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급반 교과서 창비시선 39
김명수 / 창비 / 198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말하는 시 79



‘입시지옥 죽음터’인 학교에서

― 하급반 교과서

 김명수 글

 창작과비평사 펴냄, 1983.5.25.



  노래는 모두 노래입니다. 오래된 노래가 없고 새로운 노래가 없습니다. 즐겁게 부르는 노래라면 모두 새로운 노래이고, 즐겁지 않다면 오래되거나 낡거나 묵은 노래입니다.


  꿈은 모두 꿈입니다. 오래된 꿈이 없고 새로운 꿈이 없습니다. 즐겁게 꾸는 꿈이라면 모두 새로운 꿈이고, 즐겁지 않다면 오래되거나 낡거나 묵은 꿈입니다.



.. 지금도 허리 끊어진 남북분계선 / 시계 청소를 하는 병사들의 톱에 / 아름드리 소나무는 베어져 나가는데 ..  (그 봄의 식수)



  새롭게 받아들일 때에 노래요 꿈입니다. 새로운 마음이 될 때에 노래를 부르거나 꿈을 꿉니다. 마음이 늘 새로운 사람이 노래를 부르고, 마음을 늘 새롭게 다스리는 사람이 꿈을 꿉니다.


  새로운 마음이 되지 못한다면 노래를 부르지 않습니다. 새로운 마음이 되지 못하니, 다른 사람이 노래를 할 적에 함께 기뻐하거나 웃지 못합니다. 새로운 마음이 되지 못하면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이 없습니다.


  마음을 새롭게 다스리지 못하니 꿈을 꾸지 못합니다. 마음을 새롭게 다스리지 못하니 꿈을 꾸는 이웃이 있을 적에 어깨동무를 하거나 손을 내밀지 못합니다. 마음을 새롭게 다스리지 못하면 두레나 품앗이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 일곱살 때였던가 / 삐라를 뿌리며 읍내 상공을 / 커다란 프로펠러 빙글빙글 돌리며 / 버짐난 우리들 머리 위로 날아가던 저 비행기 / 잠자리채 속에 사로잡았던 / 장수잠자리보다 / 더 신기하던 헬리콥터를 ..  (헬리콥터)



  김명수 님이 쓴 《하급반 교과서》(창작과비평사,1983)를 읽습니다. 어느덧 서른 해가 지난 시집입니다. 서른 해가 지난 예전 이야기를 담은 시집이라 할 수 있고, 서른 해 앞서 이 땅에서 흔히 볼 수 있던 모습을 다룬 시집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곰곰이 생각합니다. 요즈음은 서른 해 앞서처럼 야구방망이를 골마루에서 흔들면서 엉덩이를 후려치는 교사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그러면, 학교에서 폭력이 사라졌을까요? 요즈음은 서른 해 앞서처럼 이런 돈을 걷거나 저런 돈을 모으느라 아이들이 고단하지 않습니다. 그러면, 학교에서 평화가 자라나요?



.. 소나무는 솔씨를 간직하고 섰으리라 / 지나간 겨울 산에 갔다가 / 내가 보았던 나무들의 작은 씨앗 / 멀리서 오늘처럼 비 오는 날도 / 비바람에 나무들 작은 씨앗들이 / 제 몸 묻어 푸른 산을 꿈꾸며 섰으리라 ..  (솔씨)



  오늘날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삽을 들고 운동장을 펴는 일 따위는 안 합니다. 오늘날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폐품수집을 하는 일 따위는 없습니다. 오늘날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학급시설을 갖추느라 바자회를 열면서 학교에 돈을 바쳐야 하지 않습니다. 오늘날 학교에서는 골마루에 엎드려서 양초나 왁스를 문지르면서 반들반들 빛이 나도록 하는 일이란 없습니다. 오늘날 학교에서는 콩나물시루 같은 교실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러면 오늘날 학교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날 학교는 어느 대목이 나아졌는가요? 오늘날 학교는 지난날 아이들이 고단하게 겪어야 했던 여러 가지 자질구레한 일은 사라졌다고 할 만한데, 무엇보다 가장 큰 고단함은 사라졌을는지, 아니면 가장 큰 고단함이야말로 더 커졌을는지 궁금합니다.



.. 봄이 와도 / 봄이 와도 / 고단한 봄날 / 우리 어매 홀로 조밭을 맨다 ..  (노고지리)



  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이 가장 크게 짊어지는 굴레는 ‘시험지옥’입니다. 어버이는 아이를 가르치고 싶어서 학교에 넣지만, 막상 학교는 아이를 가르치는 노릇을 거의 못 하거나 안 합니다. 예나 이제나 학교는 ‘입시지옥’입니다. 교과서에 나오는 지식만 머릿속에 집어넣어서 시험점수를 더 받아내도록 하는 데에만 바쁜 학교입니다. 이리하여 요즈음에는 어버이 스스로 ‘삶을 가르치겠다는 마음’으로 아이를 학교에 보내지는 않습니다. ‘더 나은 대학교에 보내려는 마음’으로 아이를 학교에 보낸다고 할까요.


  그나마 예전에는 ‘아이가 동무를 사귀면서 놀도록’ 할 뜻으로 학교에 넣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제 학교에서 아이들은 마음껏 놀지 못합니다. 학교는 놀이터가 아니기 때문이지요. 학교는 입시시험을 치르는 곳이기 때문이지요.



.. 키만 크신 아버지 / 우리집 서 마지기 논농사는 어떤지요? / 제가 사는 영등포는 하늘이 어둡지만 / 흉년든 고향에도 / 하늘은 가을 되어 파랗겠지요 ..  (소액환)



  내 아이가 놀고 싶다 하더라도 다른 아이는 놀 수 없습니다. 학원에 가야 할 테니까요. 학원에 가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웃학교에 더 잘 들어가도록 몰아세울 뜻이기 때문입니다. 웃학교에 더 잘 들어가도록 몰아세우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더 나은 웃학교를 거치고 또 더 나은 웃학교를 지나서 ‘돈을 많이 벌고 몸은 덜 쓰면서 일은 수월한 일자리’를 얻도록 해 주고 싶기 때문입니다.


  이제 학교라는 곳은 ‘입시시험’으로 내모는 곳인데, 입시시험으로 내모는 까닭은 ‘돈을 더 많이 벌도록 하려는 뜻’ 때문이고, 돈을 더 많이 벌도록 하는 일자리도 ‘나는 몸을 안 쓰고 다른 이가 몸을 쓰도록 일을 시킬 수 있는 자리에 서도’록 하려는 뜻이기도 합니다.



.. 우리나라 꽃들에겐 / 설운 이름 너무 많다 / 이를테면 코딱지꽃 앉은뱅이 좁쌀밥꽃 / 건드리면 끊어질 듯 / 바람불면 쓰러질 듯 / 아, 그러나 그것들 일제히 피어나면 / 우리는 그날을 / 새봄이라 믿는다 ..  (우리나라 꽃들에겐)



  학교를 더 다닌다고 해서 됨됨이가 나아지지 않습니다. 학교에서는 됨됨이를 안 가르치기 때문입니다. 오직 입시시험만 머릿속에 집어넣는 학교이니, 더 낫다는 웃학교에 들어가도록 시험점수는 높일 수 있더라도, 착한 마음이나 바른 마음이나 고운 마음이나 상냥한 마음이나 너른 마음이나 맑은 마음이나 훌륭한 마음이나 멋진 마음이나 예쁜 마음이나 좋은 마음이 되도록 북돋우지 않습니다.


  ‘그 좋다’는 대학교를 나온 젊은이가 사회에서 갖가지 사건과 사고를 터뜨립니다. ‘그 훌륭하다’는 대학교를 나온 젊은이가 정치나 경제나 문화 같은 행정을 맡을 적에 몹쓸 짓을 저지르기 일쑤입니다. ‘더 낫다는 웃학교’에는 들어가도록 길들여졌지만, 마음씨를 올바로 추스르는 길은 배운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초·중·고등학교뿐 아니라 대학교와 대학원도 어린이와 푸름이와 젊은이한테 ‘꿈’을 안 가르치고 ‘사랑’을 가르치며 ‘믿음’을 안 가르칩니다. 이웃이 누구인지 안 가르치고, 동무가 누구인지 안 가르치며, 사람이 누구인지 안 가르쳐요.



.. 광주에 사는 내 친구 시인 / 김장독을 파묻다가 삽날에 나온 것은 / 찢어진 비닐봉지 조각이라나 / 묻혀서도 썩지 않는 비닐봉지라나 ..  (기정사실)



  시집 《하급반 교과서》를 찬찬히 읽습니다. 학교에서 교과서만 가르치는 이 얼거리를 그대로 잇는다면, 우리 아이들은 ‘새로운 앞날을 밝힐 등불이나 별빛’이 될 수 없습니다. 머릿속에 교과서 시험지식만 가득 채운 아이들은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새로운 잘못을 더 저지를 슬픈 굴레’가 되고 맙니다.



.. 어느새 자라난 아들의 머리를 / 뒷마당에 나와서 잘라주고 있다 / 헌 신문지로 목둘레를 여미고 / 눈을 덮는 긴 머리를 잘라주고 있다 / 무엇이든지 잘 잘리는 / 어머니 쓰시던 큼직한 가위 ..  (아들의 머리를 잘라주면서)



  아이들한테 교과서를 가르치는 일이 나쁘지는 않습니다. 교과서만 가르치려 하니 뒤틀리거나 비틀립니다. 아이들이 학교를 다니는 일이 나쁘지는 않습니다. 학교는 다니되 삶은 못 배우고 사랑을 못 배우며 꿈이나 믿음이나 이야기나 웃음을 배우지 못하니 바보스럽거나 미련한 굴레에 사로잡힙니다.


  아이들은 노래를 부르며 놀 수 있어야 합니다. 어른들은 노래를 부르며 일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아이들은 노래를 부르면서 어깨동무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어른들은 노래를 부르면서 두레와 품앗이를 펼칠 수 있어야 합니다.


  노래가 없는 학교는 죽음터입니다. 노래가 없는 마을음 죽음터입니다. 노래가 없는 일터와 사회와 정치와 경제와 문화는 모두 죽음터입니다. 텔레비전에서 흐르는 대중노래가 아니라, 사람들이 스스로 제 삶자리에서 손수 길어올려서 부를 수 있는 노래가 흘러야 합니다. 노래가 태어나야 하고, 노래가 자라야 합니다. 어버이는 아이한테 노래를 물려주어야 하고, 아이는 어버이한테서 노래를 물려받아야 합니다.


  교과서가 사라지기를 빕니다. 교과서 아닌 사랑으로, 어버이가 아이를 기쁘게 가르칠 수 있기를 빕니다. 학교라는 울타리가 아니라 보금자리라는 사랑터에서 아름다운 꿈을 가르치고 배울 수 있기를 빕니다. 4347.12.19.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시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