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가운 상말
618 : 줄탁동기
‘줄탁동기(啐啄同機)’라는 말을 들어 본 적 있니? 어려운 말이라고? 그래, 좀 낯설긴 하지. 뜻을 한번 들어 봐
《이운진-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워질 너에게》(창비,2012) 188쪽
어려운 말을 써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아름답고 사랑스러우며 좋은 말이 많은데, 굳이 어려운 말을 만들어서 써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말이 어렵다면 왜 어려울까요. 우리가 쓰는 말이 아니기 때문에 어렵습니다. 한국사람은 한국말을 하는 사람이지, 한문이나 한자를 쓰는 사람이 아닙니다. 한문이나 한자를 쓰던 한겨레는 임금을 둘러싼 몇몇 지식인뿐입니다. 고작 1%조차 안 되는 지식인이 쓰던 한문이나 한자는, 시골에서 흙을 만지며 살아가던 99%가 넘는 여느 한겨레한테는 어렵고 딱딱하며, 어떻게 보면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라 할 만한 말입니다.
줄탁동기
→ 병아리 알깨기
→ 병아리 깨기
→ 알깨기
…
아이들 앞에 서는 교사라면, 아이들이 알아들을 만한 말을 할 노릇입니다. 아이들이 못 알아들을 말을 들먹이면서 무언가 가르치려 하는 일은 덧없습니다. 아직 아이들이 모르는 풀이름과 벌레이름과 나무이름과 짐승이름을 알려주는 일은 좋아요. 그러나, 우리를 둘러싼 삶자락 이야기 아닌, 권력자 둘레에서 쓰던 바깥말을 들추려는 말이라면 더할 나위 없이 부질없습니다.
아이들 앞에서 ‘똘레랑스’를 말하면서 가르쳐야 하지 않아요. 아이들한테는 ‘너그러움’이나 ‘넉넉함’을 말해야지요. 너그럽게 마음을 다스리라고 가르쳐야지요. 그러니까, 아이들 앞에서는 ‘줄탁동기’ 아닌 ‘병아리 알깨기’를 말해야 합니다. 한자를 밝혀서 적어도 알아들을 수 없는 엉뚱한 바깥말 아닌, 누구나 쉽게 받아들여 알아들으며 나눌 말을 할 때에 비로소 어른이요 교사입니다. 한국사람이 한국땅에서 가장 슬기롭게 주고받으며 꽃피울 한국말을 살찌울 때에 아름다운 어른이고 사랑스러운 교사입니다. 4346.11.30.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우리 말 살려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