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122) 전가의 2 : 전가의 보검

 

‘교칙 위반에 따른 징계’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휘두르는 전가의 보검이다. 특히나 사립학교는 자기 입맛에 맞지 않으면 교사든 학생이든 가리지 않고 이 칼맛을 보여준다
《현병오-우리 아이들은 안녕하십니까》(양철북,2013) 34쪽

 

  “대부분(大部分)의 학교에서”는 “거의 모든 학교에서”나 “학교마다 거의 다”로 손봅니다. ‘보검(寶劍)’은 “보배로운 칼”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보배칼’입니다. ‘특(特)히나’는 ‘더욱이나’나 ‘더군다나’로 손질하고, “자기(自己) 입맛에”는 “제 입맛에”로 손질합니다.

 

 학교에서 휘두르는 전가의 보검이다
→ 학교에서 휘두르는 칼이다
→ 학교에서 휘두르는 무서운 칼이다
→ 학교에서 마구 휘두르는 칼이다
→ 학교에서 옛날부터 휘두르는 칼이다
→ 학교에서 오랫동안 휘둘러 온 칼이다
 …

 

  보기글 뒤쪽을 살피면, 학교에서 교칙을 놓고 휘두르는 징계란 ‘칼’과 같구나 하고 알 수 있습니다. 곧, “학교에서 휘두르는 전가의 보검”이란 “학교에서 휘두르는 칼”입니다. 그런데 학교에서 교칙을 내세워 휘두르는 칼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에요. 오래된 일입니다. 이런 느낌을 담아 “학교에서 옛날부터 휘두르는 칼”이라든지 “학교에서 오랫동안 휘둘러 온 칼”처럼 새롭게 손질할 수 있어요.


  이 보기글을 쓰신 분은 “전가의 보검”이 무엇을 뜻하거나 가리키는가를 잘 알는지 모르지만, 이 보기글을 읽는 사람들은 이 글월이 무엇을 뜻하거나 가리키는지 잘 알기 어렵습니다. 한국말사전을 여러 차례 뒤적인다 하더라도 잘 알기 어렵습니다. 쉽고 알맞으며 바르게 쓰면 좋겠습니다. 4347.1.14.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교칙 위반에 따른 징계’는 거의 모든 학교에서 예전부터 휘두르는 칼이다. 더군다나 사립학교는 제 입맛에 맞지 않으면 교사이든 학생이든 가리지 않고 이 칼맛을 보여준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

 

'전가의 1' 다듬은 이야기 보기

=> http://blog.aladin.co.kr/hbooks/54107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