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살이 일기 7] 군내버스 타는 아이들
― 자리 없으면 씩씩하게 서서

 


  읍내마실을 할 적에는 되도록 장날을 비껴 다닙니다. 시골 할매와 할배는 여느 때에는 읍내마실을 잘 안 하시지만, 장날이면 으레 군내버스 타고 마실을 다니셔요. 장날에 볼일 본다며 읍내로 나오면 군내버스가 미어터질 만큼 북적거리기도 해요. 읍내로 나갈 적에도, 집으로 돌아올 적에도 고단합니다. 그런데 장날이 아니어도 읍내마실 나온 할매와 할배가 많아서, 집으로 돌아오는 군내버스에서 무거운 짐 짊어지고 아이들 세워야 할 때가 있습니다. 군내버스 할매는 으레 한 자리에 두 분이 겹쳐 앉습니다. 군내버스 할매는 바닥에도 털푸덕 앉습니다. 군내버스 할배는 겹쳐앉거나 바닥에 털푸덕 앉는 일이 아주 드뭅니다. 이런 날, 아이들도 바닥에 털푸덕 앉을 만하지만, 아이들은 털푸덕 앉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어머니나 아버지가 털푸덕 앉으며 무릎에 앉으라 해도 좀처럼 안 앉아요. 큰아이는 씩씩한지 남우세스러운지 손잡이를 꼭 잡을 뿐입니다. 누나가 이렇게 서면 작은아이도 누나 따라 손잡이를 잡으려 합니다.


  그래, 그런데 손잡이를 잡더라도 한손으로만 잡으며 다른 한손으로 놀지는 말자. 구불구불 시골길 돌아가는 버스이니까 두 손으로 단단히 잡자. 우리 예쁜 아이들은 읍내에서 집으로 돌아가는 길을 어엿하고 다부지게 서서 손잡이 잡고도 갈 수 있지?


  할매들이 무릎에 앉으라고 앉으라고 불러도 고개조차 안 돌리며 손잡이만 붙들더니, 할매들이 웃으면서 고놈 참 고놈 참 하다가 나이 몇 살이냐 물으니, “벼리는 여섯 살, 보라는 세 살” 하고 손가락을 꼽으며 알려줍니다. 4346.6.21.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6-21 08: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쁜 벼리랑 보라 보며 환하고 즐겁게 웃으시는 할머니들 모습이
와락, 마음에 스며옵니다.
이 아름답고 따스한 사진 보니, 갑자기 돌아가신 엄마 생각에 쪼끔 눈물이
나오려 하네요..^^;;;;

숲노래 2013-06-21 07:40   좋아요 0 | URL
에이고, 죄송합니다 (__)

군내버스에서 할머니들 참 고우시고
이야기도 말씀도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