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수 선생님이 들려 주는 김구 산하인물이야기
이원수 글, 허구 그림 / 산하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4.27.

읽었습니다 318



  예부터 어른은 아이한테 이야기로 삶을 들려주고, 살림을 일깨우고, 사랑을 속삭였습니다. 어른이 아이한테 들려주는 이야기에는 ‘훌륭님’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스스로 하루를 짓는 어진 사람이 나오고, 스스로 사랑을 꽃피우는 어른이 나오며, 스스로 삶을 노래하고 살림을 일구는 숨결이 나올 뿐입니다. 《이원수 선생님이 들려 주는 김구》를 곰곰이 읽었습니다. 언뜻 보면 ‘위인전’이되, 가만히 보면 ‘작은이’ 이야기입니다. 대단하거나 놀라운 일을 한 분이라기보다는, 우리 곁에서 누구나 이처럼 ‘사랑’을 나라에도 쏟거나 마을에도 기울이거나 보금자리에도 펼 수 있다는 길을 보여준다고 느껴요. 집안에서 아늑하면서 아름다울 적에 마을에서도 알차고 빛납니다. 나라사랑만 할 수 없어요. ‘나사랑’에서 ‘너사랑’으로 잇고, ‘우리사랑’을 바라볼 줄 알기에, ‘누리사랑’으로 피어납니다. 누구나 사랑으로 일어나는 사랑누리를 그립니다.


ㅅㄴㄹ


《이원수 선생님이 들려 주는 김구》(이원수, 산하, 2002.8.23.)



길마를 머리에 이고 지붕 위에서

→ 길마를 머리에 이고 지붕에서

9쪽


상놈만도 못한 행실을 하는 어른이라고

→ 막놈만도 못한 짓을 하는 어른이라고

→ 만무방보다 못한 어른이라고

39


해주에서 과거를 보인다는 방(공고문)이 나붙었습니다

→ 해주에서 물음풀이를 보인다는 글이 나붙었습니다

→ 해주에서 글겨룸을 보인다는 알림이 나붙었습니다

48


글씨를 쓴 종이 위에 또 글씨를 썼습니다

→ 글씨를 쓴 종이에 또 글씨를 썼습니다

50쪽


객사(여관)에 들 형편이 못 되는

→ 길손채에 들 살림이 못 되는

51


창수의 뒤에는 우리 2천만 동포가 있습니다

→ 창수 뒤에는 우리 한겨레가 있습니다

81


아드님의 호령이 얼마나 당당하던지

→ 아드님 목소리가 얼마나 당차던지

→ 아드님이 얼마나 힘차게 외치던지

8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편지의 시대 창비시선 495
장이지 지음 / 창비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4.4.27.

노래책시렁 419


《편지의 시대》

 장이지

 창비

 2023.12.22.



  손으로 밥을 지어서, 손으로 수저를 쥐고서 먹습니다. 손으로 씨앗을 심고서, 손으로 호미나 낫을 쥐고서 거두거나 캡니다. 손으로 아이를 씻기고 돌보노라면, 어느새 아이는 무럭무럭 자라서 손을 맞잡고서 거닐다가, 어느새 손을 가볍게 흔들면서 저만치 앞서 달려갑니다. 아스라이 먼 옛날부터 손수 짓는 살림을 말로 담았습니다. 말을 담는 그림은 글이 태어난 뒤에도 아주 오래도록 손으로 글을 적었습니다. 이제는 손으로 글을 쓰거나 적는 일이 확 줄었는데, 어떻게 옮기는 글이어도 ‘마음을 담은 글’일 적에라야 비로소 마음이 만나거나 흐릅니다. 《편지의 시대》는 글월과 나래꽃 사이에서 오간 마음을 적는 듯싶습니다만, 어쩐지 “편지의 시대”라는 이름부터 일본스럽습니다. 우리나라 웬만한 자리마다 일본말에 일본빛이니 어쩔 길이 없다고 할 테지만, 조금씩 마음을 기울이면 하나씩 씻거나 털면서, 우리 이야기를 도란도란 펼 만합니다. 글월을 주고받는 ‘글월철’입니다. ‘글날’입니다. ‘글빛나날’에 ‘글길’이에요. 글을 글로 여기는 눈길일 적에 마음을 마음으로 나누는 마음길을 열어요. 억지스레 짜거나 맞추는 글로는 어떤 마음도 못 움직여요. 더 멋지거나 드문 나래꽃을 얻으려는 마음으로는, 그저 시늉이었겠지요.


ㅅㄴㄹ


누가 먼저였는지 잊었지만 편지와 함께 외국의 멋진 우표도 동봉하게 되었는데 진귀한 우표를 찾으려고 발품깨나 팔았지요 우리의 편지는 차츰 우표를 교환하기 위한 것이 되더니 어떤 일로 영영 끊어지게 되었어요 (우표수집―삼총사/65쪽)


너는 그것을 몰라 너를 보지 않겠다고 한 건 보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야 너에게 주려던 편지를 흐르는 강물에 버린 것을 네가 알까 (졸업/75쪽)


+


《편지의 시대》(장이지, 창비, 2023)


사랑의 취기가, 도취의 파도가 소인으로 찍히는 것을 상상하면서

→ 거나한 사랑이, 반한 물결이 쿵 찍히는 모습을 떠올리면서

→ 비칠대는 사랑이, 기쁜 물결이 톡 찍히는 무늬를 그리면서

8쪽


은하의 실타래 위에 이미 있었네

→ 별밭 실타래에 이미 있네

→ 별숲 실타래에 이미 있네

→ 별떼 실타래에 이미 있네

12쪽


천변만화의 구름이 뿔뿔이 흩어졌다가

→ 덩굴진 구름이 흩어졌다가

→ 물결치는 구름이 뿔뿔이 가다가

12쪽


대관람차의 형해(形骸)가 방치돼 있다

→ 큰바퀴 뼈대를 내버린다

→ 큰고리가 덩그러니 나뒹군다

→ 고리눈 부스러기가 구른다

18쪽


칠이 벗겨진 말들이 막사 안에서 선잠을 잔다

→ 겉이 벗겨진 말이 오두막에서 선잠이다

→ 옷이 벗겨진 말이 움막에서 선잠이다

18쪽


나뭇잎 사이로 흘러내리는 햇빛의 무늬를, 초록색의 점자를 갑충이 더듬더듬 읽는다

→ 나뭇잎 사이로 흘러내리는 햇빛무늬를, 푸른글씨를 딱정벌레가 더듬더듬 읽는다

23쪽


너머에서 도시가 비의 부식(腐蝕)을 견딘다

→ 너머에서 마을이 비에 삭지 않으려 한다

→ 너머에서 서울이 비에 슬지 않으려 한다

25쪽


백지와 마주할 때 나는 역광을, 광배(光背)를 얻는다

→ 나는 흰종이와 마주할 때 뒷빛을 얻는다

→ 나는 빈종이와 마주할 때 빛살을 얻는다

25쪽


외국의 멋진 우표도 동봉하게 되었는데 진귀한 우표를 찾으려고

→ 이웃나라 멋진 나래꽃도 넣었는데 값진 나래꽃을 찾으려고

→ 옆나라 멋진 날개꽃도 담았는데 드문 날개꽃을 찾으려고

65쪽


너는 그것을 몰라 너를 보지 않겠다고 한 건 보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야

→ 너는 몰라 너를 보지 않겠다고 한 말은 보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야

→ 너는 몰라 너를 보지 않겠다고 했는데 보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야

7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6.


《고릴라를 보려면》

 최영민 글, 삐삐북스, 2021.6.15.



다시 부슬부슬 비가 뿌린다. 큰아이하고 우리 책숲에 들르고서 이웃마을까지 들길을 걷는다. 그냥 비를 맞으면서 생각에 잠긴다. 오늘날 시골 논둑길은 잿빛으로 덮고서 짐수레가 지나다녀서 엉망이다. 지난날 논둑길은 사람하고 소하고 짐승하고 풀벌레가 다니면서 비날에도 느긋이 다닐 만했다. 둘이서 한참 거닐면서 예전에 보내고 놀던 이야기를 한다. 저녁에 비가 그치고 별이 살짝 돋는다. 《고릴라를 보려면》을 돌아본다. 오늘날 깊이 헤아릴 대목을 차근차근 짚는다고 느낀다. 다만, 몇 가지는 못 짚는다. 첫째, 시골을 모르고 못 짚는다. 둘째, 숲과 들과 바다 곁에서 숲들바다를 살피는 눈이 없다. 셋째, 말이 너무 어렵고, 일본말씨·옮김말씨를 못 추스른다. 고릴라를 보려면, 마음으로 볼 노릇이다. 숲과 마을을 보려면 마음으로 보아야지. 말과 글도 마음으로 볼 노릇이다. 마음이 없이 섣불리 부스러기(정보·지식)로 다가서려 하니 그르치기 일쑤이다. 어른들이 들려주는 부스러기를 머리에 담고서 “이렇게 바꿔야 해요!” 하고 외치는 아이들이지 않기를 빈다. 아이들 스스로 소꿉놀이를 하면서 “나는 이렇게 하면서 하루를 사랑해요!” 하고 노래하는 아이들이 태어나기를 빈다. 마음을 담는 말부터 씻어야 푸른별도 씻을 수 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5.


《분단시대의 사회학》

 이효재 글, 한길사, 1985.10.20.



비는 그친 아침. 구름이 가득하다. 아침 일찍 면사무소로 두바퀴를 달린다. 시골에서 쓰레기를 줍는 두루일(공공근로)을 하는 할매할배가 옆마을 바깥채에 앉아서 쉰다. 면사무소를 들러서 집으로 돌아오며 보니 이분들은 다 그대로 있다. 숱한 두루일은 시늉이기는 하다. 낮부터 다시 빗줄기가 듣는다. 앵두꽃이 활짝 피고, 동박꽃도 나란히 피며, 꽃찔레도 잎이 나온다. 《분단시대의 사회학》을 오랜만에 되읽었다. 지난 2021년에 새판이 나오기도 했는데, 1985년부터 2024년 사이에도 우리 터전은 썩 안 바뀌었기에, 얼마든지 되새길 만하다. 여러 벼슬꾼이 바뀌고, 주먹꾼이 자리에서 물러나고, 순이는 바지를 마음껏 꿰고, 배움터에서 길잡이가 매를 휘두르는 일은 없다시피 하다. 그렇지만 골목집과 마을집이 사라지면서 잿집이 늘고, 한 집에 쇳덩이(자가용)를 두셋씩 거느리기도 할 뿐 아니라, 시골이 확 무너졌고, 아직 우리말을 쉽고 상냥하게 쓰는 살림길이 깃들지 못 한다. 돈은 늘었으나, 숲이 줄어든 이 나라이다. 배움터를 다닌 사람이 부쩍 늘지만, 풀꽃나무하고 들숲바다를 온몸으로 읽는 사람은 확 줄었다. 마음을 읽거나 사랑을 속삭이는 길이 줄면서, 겉치레가 늘어난다면, ‘분단사회’가 아닌 ‘죽음수렁’일 수 있다.


《분단시대의 사회학》(이이효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21.2.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4.


《사치코, 살아 있습니다 4》

 츠게 아야 글·그림, 미우, 2023.6.15.



엊저녁부터 내리는 비는 멎기도 하다가 내리기도 한다. 고즈넉하게 흐르는 하루이되, 밤부터 새벽 사이에는 숱한 멧새가 신나게 노래를 들려준다. 가만히 귀를 기울이면 열 남짓 다른 멧새노래가 하나로 섞인다. 오늘도 《말밑 꾸러미》 석벌손질을 하는데 한참 멀었다. 서두르지 말자고, 느긋이 꼼꼼히 보자고 생각한다. 《사치코, 살아 있습니다 4》을 읽었다. 넷에서 맺는구나. 그림님이 앞서 선보인 《노다라고 합니다》는 첫머리는 볼 만했으나, 갈수록 길을 잃다가 어영부영 맺었는데, 《사치코》는 그리 어영부영은 아닌 듯하면서도, 길머리가 없이 헤매다가 맺는구나 싶다. 샛길과 어영부영을 줄거리로 보여주려는 뜻일 수 있으리라. 삶이라는 길을 구태여 바른길이나 반짝길로 가야 할 까닭이 없다. 다만, 어느 길이건 다 다르게 꽃길인 줄 알아보면 된다. ‘삶’은 좋은일도 나쁜일도 가리지 않고서 일어난다. 삶을 바라보며 가다듬기에 ‘살림’이다. 스스로 짓는 손길인 살림을 펴고 풀고 맺고 여미는 사이에 ‘사람’이란 무엇인지 생각한다. 이때에 스스로 눈을 빛내어 마음을 틔우니 ‘사랑’을 바라보면서 피어난다. 삶에서 멈추거나 맴돌면 ‘나’를 잊거나 잃으면서 떠돈다.


#?植文 #幸子生きてます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