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가 짚고 알려주니 얼마나 고마운가 (이방인 번역)
외국책이 한 가지 번역만 있으라는 법이 없다. 한국사람이 쓴 한국문학이라면 한 가지 책만 있을 테지만, 외국사람이 쓴 외국문학은 여러 가지 판이 나올 수밖에 없다. 《모비딕》 번역이 한 권만 있을 수 있을까? 《앤》 번역이 한 가지만 있을 수 있을까? 《창가의 토토》 번역이 한 권만 있을 수 있을까? 어린이 그림책인 《생쥐와 고래》조차 ㄷ출판사 판과 ㅅ출판사 판 번역이 다르다. 러시아 옛이야기를 다룬 《장갑》이라는 그림책도 두 가지 번역책이 있다. 번역하는 사람 삶과 넋뿐 아니라, 번역하는 사람이 어린이를 마주하는 매무새에 따라 번역이 달라진다. 한 가지 번역만 있어야 한다면 《삼국지》나 《수호지》는 앞으로 아무도 번역해서는 안 된다. 한글 아닌 한문으로 글을 쓴 옛사람 책도 한 사람만 번역하고 더는 번역해서는 안 된다.
지난날에 한글 아닌 한문으로 글을 쓴 그분들이 되살아나서 한문 아닌 한글로 글을 다시 쓰지 않는다면, 한국사람이 빚은 책과 문학조차 여러 가지 번역이 나올 수밖에 없다. 글쓴이 넋은 글쓴이가 오롯하게 알지, 다른 사람은 오롯이 알 수 없다. 번역하는 말씨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글맛이 아주 달라져, 린드그렌 님이 쓴 문학도 어떤 사람이 옮겼느냐에 따라 이야기마저 다르게 느끼곤 한다. 《사자왕 형제 모험》 같은 작품은 번역판이 너덧 가지 있고, 너덧 가지마다 글맛이 다르다. 그렇다고 어느 한 가지 책만 읽으라고 이야기할 수 없다.
이정서라는 분이 새로 옮긴 《이방인》을 놓고 참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한다. 게다가 이정서라는 분이 새로 옮긴 《이방인》에서 드러나는 잘잘못을 여러 사람이 찬찬히 짚어서 꼼꼼하게 알려준다. 그리고 이정서라는 분을 비롯해 《이방인》을 펴낸 출판사에서는 이 번역책에서 드러나는 잘잘못을 독자가 짚거나 알려주거나 밝혀도 그리 반기지 않을 뿐더러, 고맙게 여기지 않는다.
독자는 어떤 사람일까. 출판사에서 책을 내면 독자는 고스란히 믿고 따르기만 할 사람인가? 번역자와 출판사 대표는 어떤 사람일까. 독자가 짚거나 알려주거나 밝히는 잘잘못을 모두 내팽개치면서 거친 말을 퍼붓는 사람인가?
가만히 보면 처음부터 모든 이야기는 ‘끝’이 있다. 《이방인》이라는 책을 새로 번역한 새움출판사는 독자와 즐겁게 이야기를 나눌 생각이 없다. “우리가 읽은 이방인은 카뮈의 이방인이 아니다”라는 말이라든지 “25년을 속아 온 번역의 비밀”이라는 광고 글월이 모든 것을 말한다. 번역자와 출판사 대표와 직원 모두, 독자는 ‘출판사가 내놓은 책을 받아먹기’만 해야 한다고 여길 뿐이다. 이정서와 새움출판사는 모두 ‘25년 동안 속으며 살아온 독자가 바보’라는 생각을 처음부터 품었다. 그러지 않고서야 다른 번역자를 함부로 깎아내릴 뿐 아니라, 독자가 알려주는 잘잘못을 놓고 온갖 핑계와 막말을 일삼을 수 없는 노릇이다.
이정서와 새움출판사한테는 한 마디 말을 들려줄밖에 없다. 오직 한 마디뿐이다. “이 책은 카뮈의 이방인이 아니라 새움출판사의 이방인이다. 카뮈가 쓴 이방인이 아니라 새움출판사가 쓴 이방인이다.”
이정서와 새움출판사가 독자 앞에서 제대로 뉘우치지 않는다면, 나로서는 앞으로 새움출판사가 하는 일과 이곳에서 펴내는 책을 하나도 믿을 수 없다. 독자는 바보가 아니니까. 독자는 책을 사랑하고 문학을 아끼는 사람이니까. 4347.5.7.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책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