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받아들인 도서관 취재 (도서관일기 2013.10.11.)
―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동백마을, ‘서재도서관 함께살기’
2007년 4월부터 문을 연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이다. 2013년은 어느새 일곱 해째인데, 이제껏 대견스레 잘 살아왔구나 싶다. 그동안 여러 신문·방송에서 도서관으로 취재를 하러 오겠다 했고, 인천에서 몇 차례 신문취재만 받아들인 뒤, 더는 ‘기자 손님’을 받지 않았다. 책을 살피며 읽는 넋이 아닌 구경하는 눈길은 바라지 않기 때문이다. 책으로 다시 태어난 나무마다 어떤 넋 서렸는가 헤아릴 적에 비로소 책읽기가 된다고 느낀다. 줄거리 훑는대서 책읽기는 아니다. 줄거리에 깃든 삶과 꿈과 넋을 마음으로 받아안으면서 내 하루를 새로 보듬는 기운 북돋우며, 시나브로 책읽기 되리라. 이번 방송취재 받아들이며 ‘굳이 시골 깊은 곳’, 게다가 ‘전라남도 고흥’에 사진책도서관을 옮긴 까닭을 이야기했다. 책은 책이면서 나무이고, 사람들 삶이다. 이런 책이 있는 시골마을 도서관까지 오려면 품 많이 들고 오래 걸린다. 그러나, 도시에서 시골로 오는 동안 푸른 숲과 들을 본다. 시골자락 멧봉우리와 파랗게 빛나는 하늘이며 바다이며 냇물을 만난다. 자동차 창문을 열고 싱그러운 바람 쐬며 ‘사람이 살아가려면 무엇이 있어야 하는가’를 차분히 되새길 수 있다. 우리 도서관으로 와서 온갖 책 골고루 만지면서 읽어도 반갑다. 그리고, 고흥 시골로 오가면서 숲바람·들바람·바닷바람 쐬며 마음과 몸에 푸른 숨결 담을 수 있어도 반갑다. 종이책만 책이 아니고, 전자책만 책이 아니다. 숲책이 있고, 들책이 있다. 풀책, 나무책, 꽃책과 하늘책, 냇물책, 흙책과 빗물책 또한 책이다. 밥책과 빨래책이 있으며, 걸레책과 설거지책이 있다. 우리 삶은 모두 책이다. 삶책이다. 이를 오롯이 느끼며 책읽기가 이루어진다. 인문지식·사회지식·정치지식·과학지식으로는 삶을 일구지 못하고, 삶을 돌보지 못한다. 아이들은 육아지식 아닌 사랑으로 보살필 뿐이다. 삶은 사랑으로 가꾸며, 책은 사랑으로 읽는다. 나무그늘에 서 보라. 나무내음 맡으며 나무노래를 들어라. 나무 한 그루에 감도는 햇살·빗물·바람·흙을 읽으면서,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를 읽어 줄 수 있기를 빈다. (ㅎㄲㅅㄱ)
* 사진책도서관(서재도서관)을 씩씩하게 잇도록 사랑스러운 손길 보태 주셔요 *
* 도서관 지킴이 되기 : 우체국 012625-02-025891 최종규 *
* 도서관 지킴이 되어 주는 분들은 쪽글로 주소를 알려주셔요 (011.341.7125.) *
* 도서관 나들이 오시려면 먼저 전화하고 찾아와 주셔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