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4.27.


《로자 파크스 나의 이야기》

 로자 파크스·짐 해스킨스/최성애 옮김, 문예춘추사, 2012.3.15.)



어버이라면 아이하고 얼굴을 마주하며 이야기하는 보람으로 하루를 기쁘게 살아낼 만하다고 느낀다. 아이를 낳아서 어버이라는 자리를 얻을 적에는, 바깥일을 알맞게 하되 집안일을 사랑으로 품고서 함께 풀어내는 길을 열어야지 싶다. 두 아이는 곧잘 “왜 아버지 혼자 일을 다 해요?” 하고 묻지만 “너희가 스스로 하루를 그려서 하고픈 일과 놀이가 있을 적에는, 파란놀 씨가 집안일을 도맡으면 돼.” 하면서 빙그레 웃는다. ‘어버이’란, 집안일을 도맡으면서 춤과 노래로 웃는 사람일 적에 누리는 이름이라고 본다. ‘아이’란, 보금자리에서 늘 사랑을 느끼고 물려받으면서 실컷 뛰어노는 사람이 누리는 이름이지 싶다. 《로자 파크스 나의 이야기》를 이제서야 읽는다. 이런 놀라운 책을 한글로 옮긴 2012년에 우리나라 새뜸은 〈동아일보〉쯤만 글을 낸 듯싶다. 살짝 어이없는 노릇이지만, 모든 아름책을 알아보지 않는 새뜸이니 어쩔 길이 없기는 하다. ‘로자 파크스 목소리’로 지난날 미국을 읽자니 ‘밖으로 알려진 이야기’와 꽤 다른 줄 새삼스레 느낀다. 로자 파크스 님은 ‘모든 흰사람이 나쁘다’거나 ‘모든 검은사람이 착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나라가 시키는 대로 길들면 어느 살갗이든 얼을 잃고, 스스로 아이곁에 서며 살림을 지으면 어느 살갗이든 어깨동무한다고 들려준다. ‘미워할 흰둥이’가 아니라 ‘아직 삶·살림·사랑을 모르는 이웃(흰사람)한테 삶·살림·사랑을 어떻게 보여주고 나눌 만할까?’ 하고 생각할 적에 푸른별을 바꿀 수 있다고 들려준다. 대단히 놀랍고 빛나며 아름다운 책이다.


#RosaParksMyStory #RosaParks #JimHaskins

#RosaLeeLouiseMcCauleyParks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