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거 봐, 마디타, 눈이 와! ㅣ 알맹이 그림책 24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일론 비클란트 그림, 김서정 옮김 / 바람의아이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316
겨울눈 기다리는 맑은 눈망울
― 저거 봐, 마디타, 눈이 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글
일론 비클란드 그림
김서정 옮김
바람의아이들 펴냄, 2011.6.20.
바람이 차디차게 불며 날이 춥습니다. 다른 고장보다 따스한 전남 고흥에서도 제법 쌀쌀한 하루를 보냅니다. 이만 한 날이라면 눈이 올 수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차츰 동이 트며 날이 훤합니다. 아이들은 아직 일어나지 않습니다. 오늘 하루도 맑은 빛이 드리우는구나 하고 생각하며 마당을 내다보다가 깜짝 놀랍니다. 아주 얇게 눈이 쌓였습니다.
다만, 마당에는 눈이 한 줌조차 없습니다. 평상과 이웃집 밭뙈기와 우리 집 까마중꽃에 살짝 눈이 있습니다. 눈이 맞을까 하고 고개를 갸우뚱해 봅니다. 서리는 아닐는지, 또, 얼음비가 아직 안 녹았을는지 궁금합니다.
그렇지만, 아이들이 잠에서 깨어 “아버지 잘 잤어요?” 하고 물을 적에 “얘들아, 바깥에 눈이 내렸어.” 하고 이야기합니다. 그나마 아이들이 깨어난 뒤에는 평상에 덮인 눈 또는 얼음조각조차 거의 녹아 사라졌지만, 겨울눈 오래도록 기다린 아이들한테 ‘눈’이라는 말을 들려주고 싶었어요.
.. “저거 봐, 마디타 언니, 눈이 와!” 그 소리에 마디타는 벌떡 일어났어요. 첫눈은 뭔지 특별하고 멋지니까요 .. (2쪽)

오늘은 낮과 저녁에 틈틈이 눈발이 날립니다. 아니, 눈발이라 하기 어려운 눈발입니다. 싸락눈이라고 하기에도 멋쩍은 눈발입니다. 그나마 한낮에는 비로 바뀌었습니다.
아이들은 대청마루에서 놀다가 밖을 내다보며 무언가 하얀 송이 떨어질라치면 “눈이야, 눈!” 하면서 재빨리 뛰쳐나갑니다. 깔깔 하하 웃으면서 입을 헤 벌리고 눈송이 받아먹으며 놉니다. 오들오들 떨면서도, 손과 볼이 빨갛게 얼면서도, 눈을 맞으며 깡총깡총 뜁니다.
눈이 그리도 좋나. 그러면 눈이 많이 내리는 멧골이나 다른 시골에 보금자리를 마련했어야 했나.
.. 리사벳은 깡충 뛰어 썰매 뒤에 올라섰어요. 구스타프처럼요! 안데르손은 그걸 몰랐어요. 뒤통수에는 눈이 안 달렸으니까요. 우와, 진짜 빠르다, 하고 리사벳은 생각했어요. 그래도 다음에 서면 뛰어내려야지. 썰매는 씽씽 달리기만 했어요. 리사벳은 썰매에 매달려 시내를 벗어났어요 .. (12쪽)


작은아이가 태어나던 해, 우리 식구는 전라도 아닌 충청도 멧골자락에서 살았습니다. 작은아이는 아직 어머니 품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제대로 기지 못하는 몸으로 겨울을 났고, 큰아이는 이무렵 네 살이었어요. 멧골이니 툭하면 눈이 쏟아졌고, 한 번 쏟아지는 눈은 좀처럼 그치지 않습니다. 눈이 오면 자전거 타기에도 힘들고, 우체국 일꾼 다니기에도 나쁘겠다 싶어, 집 앞과 마당부터 큰길까지 눈을 쓸곤 했습니다.
큰 빗자루 들고 눈을 썩썩 쓸거나 눈삽으로 볼볼볼 밀면, 큰아이는 슬그머니 내 뒤를 좇으며 “나도, 나도!” 하고 외칩니다. 저도 눈을 쓸거나 밀고 싶답니다. 그러면 너도 하렴, 하고 빗자루를 건네면, 작은 몸으로 낑낑대면서 눈을 쓴답시고 용을 씁니다.
큰아이는 빗자루를 도로 넘기지 않습니다. 씩씩하게 비질을 합니다. 아이로서는 일손 거들기가 되기보다 눈하고 새롭게 노는 셈일 수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옆에서 일손을 거들며 즐겁게 노는 셈이에요. 눈을 맞고 바람을 맞으며 코가 새빨갛습니다. “얘야, 살짝 멈추어 봐.” 하면서 장갑 안쪽 손을 만집니다. 차디찹니다. 안 되겠지요. 눈은 이따 쓸어도 되니, 들어가서 손과 몸을 녹이고 나중에 더 하자, 하며 멧골자락 겨울을 보냈어요.
이제 큰아이는 여섯 살입니다. 겨울이면 온통 눈나라 되던 데에서 지내다가 겨울에도 눈을 구경하기 어려운 데에서 지냅니다. 날마다 눈, 눈, 눈, 하고 노래합니다. 눈을 뭉치고 싶겠지요. 눈을 쓸고 싶겠지요. “아, 눈사람 만들고 싶다.” 하면서 춤을 춥니다. 그래, 네가 바라고 기다리며 꿈꾸는 대로 이곳에도 함박눈이 올 테니, 오늘도 밥 잘 먹고 즐거이 뛰놀다가 새근새근 포근히 자렴.
.. 밤은 벌써 캄캄해졌고, 마디타는 점점 더 걱정이 됐습니다. 리사벳을 못 찾으면, 리사벳이 안 돌아오면 어떡하지요 .. (27쪽)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님 글에 일론 비클란드 님이 그림을 그린 《저거 봐, 마디타, 눈이 와!》(바람의아이들,2011)를 읽습니다. 마디타와 리사벳, 어린 두 시골아이가 누리는 겨울살이를 찬찬히 보여주는 그림책입니다. 눈이 펑펑 쏟아지는 어느 날, 갑작스레 몸이 아파 바깥에 놀러 나가지 못하는 마디타요, 언니가 바깥마실 못하기에 예수님오신날 맞이하는 선물을 언니 몫까지 챙기려 하다가, 그만 다른 놀이에 사로잡혀 외딴 숲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리사벳입니다. 마디타는 동생 리사벳이 추운 겨울날 바깥에서 얼마나 오들오들 떨며 외로울까 하고 생각합니다. 리사벳은 언니 마디타가 몸이 아프다며 바깥에 나오지도 못하니 얼마나 심심할까 하고 생각합니다. 두 아이는 서로 아끼면서 자랍니다. 두 아이는 서로 믿고 기대면서 씩씩하게 놉니다. 멀리 떨어졌어도 마음이 만나고, 서로한테 안 좋은 일이 생겨도 마음을 다부지게 먹으며 기운을 나누어 줍니다.
.. 마디타의 침대에 두 아이가 나란히 누워 잠들어 있는 거예요. 두 아이는 천사처럼 보였어요. 엄마랑 아빠는 가만히 서서 아이들을 내려다보았어요. 두 사람은 손을 맞잡고 눈물을 흘렸지요 .. (32쪽)
아이들은 날마다 새롭게 자랍니다. 큰아이도 야무지게 자라고, 작은아이도 튼튼하게 자랍니다. 마음이 자라고 몸이 자라요. 언제나 어른들 뒷바라지를 받아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스스로 밥을 짓고 옷을 기우며 집을 고칩니다. 아이들은 스스로 날씨를 읽고 하늘을 살피며 흙과 풀과 나무를 마주합니다. 아이들은 마음을 읽고 사랑을 헤아립니다. 아이들은 꿈을 그리고 빛을 품습니다.
그림책 《저거 봐, 마디타, 눈이 와!》는 무럭무럭 자라나는 아이들 맑은 눈망울이 얼마나 고운가 하고 보여줍니다. 겨울눈 기다리는 맑은 눈망울을 보여주어요. 겨울이 지나고 새봄 찾아올 적에, 새롭게 돋을 봄꽃 기다리는 밝은 눈빛을 보여줍니다. 바로 이 아이들이 이 지구별 아름답게 일굴 슬기로운 숨결 될 테지요.
그나저나, 그림책 《저거 봐, 마디타, 눈이 와!》 번역글은 아이들 눈높이에 걸맞지 못하다고 느낍니다. 이를테면, “그렇게까지 눈에게 불공평하게 굴지는 않아요.”라든지 “자작나무 숲 위로 펑펑 내리고 있어요.” 같은 글월이 알맞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눈한테 무슨 ‘불공평’을 할까요? 눈은 숲에 내리지 ‘숲 위’에 내리지 않아요. 눈은 숲에 땅에 들에 내릴 뿐입니다. ‘위’라는 낱말을 아무 데나 넣으면 아이들이 한국말을 잘못 익혀요. “눈싸움이 시작되었지요.”는 “눈싸움이 벌어졌지요.”로 손질합니다. “선물 사러 갈 때는 나 혼자 가는 게 좋아.”는 “선물 사러 갈 때는 나 혼자 가고 싶어.”로 손질하고, “장난감을 몽땅 다 사는 게 가장 좋을 것 같았어요.”는 “장난감을 몽땅 다 사면 가장 좋겠어요.”로 손질합니다. 이 번역책에 ‘것’을 너무 자주 아무 곳에나 씁니다. “안데르손은 그러면서 썰매를 출발시켰어요.” 같은 말도 알맞지 못해요. 썰매는 “몰았어요”라 해야지요. “한손 씨”와 “한손 부인”이라 나오는 대목도 얄궂어요. “한손 아저씨”와 “한손 아주머니”라고 적어야 옳아요. 아이들은 어른한테 ‘아저씨·아주머니’라 말합니다. 한국말로 읽을 이 땅 아이들을 생각해야 합니다. 이밖에도 아이들 눈높이를 제대로 살피지 못한 말투가 곳곳에 있어요. 쉽고 부드러우며 아름답게 한국말을 빛낼 수 있는 번역글로 알뜰살뜰 추스르면 훨씬 반가우리라 생각합니다. 4346.11.28.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