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에 한 줄, 살며시 읽는 책

 


  책은 마음으로 읽습니다. 지식으로 읽는 책이란 없습니다. 누군가 지식을 가득 담아 책을 쓴다 하더라도, 읽는 우리들은 마음으로 읽습니다. 왜냐하면, 책 하나를 손에 쥐어 읽는 우리들은 스스로 삶을 가꾸거나 북돋우거나 살찌울 때에 스스로 즐겁거든요.


  대학교 졸업장이 내 이름을 높이지 않습니다. 값진 옷차림이 내 얼굴을 드높이지 않습니다. 새까만 자가용이 내 눈빛을 밝히지 않습니다. 오직 내 마음으로 내 이름을 빛냅니다. 오로지 내 마음으로 내 얼굴을 곱게 가꾸고 내 눈빛을 싱그러이 추스릅니다. 김원숙 님이 빚은 이야기책 《그림 선물》(아트북스,2011) 33쪽을 읽으면 “그러고 보면 삶을 움직이는 원동력은 아무래도 사랑이다.” 하는 말마디가 나옵니다. 그림쟁이가 그림을 그리든, 사진쟁이가 사진을 찍든, 글쟁이가 글을 쓰든, 저마다 언제나 ‘사랑’ 하나 있어 삶을 일굽니다.


  시골마을 할머니 할아버지가 흙을 만지며 숲과 들과 바다를 지킬 수 있는 힘이라면 그예 한 가지 ‘사랑’입니다. 딸아들은 모두 도시로 떠나 보내지만 정작 당신은 시골마을에 남아요. 딸아들이 도시로 당신을 부르려 해도 손사래를 칠 뿐, 시골마을을 떠나지 않아요. 허리가 아프네 눈이 어둡네 하지만, 시골뿐 아니라 도시에서 사람들 배부르게 먹을 온갖 곡식과 열매를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거두어요.


  편해문 님은 《아이들은 놀이가 밥이다》(소나무,2012)라는 책 53쪽에서 “대한민국은 작은 골목을 없애 도로를 만들고 동네 마당을 메꾸어 큰 건물을 지어, 이제는 아기자기한 골목도 마당도 보기 쉽지 않다. 골목과 마당이 사라지니 아이들도 함께 자취를 감추었다.” 하고 말합니다. 도시라는 곳은 돈을 더 만들고 돈을 더 벌며 돈을 더 쓰도록 나아가니까, 골목도 마당도 없애기 마련입니다. 나중에서야 겨우 나무 몇 그루 심고 공원 흉내를 내는데, 공원 흉내를 낸 그 자리는 지난날 숲이었어요. 처음부터 숲을 고스란히 살리면 될 노릇이지만, 도시에서는 숲을 되살리거나 지키지 않아요. 언제나 돈을 들여 무언가 뚝딱거립니다.


  깊은 가을날, 아이들 이끌고 바다로 마실을 갑니다. 사람들은 여름바다에서만 물놀이를 하는데, 봄바다에서도 가을바다에서도 물놀이를 즐길 만합니다. 겨울바다라고 물놀이를 못 즐길 까닭이 없습니다. 바다에서는 물을 밟고 만지며 튕길 수 있어 좋아요. 숲에서는 풀을 밟고 만지며 뜯어먹을 수 있어 즐거워요. 들에서는 바람을 쐬고 햇살을 누리며 풀내음 짙게 맡아요.


  돌이켜보면, 책이란 곧 삶이지 싶어요. 삶이 바로 책이지 싶어요. 바다에서 책을 읽어요. 논배미와 유자밭에서 책을 읽어요. 나락을 말리는 할머니 손길에서 책을 읽어요. 풀개구리 한 마리한테서 책을 읽어요.


  카렐 차페크 님은 《원예가의 열두 달》(맑은소리,2002)이라는 책을 쓰며 138쪽에서 “관청의 창가에는 아무것도 피어 있지 않거나 빨강과 흰색의 제라늄만이 피어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관청에서 자라는 식물에 대해서는 공무원 또는 장관의 의지와 호의와 일정한 전통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리고 철도청 관리 아래서 식물은 가장 왕성하게 성장하며, 우체국과 전화국에서는 도무지 아무것도 피지 않는다.” 하고 노래합니다. 참말, 시골 군청이나 면사무소에서조차 ‘꽃’도 ‘풀’도 ‘나무’도 보기 힘들어요. 자동차 세우는 터만 널따랗습니다. 잔디밭조차 구경하기 어려워요. 건물은 커지기만 할 뿐, 숲이 늘어나는 일이 없어요. 사람들은 애써 수목원으로 나무내음 풀내음 즐기려 간다고 하지만, 정작 이녁 삶자리에 숲이 우거지고 나무가 푸른 잎사귀 흔들며 바람노래 들려주도록 하지 않아요.


  이선관 님 시집 《우리는 오늘 그대 곁으로 간다》(실천문학사,2000)를 읽습니다. 〈만약 통일이 온다면 이렇게 왔으면 좋겠다〉라는 짤막한 시를 찬찬히 곱새깁니다. “여보야 / 이불 같이 덮자 / 춥다 / 만약 통일이 온다면 이렇게 / 따뜻한 솜이불처럼 / 왔으면 좋겠다” 겨울날 솜이불 함께 덮는 ‘통일’이로군요. 겨울날 고구마 쪄서 나누어 먹는 ‘통일’도 되겠지요. 따순 봄을 함께 꿈꾸는 ‘통일’도 될 테고, 찬바람 싱싱 불어도 노랗고 하얀 꽃송이 뽐내는 가을 들꽃 어깨동무하며 바라보는 ‘통일’도 될 테지요. 삶을 살며시 읽으며 책을 마음 깊이 녹입니다. (4345.11.5.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풀개구리 책읽기

 


  이제 개구리 노랫소리 안 들리니 개구리들 모두 겨울잠 들었나 싶을 무렵, 마당가 샘터에서 풀개구리 한 마리를 보았다. 시월 첫머리였나. 그러고서 보름쯤 지나 서재도서관 풀숲에서 폴짝 뛰어올라 내 손가락에 사뿐히 올라탄 풀개구리 한 마리를 보았다. 다시 보름이 지난 십일월 첫머리, 아직 다른 풀개구리가 나한테 찾아오지는 않는다. 나는 다른 풀개구리를 더 만나지 못하지만, 어딘가 풀숲에서 조용조용 숨죽이며 먹이를 찾고 짝꿍을 찾으며 가을볕을 누리는 풀개구리 있을는지 모른다.


  이 작고 가녀린 몸으로 너는 참 예쁘게 살아가는구나. 그렇지만, 사람 몸뚱이로 너를 바라보면 네가 몹시 작지만, 네 눈길로 개미를 바라보면 개미가 더없이 작을 테지. 지구별이라는 마음결로 나 한 사람을 바라본다면 내 몸뚱이 하나란 그지없이 작을 테고.


  밤하늘 가득 빛나는 별을 바라볼 때면, 지구별 하나란 얼마나 작으며 예쁘장할까 하는 생각이 든다. 숫자를 가늠할 수 없도록 많은 별들은 저마다 어떤 삶·꿈·사랑을 노래하며 하루하루를 누릴까 궁금하다. 어마어마하게 많은 별들이 온누리를 이루고, 이 가운데 지구별이 하나 있듯, 내 몸뚱이 또한 어마어마하게 많은 세포로 ‘사람누리’를 이루면서, 이 가운데 손가락 하나를 움직이고 손톱 하나 자라며, 조그마한 풀개구리 하나 살며시 길동무처럼 찾아든다고 할 만할까.


  생각을 가다듬어 내 어린 날을 되새긴다. 인천이라 하는 도시에서 나고 자랐지만, 동네에서 땅강아지를 쉽게 만났고, 아파트 꽃밭이나 동네 텃밭이나 바닷가 풀숲 언저리에서 언제나 여러 개구리를 보았다. 주먹만 한 흙개구리를 보며 네가 잡히나 내가 잡나 하고 숨바꼭질 즐기곤 했다. 2012년 오늘날에도 인천이라 하는 도시에서 살아가는 아이들은 개구리를 만날 수 있을까. 이 나라 도시 가운데 쉽게 개구리하고 동무 삼으며 놀 만한 터전이나 보금자리가 있을까. 이 나라 시골 가운데에는 얼마나 많은 아이들이 개구리랑 사이좋게 어깨동무하면서 하루를 누릴까. 가을이 저물고 겨울이 찾아든 다음, 천천히 봄이 스며들면 시나브로 논개구리 멧개구리 한꺼번에 깨어나 새삼스레 노래잔치를 베풀어 주겠지. 고즈넉하고 조용한 가을이 흐른다. (4345.11.4.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보기
― 흔들리는 사진에

 


  애써 찍은 사진이 흔들리면 어딘가 서운하다고 여깁니다. 흔들린 사진이라 해서 값어치가 떨어질 까닭은 없지만, 나는 흔들린 사진을 바라지 않습니다. 어두운 곳에서 사진을 곧잘 찍으면서도, 또 집에서 저녁나절 아이들 뒹구는 모습을 으레 찍으면서도, 셔터값 1/15초나 1/8초나 1/4초로도 안 흔들리는 사진이 나오기를 바랍니다.


  가만히 따지면, 1/4초마저도 안 되는 1/0.3초나 1/0.08초로 찍으면서 안 흔들리기란 몹시 어렵다 할 만합니다. 이렇게 사진을 찍자면 세발이를 받칠 만합니다. 그렇지만, 이리 놀고 저리 움직이는 아이들을 찍자며 집안에서 세발이를 받치고 움직일 수 없어요. 내가 사진을 즐겨찍는 곳인 헌책방에서 세발이 대고 사진을 찍기도 매우 까다롭습니다.


  나는 내 몸을 세발이로 삼습니다. 숨을 훅 들이마시고는 한동안 숨을 멈춥니다. 마시지도 내뱉지도 않는 채 퍽 오래 기다립니다. 손끝 떨림 하나 없도록 몸을 다스리고는 차아알칵 하고 한 장 찍습니다. 벽에 기대어 찍기도 하지만 벽 없는 데에서 찍기도 하고, 바닥에 쪼그려앉거나 거의 엎드리다시피 찍기도 합니다.


  안 흔들리는 사진을 바라면 참말 안 흔들리는 채 사진을 얻는구나 싶기도 합니다. 한편, 아주 가끔 그런데, 흔들린 사진 가운데 ‘어, 이 사진 훨씬 마음에 드네.’ 싶기도 합니다. 왜 ‘흔들린 사진 하나가 더 마음에 드는’지는 잘 모릅니다. 다만, ‘사진으로 찍히기로는 흔들린 사진’이지만, 이 사진을 찍던 때 내 마음이 아주 너그럽거나 따사롭거나 즐겁거나 예쁘기에, ‘흔들리건 안 흔들리건’ 내 마음이 촉촉하게 젖으며 반갑구나 하고 여기지 싶어요. 흔들리는 사진에 내 마음이 사로잡힌달까요. (4345.11.4.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2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도권학교 책읽기

 


  제도권학교는 아이들을 나이에 따라 줄을 세운 다음, 똑같이 생긴 교실에 넣고, 똑같이 생긴 걸상에 앉혀, 똑같은 교과서를 펼치고, 똑같은 지식을 머리에 담도록 이끕니다. 제도권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은 삶을 배우지 못하고, 제도권학교에서 일하는 어른들은 삶을 가르치지 못합니다. 아이들은 초·중·고등학교 열두 해를 다니는 동안 밥짓기·옷짓기·집짓기 어느 하나 배우지 못하고, 어른들은 밥짓기도 옷짓기도 집짓기도 가르치지 못하는데, 이를 배우거나 가르쳐야 삶을 누릴 수 있다는 생각조차 하지 못합니다.


  톱니바퀴 가운데 하나가 되어 똑같이 움직이도록 내모는 제도권학교에서는, 아이도 어른도 쳇바퀴를 돌 뿐입니다. 삶을 누리거나 사랑을 나누는 길을 걷지 못합니다. 삶하고도 동떨어지고, 사랑하고도 등질 뿐더러, 꿈을 빛내는 길하고도 멀어집니다. 제도권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은 ‘돈을 벌 일자리’를 ‘도시에서 몇 가지’ 찾지만, 정작 아이 스스로 무엇을 아끼고 좋아하는지를 느끼거나 헤아리지 못합니다. 삶을 누리는 일이나 사랑을 나누는 놀이를 살피거나 돌아보지 못합니다. 어른도 이와 같아, 어른 스스로 ‘교과서 지식 알려주는 몫’은 하지만, 어른이자 어버이로서 ‘삶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참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즐기지 못합니다.


  제도권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은 책을 못 읽습니다. 오직 ‘학습’을 하고 ‘독서’를 하며 ‘독후 활동’이나 ‘독후감’이나 ‘논술’에 얽매입니다. 아이들 손에 책이 있다고 하지만, 이는 책 아닌 종이꾸러미일 뿐, ‘삶을 밝히고 사랑을 깨달으며 꿈을 북돋우는 이야기’ 깃든 슬기꾸러미로 스며들지 못합니다. 아이들을 가르친다는 어른(교사)이 손에 책을 쥐더라도 이와 비슷해요. 어른 또한 사랑을 깨달으려고 책을 펼치지 않습니다. 어른부터 삶을 밝히려고 책을 읽으면서 어른다이 살아가는 꿈을 북돋울 수 있어야 아름다울 텐데, 제도권학교에 길든 어른 가운데 이녁 넋을 곱게 돌보려고 책을 쥐는 이는 너무 적어요. 어쩌면 제도권학교에서 달삯쟁이로 일하면 ‘삶·사랑·꿈’하고는 고개를 돌려야 할는지 모르지요.


  다 다른 아이들은 잠을 자도 다 다르게 잡니다. 몇 분 더 자는 아이가 있고, 몇 분 덜 자는 아이가 있습니다. 밥을 먹건 물을 마시건, 먹고 마시는 부피가 다르고, 먹고 마시는 빠르기가 다릅니다. 풀과 꽃을 쓰다듬을 때에 손끝에서 가슴으로 스미는 느낌이 다르고, 별과 무지개를 바라보는 느낌이 달라요. 다 다른 아이들은 다 다른 삶·사랑·꿈을 찾아 다 다른 책을 손에 쥐면서 다 다른 얼을 빛내야 할 테지만, 제도권학교에 깃들고 나면 ‘모두 같은 책’을 읽으면서 ‘모두 같은 줄거리’를 훑으며 ‘모두 같은 느낌글’을 쓰도록 내몰립니다.


  시 하나를 읽힐 때에 다 다른 아이가 다 같이 느껴야 할까요. 시 하나를 쓸 적에 ‘하늘’이 글감이든 ‘흙’이 글감이든 다 다른 아이가 다 같은 이야기와 모양새로 시를 써야 할까요.


  학교에 다녀야 한다면, 그야말로 ‘가르치고 배우는 터’인 ‘배움터’에 다녀야 올바릅니다. 그러나, 아이들은 학교 아닌 사랑을 나누는 곳에서 자라고 놀며 살아야 맞습니다. 어른 또한 아이들을 가르치는 몫을 할 일이 아니라, 아이와 함께 무럭무럭 자라고 씩씩하게 놀며 예쁘게 살아야 맞습니다.


  삶을 누리는 사람만 책을 읽을 줄 압니다. 사랑을 나누는 사람만 책을 아낄 줄 압니다. 꿈을 빛내는 사람만 책을 쓸 줄 압니다. (4345.11.3.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란 은행잎 책읽기

 


  창원중앙역에서 기차를 내려 한 시간 남짓 창원시 언저리와 한복판을 걷는다. 처음 창원중악역 둘레를 걷는 동안, 퍽 많구나 싶은 나무들이 우람하게 자라 숲을 이루어 눈이 확 트이고 가슴이 시원스레 열린다. 나무내음이 물씬 풍기며 알록달록 곱다. 이윽고 나무숲을 지나 시내 한복판으로 접어들 무렵부터 나무는 온데간데없고 높다란 건물과 널따란 찻길과 끝없는 자동차가 물결을 이룬다. 나무그늘 아닌 건물그늘에서 벗어날 무렵 새삼스레 노란 은행잎이 빛나는 조그마한 거님길이 나오고, 5층짜리 나즈막한 아파트가 나온다. 도시에서 숨을 틀 만한 데가 시내 바깥에 살짝살짝 있구나. 도시에서 가장 예쁘다 할 만한 이 노란 은행잎 거님길을 걷는 아이들이 있네. 이 길을 거닐면서 노란 가을내음 가을빛 가을바람 누릴 수 있겠지. 도시에서 배기가스 때문에 은행나무만 심지 말고, 감나무도 심고 능금나무도 심으면, 감나무 우거진 길을 거닐며 감알 발그스름한 싱그러운 빛깔과 내음을 물씬 누릴 테고, 복숭아나무도 심고 살구나무도 심으면 봄날 이 길을 거닐 적에 복숭아꽃 살구꽃 흐드러진 고운 빛깔과 내음을 듬뿍 누리겠지. (4345.11.3.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