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발전 發展


 발전을 이룩하다 → 발돋움하다 / 나아가다 / 거듭나다

 자기 발전을 위해 노력하다 → 스스로 거듭나려 애쓰다

 회사가 발전되려면 → 일터가 자라려면 / 일터가 크려면

 최근 눈에 띄게 발전하고 있다 → 요새 눈에 띄게 달라진다

 이야기가 이제 발전 단계로 접어들었다 → 이야기가 이제 무르익는다

 사태의 발전 양상을 보니 → 일이 어떻게 되나 보니

 내기가 일단 노름으로 발전되면 → 내기가 노름으로 바뀌면

 사태가 엉뚱한 방향으로 발전했다 → 일이 엉뚱한 쪽으로 뻗는다

 어른들 싸움으로 발전하였다 → 어른들 싸움으로 치달았다


  ‘발전(發展)’은 “1. 더 낫고 좋은 상태나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감 2. 일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됨”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나아가다·나아지다·낫다·뻗다·좋아지다’나 ‘가다·굴러가다·걸어가다·뚜벅이·흐르다’나 ‘달리다·내달리다·내닫다·내딛다·치닫다’로 손볼 만합니다. ‘발걸음·걸음·앞걸음·움직이다·한걸음 나아가다’나 ‘거듭나다·다시 태어나다·살리다·새로 태어나다’로 손보고, ‘기지개·날개돋이·껍질벗다·눈뜨다·알깨기’나 ‘늘다·늘어나다·붙다·불다·불거지다’로 손봐요. ‘너울·물결·높다·일다·일어나다·일어서다·일으키다’나 ‘달라지다·바꾸다·무르익다·배우다·익히다’로 손볼 수 있고, ‘꽃철·곱다·봄·봄날·봄철·아름답다’나 ‘빛·빛나다·빛접다·환하다·훤하다’나 ‘새롭다·새뜸·해돋이·해뜸’으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새로가다·새로걷다·새로서다·새로짓다·새로찾다·새로하다’나 ‘생기다·생겨나다·서다·쓸만하다’로 손보고, ‘퍼뜨리다·퍼지다·펼치다·피다·피우다·피어나다’나 ‘살림꽃·살림멋·살림빛·삶빛’으로 손봅니다. ‘열다·트다·이루다·이룩하다·이르다·되다·잘되다·잘하다’나 ‘자라다·자라나다·커지다·크다·키우다·북돋우다’나 ‘손씻기·잘못씻기·착한길 가다·착해지다·허물씻이’로 손보아도 되어요. ㅅㄴㄹ



사람은 동물과 달라서 무한히 발전할 수 있는 것은 경험을 그저 기억할 뿐만 아니라 정리해서 기억한다

→ 사람은 짐승과 달라서 끝없이 거듭날 수 있는데, 삶을 그저 되새길 뿐만 아니라 추슬러서 담는다

→ 사람은 짐승과 달라서 가없이 배울 수 있는데, 살림을 그저 곱씹을 뿐만 아니라 차곡차곡 담는다

《유토피아의 꿈》(최인훈, 문학과지성사, 1980) 364쪽


자신의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그것을 섭취 동화하도록 힘쓰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 제 살림꽃을 키우려면 이를 품고 하나되도록 힘쓰지 않으면 안 된다

→ 스스로 살림을 북돋우려면 이를 익히고 녹이도록 힘쓰지 않으면 안 된다

《한국과 西洋》(정기수, 을유문화사, 1988) 269쪽


연륜이 쌓일수록 성숙해지고 발전해 나간다고 봅니다

→ 켜가 쌓일수록 익고 자라리라 봅니다

→ 자랄수록 무르익고 발돋움하리라 봅니다

《미국의 송어낚시》(리처드 브라우티건/김성곤 옮김, 논지당, 1991) 214쪽


힘들었지만 열심히 했고 그러다 보니 발전이 있었다

→ 힘들었지만 힘껏 했고 이러다 보니 껍질을 벗었다

→ 힘들었지만 힘을 냈고 이러다 보니 조금씩 컸다

《심형래의 진짜 신나는 도전》(심형래, 21세기북스, 1999) 254쪽


이렇게 노동을 하면서 정해진 일정한 관념적 목표가 상상이라는 사고 형태로 발전되어 온 것이다

→ 이렇게 일하면서 마련한 길이 생각이라는 모습으로 발돋움한다

→ 이렇게 일하면서 세운 틀이 꿈이라는 빛살로 자라난다

《생각은 힘이 세다》(위기철, 청년사, 2001) 58쪽


모든 사람이 밑바탕으로부터 조화를 이루고, 문명과 자연이 혼연일체가 된 새로운 발전이 되어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

→ 모든 사람이 밑바탕부터 어우러지고, 서울과 숲이 하나가 되어 새롭게 발돋움해야 마땅하다

→ 모든 사람이 밑바탕부터 어울리고, 새길과 풀꽃도 어우러져서 새롭게 거듭나야 마땅하다

→ 모든 사람이 밑바탕부터 함께하고, 서울길과 숲길이 어깨동무를 하며 새롭게 가야 마땅하다

→ 모든 사람이 밑바탕부터 나란하고, 서울빛과 숲빛이 오롯이 하나되어 새롭게 거듭나야 마땅하다

《여기에 사는 즐거움》(야마오 산세이/이반 옮김, 도솔, 2002) 253쪽


장족의 발전이라고 생각합니다

→ 크게 나아갔다고 생각합니다

→ 꽤 발돋움했다고 생각합니다

→ 무척 배웠다고 생각합니다

《천재 유교수의 생활 23》(야마시타 카즈미/신현숙 옮김, 학산문화사, 2004) 128쪽


한국 정치에서 절차적 민주주의 발전은 1987년 6월 항쟁을 거치면서 본격화되었고, 김대중 시대에 공고화되었다고 봐야 한다

→ 우리나라에서 디딤길 들빛누리는 1987년 6월 물결을 거치면서 퍼져나갔고, 김대중 무렵에 뿌리내렸다고 봐야 한다

→ 우리 벼슬판에서 디딤돌 두루길은 1987년 6월 물결을 거치면서 발돋움했고, 김대중 무렵에 자리잡았다고 봐야 한다

→ 이 땅에서 반듯한 고루길은 1987년 6월 물결을 거치면서 발돋움했고, 김대중 무렵에 꽃피웠다고 봐야 한다

《당당한 아름다움》(심상정, 레디앙, 2008) 135쪽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이 결코 따로따로가 아니라는 걸 국민들이 알게 된 거예요

→ 사람들은 아름길과 발돋움이 따로따로가 아닌 줄 알아차렸어요

→ 사람들은 어깨동무와 밥벌이가 따로따로가 아닌 줄 알았어요

《한홍구의 청소년 역사 특강》(한홍구, 철수와영희, 2016) 242쪽


현지에서 독자적 발전을 거친 언어인데

→ 그곳에서 새로 발돋움한 말인데

→ 마을에서 따로 자라난 말인데

《여행하는 말들》(다와다 요코/유라주 옮김, 돌베개, 2018) 62쪽


순수하게 사전의 진보와 발전을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 그저 낱말책이 거듭나고 나아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 오직 말꽃이 피어나고 한결 낫기를 바랄 뿐이다

《새로운 단어를 찾습니다》(사사키 겐이치/송태욱 옮김, 뮤진트리, 2019) 204쪽


점점 더 가속적으로 발전해 온

→ 더 빠르게 발돋움한

→ 더욱 빨리 자란

《책은 시작이다》(오사다 히로시/박성민 옮김, 시와서, 2022) 4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재료 材料


 음식 재료 → 밥감 / 밥거리

 건축 재료 → 짓는감 / 지을거리

 재료가 부족하여 → 밑감이 모자라 / 밑천이 적어

 관찰의 재료로 삼았다 → 볼거리로 삼다

 대하소설의 집필을 위한 재료 수집에 착수했다 → 가람글을 쓸 밑감을 모은다

 그 실험을 하려면 많은 재료가 필요하다 → 이렇게 하려면 여러 가지가 든다

 수필의 재료는 → 삶글감은 / 살림글거리는


  ‘재료(材料)’는 “1. 물건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감 2. 어떤 일을 하기 위한 거리 3. [경제] 증권 거래에서 주식의 시세를 움직이는 요인”을 가리킨다지요. ‘감·거리’나 ‘밑감·밑천·밑거름’으로 손봅니다. ‘바탕·살림’이나 ‘살리다·이루다’로 손보아도 돼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재료(齋料)’를 “재(齋)를 올리는 데 들어가는 비용”으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냅니다. ㅅㄴㄹ



최근에는 초콜릿에 색다른 재료를 첨가제로 쓰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 요새는 달콤이에 남다르게 더하기 일쑤이다

→ 요즘은 달달이에 새맛을 보태곤 한다

《카카오》(안드레아 더리·토마스 쉬퍼/조규희 옮김, 자연과생태, 2014) 42쪽


오직 맥주 본연의 재료만을 가지고 끊임없이 고민하고 연구하여

→ 오직 맥주 하나만을 끊임없이 생각하고 살펴서

→ 맥주를 빚는 보리하고 물만 끊임없이 헤아리고 파고들어

《언니는 맥주를 마신다》(윤동교, 레드우드, 2016) 112쪽


각종 노천온천에 그 지역의 신선한 재료로 만든 맛있는 요리가 나오고

→ 온갖 한뎃포근샘에 그 고장 싱싱한 살림으로 지은 맛밥이 나오고

→ 여러 한뎃더운샘에 그 마을 싱싱한 살림으로 지은 맛밥이 나오고

《경계의 린네 23》(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6) 98쪽


집 주변에서 재배한 소중한 재료지요

→ 집 둘레에서 키운 고마운 밑감이죠

→ 집 곁에서 돌본 알뜰운 밑천이죠

《득도 아빠》(사와에 펌프/고현진 옮김, 애니북스, 2018) 89쪽


이 재료로는 어떤 빵을 만들면 좋을까

→ 이 밥감으로 어떤 빵을 하면 좋을까

→ 이 밑감으로 어떤 빵을 구우면 좋을까

《달을 보며 빵을 굽다》(쓰카모토 쿠미/서현주 옮김, 더숲, 2019) 10쪽


이 모두가 탄탄하고 만족스러운 장편의 재료인데

→ 이 모두가 긴글을 탄탄하고 즐겁게 살리는데

→ 이 모두가 긴글을 탄탄하고 넉넉히 이루는데

《찾을 수 있다면 어떻게든 읽을 겁니다》(어슐러 K.르 귄/이수현 옮김, 황금가지, 2021) 403쪽


음식과 요리를 잘하여 재료와 사람을 적게 쓰면서도

→ 밥을 잘하여 밥감과 사람을 적게 쓰면서도

→ 밥을 잘 지어 밑감과 사람을 적게 쓰면서도

《전통 채식 밥상》(서유구/정정기 옮김, 샨티, 2021) 10쪽


쑥은 떡의 재료가 될 뿐 아니라 만능 약초로 여겨질 정도로 약효가 다양해서

→ 쑥은 떡감이 될 뿐 아니라 온살림풀로 여길 만큼 훌륭해서

→ 쑥은 떡으로 쓸 뿐 아니라 온풀로 여길 만큼 알뜰해서

《전략가 잡초》(이나가키 히데히로/김소영 옮김, 더숲, 2021) 21쪽


모형비행기 재료를 구입하기 위함이라고 했습니다

→ 놀이날개를 사려 한다고 했습니다

《아이에게 배우는 아빠》(이재철, 홍성사, 2021) 92쪽


미리 준비해 둔 재료를 꺼내 떡볶이를 뚝딱 만들었다

→ 미리 챙긴 꾸러미를 꺼내 떡볶이를 뚝딱 했다

→ 미리 챙긴 살림을 꺼내 떡볶이를 뚝딱 차렸다

《손가락만 까딱하면》(황미숙, 고래책빵, 2021) 49쪽


다양한 재료를 물고 둥지 안으로 들어간다

→ 여러 가지를 물고 둥지로 들어간다

《도시 오목눈이 성장기》(오영조, 자연과생태, 2023) 32쪽


육해공의 재료를 다 굽고 나면 불을 땐다. 불멍 시간이다

→ 물뭍하늘감을 다 굽고 나면 불을 땐다. 불멍이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 시골》(박정미, 스토리닷, 2023) 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함정수사



 함정수사에 협력하기로 했다 → 숨어찾기를 돕기로 했다

 함정수사로 적발되었다 → 몰래눈에 걸렸다 / 덫놓기에 잡혔다


함정수사(陷穽搜査) : [법률] 통상적인 수사 방법으로는 범인을 체포하기 어려운 범죄를 수사할 경우에, 수사 기관이나 그 하수인이 신분을 속이고 범죄를 유도한 후에 그 실행을 기다려 범인을 체포하는 수사 방법. 마약 단속법에서는 이를 허용하고 있다



  몰래 지켜보거나 숨어서 찾을 때가 있습니다. 덫을 놓고서 걸리기를 기다리기도 합니다. 이러한 여러 가지를 ‘덫놓기’나 ‘몰래보기·몰래찾기·몰래눈’이나 ‘숨어보기·숨어찾기·숨은눈’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ㅅㄴㄹ



물론 함정수사지

→ 그래 덫놓기지

→ 그럼 몰래보기지

→ 뭐 숨어보기지

《조폭 선생님 2》(모리모토 코즈에코/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03) 17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02 : 완벽 소설에의 편지에의 가지고 있다


나는 완벽한 소설에의 꿈보다 완벽한 편지에의 꿈을 가지고 있다

→ 나는 글꽃을 잘 쓰기보다 글월을 잘 쓰고 싶다

→ 나는 이야기보다 글월을 잘 쓰고 싶다

《발바닥 내 발바닥》(김곰치, 녹색평론사, 2005) 262쪽


글꽃을 잘 써도 되지만, 굳이 잘 써야 하지 않습니다. 글월을 훌륭히 써도 되나, 애써 훌륭히 쓸 일은 없습니다. 마음을 담기에 나눌 만한 글입니다. 이야기를 얹어서 사랑을 속삭이고 살림길을 밝히니 넉넉히 누리는 글입니다. ‘잘’에 얽매이기에 빈틈을 안 보이려 하는데, 빈틈없이 쓴대서 잘 쓴 글도 훌륭히 여민 글도 아니에요. 사랑은 잘잘못을 가리지 않거든요. 살림은 잘잘못으로 가르지 않습니다. 잘잘못은 오로지 솜씨나 재주로 기울면서 속빛하고 등집니다. ㅅㄴㄹ


완벽(完璧) : 1. 흠이 없는 구슬이라는 뜻으로, 결함이 없이 완전함을 이르는 말 2. 빌린 물건을 정중히 돌려보냄 = 완벽귀조

소설(小說) : 1. [문학] 사실 또는 작가의 상상력에 바탕을 두고 허구적으로 이야기를 꾸며 나간 산문체의 문학 양식. 일정한 구조 속에서 배경과 등장인물의 행동, 사상, 심리 따위를 통하여 인간의 모습이나 사회상을 드러낸다. 분량에 따라 장편·중편·단편으로, 내용에 따라 과학 소설·역사 소설·추리 소설 따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옛날의 설화나 서사시 따위의 전통을 이어받아 근대에 와서 발달한 문학 양식이다 ≒ 이야기 2. 소설이 실린 책 = 소설책

편지(便紙/片紙) : 안부, 소식, 용무 따위를 적어 보내는 글 ≒ 간독·간찰·서간·서독·서소·서신·서장·서찰·서척·서한·서함·성문·신·신서·이소·찰한·척한·편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168 : 새들의 방문


더위 탓인지 새들의 방문이 줄었다

→ 더위 탓인지 새가 덜 찾는다

→ 더위 탓인지 새가 뜸하다

《1일 1새 방구석 탐조기》(방윤희, 생각정원, 2023) 150쪽


새가 찾아오니 “새가 찾는다”나 “새가 내려앉는다”처럼 이야기합니다. 새가 덜 찾아오니 “새가 덜 찾는다”나 “새가 뜸하다”처럼 얘기하지요. 한 마리이건 열 마리이건 ‘새’입니다. ㅅㄴㄹ


방문(訪問) : 어떤 사람이나 장소를 찾아가서 만나거나 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