찬히 밝힌 대목을 돋보인다만, 일본말씨·일본영어에 옮김말씨가 너무 춤춘다. 글을 굳이 이렇게 써야 할까? “그냥 글”조차 아닌 “일본앞잡이 안익태를 나무라는 글”인데. 일본앞잡이를 나무라는 글을 쓸 적에 ‘일본말씨’를 안 써야 하지는 않을 테지만, 좀 덜고 솎고 다듬을 줄 알아야 할 텐데. 안익태는 “죽은 앞잡이”인데, 서슬퍼렇던 일본군국주의·조선봉건가부장에 물든 일본말씨·중국말씨는 이제 하나하나 털고 씻고 치우면서 ‘우리말씨(나답게 나를 사랑하는 말씨)’로 거듭나야 이 나라가 바뀔 만하리라 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