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국의 톰소여 1
우메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242

 


살아갈 꿈을 그리다
― 남국의 톰소여 1
 우메 글·그림,장지연 옮김
 대원씨아이 펴냄,2013.4.30./4500원

 


  면소재지 가게에 들르면 가끔 ‘고흥 시골 지역신문’ 여러 장 놓인 모습 봅니다. 때로는 면사무소나 읍내 우체국에 이 ‘고흥 시골 지역신문’이 여러 장 놓이곤 합니다. 고흥 시골마을에 어떤 일 있는가 알아보려고 집어들곤 하지만, 여태 이 지역신문을 들추면서 ‘고흥 이야기’를 제대로 읽거나 느낀 적은 없습니다. 군청에서 하는 일을 다루고, 군청 행사를 다루며, 지역 학교가 운동경기 대회에 나가서 상을 탄 이야기를 다룰 뿐입니다. 종이신문에 ‘고흥’이라는 이름 두 글자는 붙지만, 막상 고흥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이야기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아마 누군가는 말할 테지요. 공무원도 ‘주민(고흥사람)’이지 않느냐 하고. 네, 공무원도 주소가 고흥이요, 보금자리가 고흥이라면 ‘주민(고흥사람)’이라 할 테지요. 그러나, ‘고흥 시골 지역신문’에 언제나 공무원 행사와 행정 이야기만 다루고, 군수 얼굴사진만 보여준다면, 제대로 ‘주민(고흥사람)’을 만나 ‘주민 삶을 이야기한다’고 할 수는 없다고 느낍니다.


  엊그제 본 ‘고흥 시골 지역신문’에는 고흥군 봉래면 바깥나로섬에 ‘우주랜드’를 짓기로 했다는 이야기 실립니다. 수백억 원을 들여 놀이기구와 숙박시설 짓는다고 합니다.


  곰곰이 생각합니다. 고흥군에서는 봉래면 바깥나로섬에 핵발전소를 들이려 했습니다. 그러나 ‘주민(고흥사람)’이 반대해서 핵발전소는 물거품 되었습니다. 뒤이어 고흥군에서는 이곳에 화력발전소를 들이려 했습니다. 그러나 이 또한 ‘주민(고흥사람)’이 반대해서 물거품 되었습니다. 이제 고흥군에서는 다시금 토목개발을 한 가지 더 꾀합니다. 바로 유흥·관광시설입니다. 이런 토목개발을 ‘주민(고흥사람)’은 얼마나 알까요. 이런 토목개발 꾀하며 ‘주민(고흥사람)’한테 생각을 여쭙거나 알리기나 했을까요. 공무원도 ‘주민(고흥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만, 공무원 아닌 지역민을 만나거나 말씀을 여쭈면서 이러한 일을 꾀하려 하는지 궁금합니다.


- “‘멘소레’는 오키나와 본섬에서 하는 인사야. 이곳 하테나섬은 거기서 남서쪽으로 약 500km는 더 떨어져 있으니까.” “도쿄와 오사카 정도 거리네. 그럼 표준어와 관서사투리 같은 관계겠네요.” (13쪽)
- “한 가지 가르쳐 줄게. 낮에 헤엄치는 건 나이챠. 저녁부터 헤엄치는 게 시만츄야.” (67쪽)

 


  고흥 시골마을에서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생각합니다. 고흥 시골마을 한켠에 유흥·관광시설 생긴다면, 시골마을 사람들한테 도움될 일이 한 가지조차 없습니다. 이런 시설 짓는다고 커다란 짐차 잔뜩 드나들면서 시끄럽고 어수선하며 길이 망가집니다. 이런 시설은 숲을 밀고 멧자락 무너뜨리며 짓기 마련입니다. 아름다운 숲과 들과 바다가 나란히 무너집니다. 게다가, 바깥나로섬은 다도해 해상 국립공원 자리예요. 바닷가뿐 아니라 섬이 통째로 국립공원이라 할 만큼 아름답습니다.


  아무래도 아름다운 데이니까 유흥·관광시설을 지어 도시 관광객 끌어모으면 돈이 된다고 여기겠지요.


  곧, 온갖 시설 짓느라 시끄럽고, 온갖 시설 지으면 전기 많이 먹을 테니 송전탑 새삼스레 우람하게 멧자락마다 더 촘촘히 박을 테며, 물을 펑펑 써댈 테고, 생활하수 어마어마하게 쏟아질 테며, 이 모든 쓰레기는 바다와 숲으로 가겠지요. 자동차 끔찍하게 늘어날 테니까 아름다운 숲에 배기가스 넘칠 테고, 시골사람은 시골길에 넘치는 자동차 때문에 마음 놓고 다니기 어렵습니다.


  시골이 좋은 까닭은 깨끗하고 맑기 때문입니다. 시골이 아름다운 까닭은 푸르고 싱그럽기 때문입니다. 시골이 사랑스러운 까닭은 바람이 맛있고 물이 달콤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시골에 유흥·관광시설을 지으려는 생각은 누구 머리에서 나올까요. 이런 시골에 핵발전소나 화력발전소 지으려는 생각은 누구 머리에서 나오나요. 이런 시골에 자꾸자꾸 삽질을 해대려는 생각은 누구 머리에서 샘솟는가요.


- “맛있지만 귀엽다?” “맛있고 귀여워.” “그게 공존하는 감정이구나.” “이게, (염소) 메텔의 수명이니까.” (33∼34쪽)
- “낚싯대는 놓치지 마. 낚싯대와 물고기는 교환할 수 없으니까.” (115쪽)

 

 


  밤이 깊으며 개구리 노랫소리 잦아듭니다. 새벽이 되고 동이 틀 무렵에는 개구리 노랫소리 거의 가라앉습니다. 이즈음 제비가 부산스레 아침을 열고, 숱한 멧새도 나란히 아침을 맞이합니다. 마을 할매와 할배도 시원한 새벽부터 하루일 꾸립니다. 시골사람은 누구나 서너 시부터 하루를 지어 저녁 일고여덟 시면 하루를 닫습니다. 그러니까, 시골사람이라면 새와 풀벌레와 푸나무하고 함께 움직여요. 시골사람이라면 흙을 만지고, 물을 살피며, 바람을 생각합니다.


  너무 마땅한 얘기이지만, 사람을 살리는 것은 흙과 물과 바람과 햇살과 풀과 나무입니다. 손전화도 텔레비전도 인터넷도 자동차도 공산품도 사람을 살리지 않습니다. 문명은 문명이고, 기계는 기계입니다. 문명과 기계가 사람살이를 거들거나 북돋울는지 모르나, 사람살이를 살리거나 가꾸지 못해요. 사람살이를 살리거나 가꾸자면, 흙과 물과 바람과 햇살과 풀과 나무를 돌보며 아낄 노릇입니다. 언제나 정갈하면서 푸른 숨결 흐르도록 흙이랑 물이랑 바람이랑 햇살이랑 풀이랑 나무를 보살피지 않는다면, 시골사람이라 할 수 없습니다.


- “인터넷은 편리하고 당연히 나도 이용하지만, 거기에 올라와 있는 건 이미 누군가가 조사한 것들이야. 사람의 호기심은 계속 파고 들어가다 보면, 언젠가는 아무도 조사한 적 없는 세계에 도달하는 법이거든. 뭐, 그 장벽을 넘을 것인가, 말 것인가는 개인의 자유지만.” (99쪽)
- “옛날 생각나네. 너의 그 ‘니라이카나이 = 하테나섬 설’.” “뭐야, 그게? 비꼬는 거야?” “진지하게 하는 소리야. 그 설만 버리면 대학으로 돌아올 수 있어.” (186쪽)


  우메(UME) 님 만화책 《남국의 톰소여》(대원씨아이,2013) 첫째 권을 읽으며 생각합니다. 일본 중앙정부하고 한참 먼 오키나와, 이 오키나와에서도 한참 먼 하테나섬, 깊디깊은 시골마을에서 살아가는 조그마한 사람들 삶과 넋 가만히 보여주는 작은 만화책 하나에 어떤 이야기 깃드는가 하고 헤아려 봅니다.


  두멧시골 사람들은 밥과 옷과 집을 어떻게 마련할까요. 두멧시골 사람들은 어떤 꿈을 꿀까요. 도시하고 가깝거나 서울(수도)하고 가까운 데로 가야 꿈을 이룬다 할 만할까요. 도시나 서울(수도)에 있는 시설을 두멧시골에 똑같이 들여야 좀 살 만하다고 여길까요.

 


- “뭐야? 무슨 일 있었어? 오늘.” “설명회야. 더러운 리조트 개발업자의!” “리조트? 이렇게 아무것도 없는 섬에?” “너 완전 애구나? 아무것도 없으니까 찜한 거지!” (192쪽)


  도시나 서울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마음속에 어떤 꿈을 품을까요. 도시나 서울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이웃과 동무하고 어떤 사랑을 속삭일까요. 버스를 타고 전철을 타면서 저마다 어떤 꿈을 품는가요. 자가용을 몰고 손전화를 켜면서 서로서로 어떤 사랑을 나누는가요.


  도시사람은 사월에 어떤 꽃을 보고, 유월에 어떤 나무를 보며, 팔월에 어떤 열매를 볼까요. 서울사람은 시월에 어떤 하늘을 보고, 십이월에 어떤 들판을 보며, 이월에 어떤 바다를 볼까요.


  우리는 무슨 일을 하려고 이 땅에 태어난 목숨일까요. 우리는 어떤 꿈을 이루려고 하루하루 살아가는 숨결일까요. 우리는 어느 때에 웃거나 울면서 삶을 짓는 사람일까요.


  새벽녘 되며 하늘빛 바뀌고, 밤새 빛나던 뭇별 천천히 사그라듭니다. 밤새 노랫소리는 어느덧 새벽새 노랫소리가 되고, 조금 뒤에는 아침새 노랫소리로 접어들 테지요.


  매화나무 열매 익습니다. 뽕나무 열매 익습니다. 우리 집 둘레에 올봄에 심은 복숭아나무와 살구나무와 대추나무 씩씩하게 새잎을 틔우고 새 가지 뻗으려 합니다. 아이들은 밤새 새근새근 잠들었다가, 밝은 아침에 맑은 눈빛으로 똘망똘망 깨어나서 새롭게 뛰어놀겠지요.


  꿈이란 무엇일까요. 어떤 모습이 될 때에 꿈이라 할까요. 직업이 아닌 꿈을, 돈이 아닌 꿈을, 권력이나 이름값이 아닌 꿈을 가슴속에 곱다시 품으면서 하루를 밝힐 내 이웃은 누구요, 내 동무는 어디에 있는지 떠올립니다. 하루를 살아가는 꿈을 천천히 그리면서 오늘을 맞이합니다. 4346.6.3.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ppletreeje 2013-06-03 06: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궁금했던 <남극의 톰소여>군요.
문득 어릴때 읽은 <톰 소여의 모험>이 생각납니다.
그리고 그 책을 읽으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하는 생각도 또 문득, 들어요,
오늘도 함께살기님의 새벽글 읽으며,
하루를 살아가는 꿈을 천천히 그리며 오늘을 시작합니다. *^^*

숲노래 2013-06-03 09:15   좋아요 0 | URL
이번에는 퍽 빨리 느낌글을 썼어요.
이 만화책을 사랑해 줄 분들은 곱게 사랑해 주시고,
이 만화책에 느낌이 아직 안 와닿는 분들은
이녁 느낌 고이 와닿는 다른 만화를 즐거이 사랑하면서
모두들 하루하루 예쁘게 누리면 참 좋겠어요.

좋은 하루 보내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