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아저씨 강의
아침에 녹동고등학교 ㅈ선생님 전화를 받는다. 수능시험 끝난 고3 아이들한테 ‘삶이야기’ 들려주면 좋겠다고 한다. 그래서 한 시간 강의를 가기로 한다. 날은 아직 안 잡았지만, 아마 이주에 가리라 생각한다.
전화를 끊고 아침을 바지런히 차린다. 밥은 거의 다 끓었고, 국은 곧 끓일 테며, 그제 장만한 꽁치 두 마리를 구워야지. 오늘 아침은 단출하게 먹자. 세발나물이랑 무채랑 오이랑 김이랑 풀버무리, 이렇게 차리자. 한참 밥을 차리며 생각해 본다. 도시에서라면 ‘시골 아저씨’한테서 이야기를 들을 일이 없으리라. 도시에서는 ‘시골 떠나 도시로 온 사람’한테서 이야기를 듣겠다고 하지 않으리라. 시골에서는 ‘시골 떠나 도시로 간 사람’한테서도 이야기를 들을 테지만, 요즈음은 ‘도시 떠나 시골로 온 사람’한테서 이야기를 함께 듣는다.
시골에서 나고 자란 시골 아이들은 도시 아이들한테는 없는 아주 사랑스럽고 아름다운 빛이 있다. 바로 시골빛이다. 앞으로 도시에 뿌리내리고 시골은 안 쳐다보더라도 이녁 마음속에는 시골빛이 있다. 이 시골빛은 언제라도 천천히 깨어날 수 있다.
시골바람, 시골냇물, 시골바다, 시골숲, 시골들, 시골마을, …… 이 모두가 고소한 거름이 되어 시골 아이들이 자란다고 느낀다. 비록 요즈음 시골학교도 도시학교와 똑같이 교과서만 가르치고 시멘트교실에서만 수업을 하며 다른 데에는 눈을 못 돌리게 하지만, 집과 학교 사이를 오가면서 봄과 여름과 가을과 겨울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온몸으로 맡고 누릴 수 있다.
도시에서 수능시험 마친 아이들 가운데 ‘시골 아저씨 강의’를 한 시간이든 두 시간이든 들으면서 새롭게 마음을 틔울 수 있도록 다리를 놓을 만한 어른이 얼마나 있을까 궁금하다. 4346.11.25.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