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름벼리가 옥수수 살게



  할머니 할아버지한테서 받은 돈을 작은 지갑에 꼬깃꼬깃 접어서 갖고 다니는 사름벼리. 읍내 버스역 앞에 앉아 옥수수를 파는 할머니한테서 옥수수 한 꾸러미를 산다. 만 원짜리를 내밀고 오천 원짜리를 받는다. 아직 돈크기를 모르기에, 한 장을 주면 되는 줄 아는데, 한 장을 주는데 다시 한 장을 받으니 “왜 주세요?” 하고 묻는다. 그래, 그 돈은 거스름돈이라고 해. 네가 낸 돈크기가 많기에, 물건값을 덜어 너한테 돌려준단다. 4347.7.30.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림책에 깃든 아름다운 힘


  《지구를 다 먹어 버린 날》(뜨인돌어린이,2011)이라는 그림책을 읽다가 한참 생각에 잠깁니다. 글은 얼마 없으나 책에 담은 이야기로 살피면 예닐곱 살 아이보다는 여덟아홉 살 아이, 또는 열 살 즈음 되는 아이가 이 그림책을 잘 헤아릴 만하리라 느낍니다. 이야기를 쉽게 잘 풀었고, 그림 솜씨도 여러모로 재미있구나 싶어요. 아주 짤막한 글 몇 줄과 그림 몇 가지로 두툼한 인문책으로 밝히는 이야기를 아이와 어른 모두한테 알려주는구나 싶어요. 참으로 멋스럽습니다.

  두툼한 인문책은 온갖 자료를 들면서 두툼한 쪽수가 됩니다. 짤막한 그림책은 굳이 온갖 자료를 들지 않더라도 ‘이야기를 나누자’는 생각으로 단출하게 책을 엮는다고 할 만합니다. 생각해 보셔요. 어머니가 아이를 사랑한다고 할 적에, 이런 자료와 저런 보기를 들어야 하지 않습니다. 자료와 보기가 있어야 ‘어머니가 아이를 사랑한다’고 하지 않아요. 아이들이 밥을 먹으면서 ‘밥이 맛있다’고 말할 적에, 이런 까닭과 저런 대목을 들추어야 밥이 맛있구나 하고 깨닫거나 알아차리지 않습니다. 오직 한 마디 “아버지, 밥이 맛있어요!” 하고 한 마디만 하더라도 마음 가득 기쁨과 즐거움이 샘솟습니다.

  그림책 《지구를 다 먹어 버린 날》은 사람(어른)들이 지구를 다 잡아서 먹어치우면 어떻게 되는가 하는 이야기를 아주 간추려서 짤막하게 보여줍니다. 그뿐입니다. 더도 덜도 없습니다. 지구를 다 잡아서 먹어치우면 어찌 될까요? 맑은 물과 바람과 햇볕을 모두 먹어치우면 어찌 될까요?

  과학 논증이나 실험을 해서 보여주지 않아도 됩니다. 역사 자료나 인문 지식을 펼친다거나, 이런 과학자와 저런 지식인 말을 옮겨서 덧붙여야 하지 않습니다. 한 마디만 하면 돼요. 지구를 다 잡아서 먹어치우면, 어른도 아이도 모두 죽어요. 지구를 살리고 사랑하려 하면 우리 모두 살아요.

  인문학을 살리고 인문책을 읽히는 일이 ‘뜻없다’고 느끼지 않습니다. 다만, 인문학을 살리거나 인문책을 읽히려면, 무엇보다 참다운 그림책을 우리 스스로 빚어내고 즐기면서 삭힐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가장 쉽고 똑똑하며 올바른 슬기를 밝히는 그림책을 아이와 어른이 함께 읽고 누리면서, 삶빛을 밝혀야지 싶습니다.

  학문으로 파고드는 지식이 없어야 한다고 느끼지 않아요. 다만, 늘 한 가지입니다. 학문으로 파고드는 지식이 있어야 하더라도, 쉬우면서 또렷하고 올바른 슬기로 아이들과 어깨동무를 할 만한 지식이 되어야 합니다. 딱딱하고 어려운 학문말로 감싸는 인문학이 아니라, ‘학교 지식’이 없는 모든 수수한 사람들이 환하게 알아차리고 밝게 알아들을 수 있는 빛이 될 때에 올바른 인문 지식이요 인문학이며 인문책이 되리라 느낍니다.

  그림책에는 아름다운 힘이 깃듭니다. 누구나 쉽게 읽으면서 쉽게 깨닫도록 이끕니다. 그림책은 누구나 홀가분하게 읽으면서 재빨리 고갱이를 알아보도록 돕습니다.

  자, 어떻게 하면 지구별을 살릴까요? 숲이 있어야지요. 도시를 줄여야지요. 숲은 어떻게 늘리고 도시는 어떻게 줄일까요? 나무가 자랄 흙땅을 넓히고, 아스팔트 찻길과 자동차와 아파트를 줄여야지요. 시골에서 스스로 흙을 사랑하면서 집숲을 이루도록 꾀하고, 밥과 옷과 집을 스스로 짓는 길로 차근차근 나아가야지요. 4347.7.30.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어린이문학 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른숲 시골빛 삶노래

― 마음을 읽는 동무



  마음이 맞는 동무가 있는 사람은 압니다. 서로 입으로 말을 하지 않아도 눈빛으로 압니다. 서로 눈을 마주치지 않아도 느낌으로 마음을 읽습니다. 서로 멀리 떨어진 곳에 있어도 늘 생각하고 떠올리면서 마음으로 사귑니다.


  죽이 맞는 동무가 있는 사람은 압니다. 서로 입으로 말을 하지 않아도 눈빛으로 알 수 있지만, 서로 입으로 말을 나누면 한결 깊고 넓게 이야기꽃을 피을 수 있는 줄. 서로 편지를 주고받지 않아도 마음을 읽을 수 있으나, 서로 편지를 써서 주고받으면 가슴 가득 따사롭고 환한 빛이 솟아올라 삶이 대단히 즐거운 줄.


  네가 나한테 마음이 맞는 동무가 되어 주기를 바라듯이, 너도 내가 마음이 맞는 동무가 되어 주기를 바랍니다. 네가 나한테 마음을 열고 다가올 적에 기쁘며 웃음이 터지듯이, 내가 너한테 마음을 열고 다가갈 적에 기쁘면서 웃음이 터져요.


  동무 사이뿐 아니라, 어버이와 아이 사이에서도 마음을 열고 함께 살아갈 때에 그야말로 즐겁습니다. 곁님과 나 사이에서도 서로 마음을 열고 함께 살림을 가꿀 적에 더없이 즐겁지요. 테두리를 넓혀, 내가 낯과 이름을 모르는 수많은 지구별 이웃하고도 마음을 열어 사귈 수 있으면, 우리가 깃든 이 지구별에 따사로운 사랑과 아름다운 꿈이 넘실거리겠지요. 그리고, 우리가 사람과 사람 사이뿐 아니라, 사람과 나무 사이에서, 사람과 새 사이에서, 사람과 풀 사이에서, 사람과 사마귀 사이에서, 사람과 물고기 사이에서, 사람과 풀벌레 사이에서, 사람과 숲짐승 사이에서, 서로서로 마음을 열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면, 지구별은 한껏 새롭게 거듭나리라 느낍니다.


  노르웨이에서 태어난 어린이책 《비발디》(어린이작가정신,2014)를 읽으며 곰곰이 생각에 잠깁니다. 노르웨이에서도 ‘따돌림’이 있군요. 노르웨이쯤 되는 나라라면 학교에서 따돌림이 없을 만하겠다 싶었으나, 아니로군요. 평화로우면서 아름답게 나아가려는 나라에서도 학교에서만큼은 아이들이 모두 즐겁지는 않군요.


  아무 까닭 없이 따돌림을 받는 아이는 고양이를 바라보면서 생각합니다. “고양이가 졸린 눈으로 천진하게 타이라를 바라보면, 타이라는 모든 것을 잊어버려요. 타이라에게는 하나뿐인 친구예요. 눈으로 이야기하는 친구(36쪽).” 그러고 보면, 우리는 고양이하고뿐 아니라 나무하고도 말 없는 말로 이야기를 나눕니다. 구름하고도, 무지개하고도, 냇물하고도 말 없는 말로 이야기를 나눕니다.


  ‘학교 따돌림’을 돌아봅니다. 으레 ‘집단 따돌림’이라 말하지만, 이 이름은 옳지 않다고 느껴요. ‘학교 따돌림’입니다. 아이들이 학교만 가면 얄궂게 여리거나 아픈 아이들을 따돌리고 맙니다.


  학교는 어떤 곳일까요? 학교는 무엇을 할까요?


  학교는 경쟁을 붙입니다. 학교는 시험을 치릅니다. 학교는 등수를 매깁니다. 이웃돕기나 두레나 품앗이로 나아가는 학교가 아니라, 의무교육 이름으로 모든 아이들을 숫자로 줄을 세워 대학입시지옥으로 내모는 데가 학교입니다. 그러니, 아이들은 학교를 다니면서 ‘학교 따돌림’을 합니다. 학교를 다니며 높은 점수를 받는 아이조차 다른 아이한테 따라잡힐까 걱정과 근심을 하다가 점수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기까지 합니다.


  학교에서 이웃돕기를 가르치거나 보여준다면 따돌림이 생길 일이 없습니다. 학교에서 두레와 품앗이를 하면서 삶을 가르치거나 보여준다면 따돌림도 괴롭힘도 목숨끊기도 불거질 일이 없습니다.


  ‘학교 따돌림’을 받는 아이가 안타까운 무척 가녀린 아이 하나가 이녁 어버이한테 아주 어렵게 말문을 엽니다. “‘그런 일이 있어서는 안 돼!’ 아버지가 말했어요. 페트라는 아버지의 말이 옳다고 생각했지만 동시에 조금 무섭기도 했어요. 만약 타이라에게 발길질했던 아이가, 페트라가 고자질한 걸 알게 되면 어떡하죠? 그러면 그 아이는 페트라에게도 발길질할 게 틀림없었어요(79쪽).” ‘페트라’라는 아이는 어린이책 《비발디》에서 학교 따돌림을 받지는 않아요. 그러나, 학교 따돌림을 받는 ‘타이라’ 다음으로 가녀린 아이입니다. 이 아이는 저보다 여린 동무를 지켜 주고 싶으나, 마음 한켠에는 이러다가 나까지 따돌림을 받으면 어쩌나 하는 근심이 가득합니다. 페트라네 아버지는 이 대목까지 살피거나 읽지 못합니다.


  우리 어른들은 학교를 세워서 무엇을 하는지 돌아볼 노릇입니다. 우리 어른들은 아이들을 학교에 보낸 뒤 무엇을 하는지 생각할 노릇입니다. 우리 어른들은 교사가 되어 아이들을 가르치는 자리에서 무엇을 하는지 되짚을 노릇입니다.


  교과서 진도를 잘 나가거나 아이들 직업교육을 잘 이끈다고 해서 교사 노릇이 끝나지 않습니다. 아이들을 대학교에 보내거나 대학등록금을 보태 준대서 어버이 노릇이 끝나지 않습니다.


  어린이책 《비발디》를 읽다 보면, “타이라는 네 살부터 할머니 댁에 갈 때마다 바흐와 비발디의 음악을 들었어요. 다른 음악도 좋지만, 타이라는 바흐와 비발디의 음악이 가장 아름답게 느껴졌어요. ‘음악이 있다면 우리는 말없이 대화를 나눌 수도 있지 않을까(43쪽)’.”와 같은 대목이 나옵니다. 학교에서 따돌림을 받으며 말수가 엄청나게 줄어든 아이는 ‘말 없는 말’을 꿈꿉니다. 학교에서 너무 괴로운 나머지 말을 한 마디도 못 하는 아이는 차라리 ‘말 없는 삶’을 바랍니다. 서로 마음으로 마음을 읽기를 바라요. 서로 사랑으로 사랑을 읽고 나눌 수 있기를 바라요. 서로 꿈으로 꿈을 읽기를 기다립니다.


  어떤 사람은 나비하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어떤 사람은 고양이나 개하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어떻게 이야기를 나눌까요? ‘사람 말’이 아닌 ‘지구별 이웃끼리 나눌 마음’을 헤아리기에 이야기를 나눕니다.


  우리는 누구나 풀잎하고도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우리는 누구나 바람 한 줄기하고도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마음을 열 때에 이야기를 나눕니다. 마음을 열지 않으면, 아무리 기나긴 ‘사람 말’이 서로 오간다 하더라도 아무것도 남지 않아요. 무척 오랫동안 토론을 하건 토의를 하건, 마음을 열며 말을 꺼내지 않으면 이야기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마음을 담지 않은 채 세월호 피해자한테 읊는 사과글이 얼마나 가슴으로 스며들 수 있겠습니까. 마음을 담지 않으며 읊는 사과글도 사과글이 될는지 궁금해요. 마음을 열 때에 비로소 이웃과 동무를 사귀고, 마음을 안 열 때에 아무런 이웃이나 동무를 못 사귑니다. 마음을 열 때에는 내 몸에 깃든 넋과 만나지만, 마음을 안 열 때에는 내 몸에 어떤 넋이 깃들었는지 생각조차 못 하기 마련입니다. 4347.7.30.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아이 177. 2014.7.23. 폴리 놀이



  폴리 그림노래책을 펼쳐서 노는 작은아이 무릎에 큰아이가 폴리 장난감을 하나씩 올려놓는다. 폴리 그림에는 폴리를 올리고, 헬리 그림에는 헬리를 올린다. 폴리 그림노래책은 이렇게 장난감을 올려놓고 노래단추를 눌러야 한단다. 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아이 176. 2014.7.26. 바람이랑 책



  골짜기에 가지 않더라도 바람이는 가까운 놀이동무가 된다. 마루에서 무엇을 하든 바람이에 앉아서 논다. 책을 펼쳐 읽을 적에도 바람이에 앉는다. 말랑말랑 폭신폭신 바람이는 아이들하고 오랜 벗이 된다. 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