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4.29.


《문지 에크리 : 빛과 실》

 한강 글, 문학과지성사, 2025.4.18.첫/2025.4.21.2벌



서울 성산동에서 살아가는 이웃님하고 새벽 4시까지 여러 노래를 들으며 수다꽃을 피웠다. 살짝 눈을 붙인 뒤에 《미래 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끝손질(최종교정)’을 마쳐서 펴냄터로 보낸다. 기지개를 켠다. 어제 마을책집 세 곳에서 산 책을 하나하나 읽고서 글을 조금 여민 뒤, 버스와 전철을 갈아타고서 부천으로 건너간다. 한낮인 12시부터 “얘들아 술?” 하며 왁자지껄한 스물 언저리 젊은이 무리 옆을 스친다. 그래, 너희는 한낮술을 하렴, 난 ‘한낮책’을 할게. 〈빛나는 친구들〉에 깃들어 책을 읽는다. 이윽고 〈용서점〉으로 건너가서 ‘사읽어용(책을 사서 읽어용)’ 모임을 꾸린다. 예전에는 이 나라에 책숲(도서관)이 제대로 없었기에, 지난날에는 “사읽어야만 하는 책”이었고, 오늘날에는 책숲도 잘 갖추고 볼거리에 놀거리가 가득하니 ‘안읽어용’ 하는 분이 많다만, 돈과 품과 짬을 들여서 사읽을 적에 우리 스스로 빛나는 씨앗 한 톨을 얻고 나누고 심는 하루를 살아낸다고 본다. 《문지 에크리 : 빛과 실》을 책집에서 서서 읽었다. 5분 걸렸나? 빈자리 넘실대는 듬성듬성 엮음새에 15000원 책값이라니, 너무하다. 글보람(문학상)은 기릴 만하되, 글보람을 등에 업고서 너무 얕게 종이장사를 하는구나 싶다. 얇은 주머니책으로 고작 50쪽이 될랑 말랑 한 꾸러미를 172쪽까지 부풀리느라 용썼구나 싶지만, 이렇게 책을 내서 ‘팔아치워 돈만 벌 셈’이라면, ‘책에 등돌리는 사람’을 늘리는 굴레로 치달으리라 느낀다. 왜 이렇게 책을 내야 할까? 손바닥책이 아닌 ‘손바닥책 시늉’으로 책을 묶으면 사람들이 무엇을 배우거나 느낄 만한가? 갈수록 ‘안 읽고 안 배우고 안 익히는 나라’로 나뒹군다면, 글보람을 받은 글지기가 더더욱 꽉꽉 채우는 “알찬 글빛”을 펼 일이지 않을까? “50쪽에 3000원 더 작은책”으로 낼 만한 글모음을 “172쪽에 15000원 더 멋부린 결”로 내놓는 펴냄터와 글지기는 부끄러운 줄 알아야지 싶다. 이런 책으로는 글밭을 못 살릴 뿐 아니라, 온통 갈라치기가 판치는 이 나라에 사랑씨앗으로 깃들 책이 될 수 없다고 느낀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누리책집에서

빛과 실,

이 책을 살피면

끼워팔기가 어마어마하다.

창피하지 않을까?

아니,

창피를 잊었기에

"책을 끼워주고"서

돈벌이를 일삼겠지.


우리가 '작가'라면 이런 '끼워팔기 장삿속'을

마땅히 손사래쳐서

출판사가 "정신 좀 차리라"고,

"책을 엮어서 내놓으라"고

나무라야 할 노릇이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