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해학 諧謔


 해학이 넘치는 재담 → 익살이 넘치는 말

 풍자와 해학이 뛰어난 → 비웃기와 익살이 뛰어난

 해학과 익살로 엮어진 한 편의 풍자시 → 익살로 나무라는 시 한 편


  ‘해학(諧謔)’은 “익살스럽고도 품위가 있는 말이나 행동 ≒ 배회(俳?)·호해·회해”를 가리킨다고 해요. ‘익살’로 고쳐쓸 만한 낱말입니다. 한국말사전 보기글을 살피면 “해학이 넘치는 재담”이 나오는데, ‘재담(才談)’은 “익살과 재치를 부리며 재미있게 이야기함”을 뜻하니 겹말입니다. 한자말을 안 써야 하지는 않으나, 말뜻을 제대로 못 짚으면서 겹말을 자꾸 쓰는 이런 얼거리를 보면 쓴웃음이 납니다. 처음부터 한국말로 쉽게 쓰면 아무 말썽이 없겠지요. 이밖에 한국말사전에 한자말 ‘익살’을 세 가지 더 싣는데 모두 털어냅니다. 2018.1.28.해.ㅅㄴㄹ



해학(海壑) : 바다와 구렁텅이라는 뜻으로, 넓고 깊음을 이르는 말

해학(??) : [한의학] = 이틀거리

해학(解學) : [불교] 여러 가지 교리를 이론적으로 연구함



소금장수가 해학을 통해 소원을 푸는 옛이야기도 있어

→ 소금장수가 우스개로 꿈을 푸는 옛이야기도 있어

→ 소금장수가 웃음으로 꿈을 푸는 옛이야기도 있어

→ 소금장수가 익살로 꿈을 푸는 옛이야기도 있어

《어떤 소금을 먹을까?》(김준, 웃는돌고래, 2014) 96쪽


자신이 직면한 곤경 속에도 해학과 아름다움이 있었다고

→ 가시밭길을 맞닥뜨려도 익살과 아름다움이 있었다고

→ 어려움을 맞닥뜨려도 웃음과 아름다움이 있었다고

《전쟁터로 간 책들》(몰리 굽틸 매닝/이종인 옮김, 책과함께, 2016) 252쪽


유머는 그렇지 않다. 익살과 해학과 삶의 희로애락이 적절히 뒤범벅된 익살스러운 농담을 의미한다

→ 익살은 그렇지 않다. 웃음과 살아가는 기쁨슬픔이 알맞게 뒤범벅된 깊은 말을 뜻한다

→ 익살은 그렇지 않다. 웃음과 살아가는 기쁨슬픔이 알맞게 뒤범벅되어 노니는 말을 뜻한다

《언어의 온도》(이기주, 말글터, 2016) 171쪽


우리 민중의 판소리 가락에 묻어나오는 해학과 익살에 가깝다

→ 우리 겨레 판소리 가락에 묻어나오는 익살에 가깝다

→ 우리 겨레 판소리 가락에 묻어나오는 신나는 익살에 가깝다

→ 우리 겨레 판소리 가락에 묻어나오는 즐거운 익살에 가깝다

《시의 눈, 벌레의 눈》(김해자, 삶창, 2017) 121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