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초- 初


 초대면 → 첫만남

 초봄 → 첫봄

 사회 초년생 → 사회 새내기 / 사회 풋내기


  ‘초(初)-’는 “‘처음’ 또는 ‘초기’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라고 해요. ‘처음’이나 ‘첫’으로 손볼 만합니다. 때로는 ‘이른’으로 손볼 수 있고, ‘초저녁’은 ‘저녁어스름·저녁거미’로 손볼 만합니다. 2018.3.4.해.ㅅㄴㄹ



초가을이라 햇볕은 아직 따스했지만

→ 첫가을이라 햇볕은 아직 따스했지만

→ 이른가을이라 햇볕은 아직 따스했지만

→ 이제 가을이라 햇볕은 아직 따스했지만

《전쟁과 배나무》(이범선, 관동출판사, 1975) 196쪽


1428년 초겨울이었다

→ 1428년 첫겨울이었다

→ 1428년 이른겨울이었다

《위대한 늑대들》(어니스트 톰슨 시튼/장석봉 옮김, 지호, 2004) 60쪽


초저녁이 사라져버린 서울

→ 저녁어스름이 사라져버린 서울

→ 저녁거미가 사라져버린 서울

→ 땅거미가 사라져버린 서울

《전당포는 항구다》(박형권, 창비, 2013) 67쪽


계를 받고 처음 맞이한 초하룻날 기도를 하면서

→ 계를 받고 처음 맞이한 새달 첫날 기도를 하면서

→ 계를 받고 처음 맞이한 하룻날 기도를 하면서

《개.똥.승.》(진엽, 책공장더불어, 2016) 145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