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곰 아저씨의 딱새 육아일기 ㅣ 산하어린이 145
박남정 지음, 이루다 그림 / 산하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읽기 삶읽기 146
딱새 지켜보기
― 곰 아저씨의 딱새 육아일기
박남정 글
이루다 그림
산하 펴냄, 2005.11.21.
박남정 님이 글을 쓰고 이루다 님이 그림을 넣은 《곰 아저씨의 딱새 육아일기》(산하,2005)라는 책을 읽습니다. 처음 나온 지 여덟 해나 지나고서야 비로소 읽습니다. 어쩐지 그리 내키지 않아 그동안 이 책을 펼치지 않았습니다. ‘딱새 육아일기’라니, 딱새알을 받아서 새끼가 되도록 품었다가, 새끼가 깨어났을 적에 먹이를 찾아다 주면서 길렀다는 이야기인가 싶었지만, 이런 이야기는 아니에요. 자동차 한쪽에 둥지를 튼 딱새가 있어, 둥지에 낳은 알을 딱새 어미가 다 돌보고 떠날 때까지 물끄러미 지켜보기로 한 이야기예요.
그러니까, 육아일기 아닌 ‘관찰일기’인데, ‘육아’라는 이름을 쓴 대목부터 걸립니다. 어버이가 아이를 돌보는 넋하고 누군가 아이를 돌보는 모습을 지켜보는 넋은 달라요. 무엇보다, ‘딱새 육아일기’라고는 하지만, 정작 ‘딱새가 둥지를 짓고 새끼를 품으며 먹이를 물어다 나르는’ 모습을 곁에서 차근차근 지켜보는 이야기보다는, 다른 이야기가 지나치게 많이 나옵니다. 그나마 ‘관찰일기’ 구실도 그리 해내지 못해요.
이 책에 붙일 만한 이름이라면 “곰 아저씨가 딱새와 함께”쯤이라고 할까요. 육아도 아니고 관찰도 못 되지만, 틀림없이 딱새 둥지를 아끼는 눈길인 만큼, 책이름부터 제대로 돌아보아야겠다고 느낍니다.
.. 새들이 “아저씨, 집 짓게 트럭 좀 빌려 줘요.” 하고 미리 물어 보지 않은 게 얄밉기는 했지만, 그렇다고 남의 집을 함부로 부술 수는 없잖아 .. (19쪽)
딱새가 얄미워야 할 까닭이란 없습니다. 따지고 보면, 사람들은 사람들 저희만 살려고 길을 닦고 집을 짓고 마을을 키우며 공장을 짓습니다. 딱새가 느긋하게 집을 지으며 살 터가 사라졌어요. 사람은 어느 누구도 새한테 “우리 여기에 공장 지을 테니까 다른 데로 떠나 줘.” 하고 말하지도 않았습니다. 사람은 어느 누구도 벌레와 개구리와 뱀한테 “우리 여기에 고속도로 낼 테니까 다른 데로 떠나라.” 하고도 말하지 않았습니다. 사람은 어느 누구도 들짐승과 숲짐승한테 “우리 여기에 송전탑 박을 테니까 다른 데로 가라.” 하고도 말하지 않았어요.
경상도 밀양땅에서 벌어지는 송전탑 말썽을 보셔요. 사람은 같은 사람한테조차 제대로 말하지 않고 알리지 않아요. 게다가, 사람은 같은 사람한테마저 마구잡이로 굴어요. 사람은 이웃사람한테 폭력을 휘두르고 공권력을 밀어붙여요.
먼먼 옛날부터, 딱새이든 박새이든, 또 제비이든 메추리이든, 사람들 살림집 곁에 보금자리를 틀었어요. 먼먼 옛날부터 시골집이란 도시 아닌 시골이요, 시골집이나 시골마을이라 하더라도 그예 숲이며 들이고 멧골이었어요. 숲이나 들이나 멧골에 덩그러니 풀집 한두 채 있을 뿐이었어요. 그러니, 이런 데를 멧새나 들새로서는 여느 숲 가운데 하나로 여겨 보금자리를 지었습니다.
.. 전화를 건 사람은 오랫동안 아저씨와 함께 일을 한 분이었어. 내일부터 사흘 정도 일하면 백만 원을 준다는 곳이 있는데, 일할 수 있냐고 묻는 전화였지. “새한테 트럭을 뺏겨서 갈 수가 없어요.” “뭐, 새 둥지 때문에 일을 못한다고? 이런 얼빠진 사람 봤나. 새 둥지야 덜어 내버리면 되지, 벌어 놓은 돈도 없는 사람이 일거리를 마다 하면 되나. 그것도 그깟 새 때문에.” .. (40쪽)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에 깃든 우리 시골집 처마에는 제비집이 둘 있어요. 제비는 팔월 끝무렵에 바다 건너 따스한 나라로 돌아가요. 구월부터는 처마 밑 제비집이 텅 비어요. 올 시월 끝무렵, 우리 집 처마 밑 제비집에 딱새 두 마리가 찾아왔어요. 딱새는 저희 둥지를 새로 짓지 않고, 제비집에 살그마니 들어와서 살아요.
아침에 마루문을 열고 마당으로 내려서면, 제비집에서 쉬던 딱새가 포르르 날아 마당 한켠에 선 후박나무로 숨어요. 그래 봤자 마당 언저리인데, 마당에서 일하다가 집으로 들어가면, 후박나무에 깃들어 이것저것 쪼던 박새가 다시 처마 밑 제비집으로 들어갑니다.
딱새는 제비가 한창 처마 밑에서 노닐 적에도 곧잘 우리 집을 들락거렸어요. 우리 집에는 새들 먹이가 제법 많거든요. 이런저런 나무열매 있고, 이런저런 나무에 깃드는 풀벌레와 나비 애벌레를 그대로 두었어요. 우리 식구가 새한테 따로 모이나 곡식을 내밀지 않더라도, 새들은 우리 집에서 배불리 먹을 수 있어요.
.. 어느 방송사에서 촬영을 왔을 때야. “차가 좀 지저분하니까, 딱새를 위해 곰 아저씨가 세차를 하는 장면을 좀 찍었으면 좋겠는데요.” 연출자가 이렇게 말하더구나. 그래서 나는 대답했어. “내 허락도 안 받고 마음대로 집을 지었으니까 청소도 자기네들이 알아서 해야죠.” .. (77쪽)
농약을 친다든지, 사람만 먹겠다고 아득바득 한다면, 시골집에서도 멧새가 깃들 자리란 없어요. 우리 스스로 돌아보기로도, 우리 텃밭이나 꽃밭이나 풀밭에 농약을 치면, 우리 밭자락에서 돋는 풀을 뜯거나 캘 수 없어요. 농약 뿌려 풀을 죽인 땅에서 돋을 냉이를 어떻게 먹겠어요. 농약 뿌려 온갖 풀 죽인 땅에서 돋는 유채나 민들레를 어떻게 먹나요.
농약을 쳐서 좋을 일은 없어요. 농약을 친다 한들 풀은 씩씩하게 새로 돋아요. 풀매기가 귀찮거나 성가시다면 풀이 돋는 흙땅을 모조리 시멘트로 덮어야겠지요. 밭에서도 씨앗 심은 데를 빼고는 모조리 시멘트로 덮어야지요. 그러면 김매기 안 해도 돼요. 사람만 혼자 살겠다면 흙으로 이루어진 땅에 농약 듬뿍 뿌리고, 풀을 죽이고 새를 죽이며 벌레와 개구리 몽땅 죽이면 돼요.
이렇게 하면, 시골에서 흙일 하며 풀에 안 치인다 할 텐데, 지난날처럼 들일을 소한테 맡겨 소한테 풀을 먹이는 집이 사라지니까, 김매기를 하느라 애먹어요. 이제 시골에서 소한테 일을 맡기지 않고 기계로만 하니까, 김매기를 한다며 더 골치를 썩여요. 그렇지요. 소가 있고 토끼가 있으며 염소가 있으면 무슨 풀 걱정을 하나요. 풀 걱정 아니라, 사람이 먹을 풀이 모자랄까 근심할 법하지요.
요새 시골에서 노루나 고라니나 멧돼지가 밭을 파헤친다고 말이 많지만, 노루나 고라니나 멧돼지가 숲에서 먹을 풀과 열매와 나무뿌리가 온통 사라지니까, 사람들 있는 마을로 와서 밭을 파헤칠밖에 없어요. 오로지 사람만 생각하니, 숲짐승도 숲에서 뜯을 풀과 열매가 없고, 이러면서 사람들은 사냥을 해서 그나마 몇 안 남은 숲짐승을 잡아 죽이려 하고, 다시 이러면서 숲에서 돋는 풀이나 들에서 나는 풀을 어찌 달래지 못하니 농약만 뿌려서 김매기를 합니다.
.. 엄마 딱새는 여느 때처럼 주변을 살피더니 범퍼 속으로 쏙 들어갔어. 그러더니 “어이쿠!” 하듯이 금세 땅바닥으로 떨어졌어. 그러고는 얼른 다시 일어나 둥지로 들어가고 .. (152쪽)
어버이는 아이를 보살피면서 밤잠을 이루지 못합니다. 어버이로 살아가는 분이라면 모두 잘 느끼고 잘 알리라 생각해요. 어버이로 살아가지 않을 적에는 알지 못하고 헤아리지 못하는 대목이 있어요. 어버이는 이불을 걷어차고 자더라도 아이가 이불을 걷어차며 자면 밤새 잠을 못 이루고 이불깃 새로 여밉니다. 어버이는 밤새 오줌을 참으며 자더라도, 아이가 밤오줌 누도록 달래며 보듬고, 갓난쟁이가 기저귀에 쉬를 누면 밤새 잠을 쫓으며 기저귀를 갈고 빨래를 합니다. 나는 두 아이와 여섯 해째 살아오면서 밤새 잠을 느긋하게 잔 적 아직 없어요. 이 아이들이 열 살쯤 넘는다면, 그무렵에는 비로소 밤새 느긋하게 잠을 잘는지 모르지만, 밤에도 아침에도 낮에도 저녁에도, 먹이고 입히고 씻기고 놀리고 이야기 들려주고 가르치고 하는 나날 보내면서, 내 눈을 아이 곁에서 뗄 수 없어요.
그러니까, ‘딱새 육아일기’는 되지도 못할 뿐 아니라 ‘딱새 관찰일기’조차 못 되는 《곰 아저씨의 딱새 육아일기》를 읽으면서 답답했어요. 책이름은 ‘딱새 육아일기’인데 정작 딱새 이야기는 얼마 없으니까요. 딱새를 돌보는 이야기도 이 책에는 없지만, 딱새를 물끄러미 지켜보는 이야기도 얼마 없어요. 딱새가 깃든 시골자락 멧골에서 누리는 빛과 바람과 햇살을 들려주는 이야기도 거의 없어요.
‘육아일기’도 좋고 ‘관찰일기’도 좋아요. 참말 이 어린 새끼 딱새를 지켜보거나 사랑하려는 넋이었다면, 자동차만 그곳에 그대로 둘 일이 아니라, 어미 딱새가 먹이를 찾으러 아주 살짝 둥지를 비울 적에는 언제나 둥지 곁에서 새끼 딱새를 지켜보면서 보살폈어야지 싶어요. 둥지를 튼 자동차를 옮기지 않는대서 딱새를 지키거나 돌보는 일이 되지 않아요. 새끼 딱새가 사라진 일을 탓하려는 말이 아니에요. 곰 아저씨가 ‘육아일기’라는 말을 쓰려 한다면, 또 ‘관찰일기’라도 되도록 하려 한다면, 그곳에서 무엇을 하고 무엇을 바라보며 무엇을 느끼는 삶을 누릴 때에 곱게 빛나는가를 이제라도 깨달을 수 있기를 빌어요. 4346.12.7.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