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을 지새우며 쓴 시
밤을 지새우며 시를 쓴다. 신안으로 마실을 와서 압해다리 건너 목포에 있는 여관에서 묵는 지난밤, 도무지 잠을 이루지 못한다. 내 마음을 건드리는 빛은 무엇인가 가만히 드러누워 생각에 잠긴다. 지나온 마흔 해 삶이란 무엇이었을까 하고 곰곰이 돌아본다. 어제 낮 문득 한 가지를 생각했다. 나는 지난 마흔 해에 걸쳐 이것저것 마음밭에 담는 배움길을 걸었구나 싶다. 앞으로도 이 배움길은 씩씩하게 걸어가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앞으로 걸어갈 배움길은 배움길로만 그치지 말고, 내 이웃과 동무한테 꿈과 사랑을 속삭이는 이야기길로도 꾸릴 수 있어야겠다고 느낀다. 이야기길이요 책길이요 노래길이 되어야 아름답겠지.
간밤에 시를 두 꼭지 쓴다. 시는 언제나 저절로 샘솟는다. 원고지를 붙잡는대서 시가 태어나지 않는다. 하루하루 즐겁게 누리며 아름답게 밝힌 이야기가 있으면, 어느 날 문득 소나기처럼 퍼붓기도 하고 보슬비처럼 눈가를 적시기도 하며 안개처럼 하얗고 포근하게 감싸기도 한다.
새날이 밝는다. 날밤을 지새운 적이 마흔 해 삶 가운데 거의 하루조차 없는데, 이렇게 밤에 잠들지 못하고 지새운 적은 처음이 아닌가 싶다. 굳이 떠올린다면, 스물두 살 적이던가, 강원도 양구에서 군인으로 있어야 하던 데, 강릉 앞바다에 잠수함을 타고 나타났다던 북녘 군인을 잡아야 한다면서 깊은 숲속에서 이레 동안 잠을 못 자면서 매복을 해야 한 적 있다. 스무 살 적, 갓 군인이 되어 이등병을 달고 자대에 가서 하루만에 뛰어야 하던 한겨울 훈련에서 열여덟 시간 동안 1초조차 못 쉬고 숲길을 걸으며 밤을 꼴딱 새운 적 있다.
누가 억지로 시켜서 밤을 새운 두 차례 빼놓고, 나 스스로 잠을 못 이룬 날은 오늘이 처음인가. 아니다. 아니로구나. 큰아이를 낳고 세이레가 되기까지 고작 두 시간밖에 못 잤는걸. 큰아이가 백날을 맞이할 때까지 마흔여덟 시간밖에 못 잤는걸. 그렇구나. 밤을 지새운 적이 아예 없지 않구나. 아무튼, 지난밤에 홀가분한 넋으로 시를 썼다. 4347.4.2.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글쓰기 삶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