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창 - 장애를 딛고 선 천재화가 어린이미술관 6
심경자 지음 / 나무숲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268

 


‘장애 딛고’ 화가 되지 않는다
― 장애를 딛고 선 천재 화가 김기창
 심경자 글
 나무숲 펴냄,2002.2.9./10500원

 


  대학교에서 오랜 나날 그림을 가르친 심경자 님이 당신 ‘그림 스승’ 이야기를 갈무리한 《장애를 딛고 선 천재 화가 김기창》(나무숲,2002)을 읽으며 생각합니다. 곁에서 오래 지켜보기도 했고, 마음으로 깊이 품으며 우러른 ‘그림 스승’ 이야기인 만큼, 누구보다 알뜰살뜰 잘 풀어내어 엮은 그림책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두 가지 대목에서 ‘그림쟁이 김기창’ 님을 잘못 읽었구나 싶습니다.


  첫째, 김기창 님은 ‘장애 화가’가 아닙니다. 둘째, 김기창 님은 ‘천재 화가’가 아닙니다. 김기창 님은 ‘화가’일 뿐입니다. 덧붙여, 김기창 님을 가리켜 ‘한국의 피카소’라 일컬을 수 없습니다. 김기창 님은 오직 김기창이라는 한 사람이요, 김기창 님 스스로 죽음을 앞두고 밝혔듯 “하느님한테서 받은 손”으로 “하느님 그림”을 그린 한 사람입니다.


.. 운보 김기창은 천둥 소리도 들을 수 없는 청각 장애자였습니다. 그는 붓만 들면 세상에서 못 그리는 것이 없는 신비한 손을 가진 화가였습니다. 그의 그림 속에서는 그가 듣지 못하는 소리까지도 느낄 수 있습니다. 체섹. 수묵, 추상, 구상 등 어느 한 곳에 머물지 않고 모든 분야를 자유자재로 넘나든 그를 ‘한국의 피카소’라고 부릅니다 ..  (3쪽)

 

 


  김기창 님은 여든 살이었을 무렵 “고맙습니다. 화가는 죽는 순간까지 붓을 놓지 않습니다.” 하고 말했습니다. 참 그렇지요. 시골 흙일꾼은 ‘살아서 움직이는 동안’ 언제나 손에 호미를 쥡니다. 글을 쓰는 사람은 살아서 생각하는 동안 늘 손에 연필을 쥡니다. 노래를 부르는 사람은 무대에 더 서지 않는다 하더라도, 마음속으로 스며드는 어여쁜 가락을 노상 흥얼거리고 읊으며 들려줍니다.


  집살림 꾸리는 일꾼은 한결같이 밥을 짓고 옷을 기우며 집을 돌봅니다. 살아서 움직이는 동안 어느 누구나 스스로 뜻을 품은 가장 아름다운 꿈으로 나아갑니다.

  그런데, 예술쟁이나 문화쟁이가 될 때에만 가장 아름다운 꿈으로 나아가는 모습이 아니에요. 김치를 담그고 밥을 짓는 손놀림 또한 무척 아름다운 꿈이라고 느껴요. 밭자락에서 풀을 뜯는 손길 또한 더없이 아름다운 꿈이라고 느껴요. 아이들 어루만지는 손가락 또한 매우 아름다운 꿈이라고 느껴요.


  종이에 어떤 자취를 남겨야 예술이 되지 않아요. 부지깽이 하나도 예술이 됩니다. 원고지에 적바림한 글이어야 문화가 되지 않아요. 빨랫줄에 드리운 옷가지 하나도 문화가 됩니다.


  아이들은 까르르 웃고 뛰며 노래하는 하루 누리면서 새 이야기를 날마다 빚습니다. 어른들은 하하 호호 웃고 땀흘리며 마실하는 하루 즐기면서 새 이야기 언제나 짓습니다.


  어버이가 뜨개질을 해서 아이한테 내어주는 옷가지 하나 또한 예술입니다. 날마다 두 끼니나 세 끼니 차려서 내놓는 밥상 또한 문화입니다. 우리 삶 어느 구석 예술 아닌 곳 없고, 우리 이야기 어느 한 가지 문화 아닐 수 없습니다.


  김기창 님이 일군 그림밭이란, 예술쟁이나 문화쟁이로서 돋보이는 그림열매나 그림씨앗이라고는 느끼지 않아요. 삶을 사랑하는 이야기 담은 그림열매요, 삶을 노래하는 꿈 깃든 그림씨앗이라고 느껴요.


  그러니까, 김기창 님은 장애인이 아닙니다. 소리를 못 들어 장애인이라 한다면, 밥짓기 못하거나 빨래하기 못하는 사람도 장애인이 됩니다. 나는 자동차 몰 줄 모릅니다. 나는 ‘운전 못하는 장애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는 회사원이나 공무원 노릇 못합니다. 나는 ‘회사원이나 공무원 노릇 못하는 장애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풀이름 하나 꽃이름 하나 나무이름 하나 모르는 도시사람 아주 많습니다. 이들도 삶 한 자락 제대로 모르는 장애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순 사랑으로 이웃을 아끼지 못하는 사람들도 장애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마어마한 돈을 거머쥐기만 할 뿐, 둘레에 넉넉히 나누지 못하는 사람들도 장애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김기창 님은 천재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이 저마다 다른 천재이기 때문입니다. 누구한테나 빛이 주어지지만, 사람들은 좀처럼 이녁한테 주어진 빛을 제대로 느끼려 하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도시 문명 사회에서 톱니바퀴 되어 부속품처럼 쳇바퀴를 돌려 할 뿐, 이녁 마음밭에 드리운 아름다운 빛을 돌아보려 하지 않습니다. 김기창 님은 톱니바퀴 되지 않고 부속품 되지 않으며 쳇바퀴 돌지 않습니다. 김기창 님 삶길을 이녁 손으로 씩씩하게 일구며 걸어갔습니다.


.. 김기창은 이런 말을 하였습니다. “하느님이 내 손에 쥐어 주신 붓을 이젠 하느님께 돌려 드리고 가야 해.” 2001년 1월 23일, 김기창은 그의 말대로 하느님께 붓을 돌려 드린 뒤 여느 때처럼 빨간 양말에 흰 고무신을 신고, 백두산에서 꺾어 온 나무로 손수 만든 지팡이를 짚고 하늘나라로 갔습니다 ..  (42쪽)

 

 


  사람들 모두 저마다 이녁 삶 누리는 화가 되어 그림 그릴 수 있기를 빕니다. 문화를 하거나 예술을 하려고 그리는 그림이 아니에요. 스스로 삶을 밝히려고 그리는 그림이에요.


  사람들 모두 저마다 이녁 삶 즐기는 작가 되어 글을 쓸 수 있기를 빕니다. 문학을 하거나 책을 내려고 쓰는 글이 아니에요. 스스로 삶을 빛내려고 쓰는 글이에요.


  삶을 밝히는 그림이기에, 하느님 손길 드리워 그림 하나 누립니다. 삶을 빛내는 글이기에, 하느님 손결 깃들어 글 하나 즐깁니다.


  ‘장애 딛고’ 화가 되는 사람은 없습니다. ‘무언가 딛고’ 선 사람이라면, 그저 무언가 딛고 섰을 뿐입니다. 김기창 님은 그림을 그리고 싶었으니 그림을 그린 사람입니다. 김기창 님은 이녁 마음속에 피어나는 이야기를 그림으로 나타내고 싶었으니 그림을 그린 사람입니다. 누군가는 마음속 이야기를 글로 쓰고, 누군가는 마음속 이야기를 노래로 부릅니다. 누군가는 마음속 이야기를 밥 한 그릇으로 보여주고, 누군가는 마음속 이야기를 밭일구기로 보여줍니다.


  아름답게 사랑하고 싶은 삶을 꿈꿀 때에,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며 살림을 꾸립니다. 즐겁게 나누고 싶은 삶을 바랄 적에, 화가 되고 작가 되며 살림꾼 됩니다. 4346.5.23.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ppletreeje 2013-05-23 14:45   좋아요 0 | URL
누구에게나 빛이 주어지지만, 사람들은 좀처럼 이녁한테 주어진 빛을 제대로 느끼려 하지 않습니다.-
운보 김기창님의 어린이같이 천진한 웃음과 말소리가, 떠오르는 시간입니다.

숲노래 2013-05-24 03:42   좋아요 0 | URL
저마다 마음속에서 샘솟는
고운 빛을 헤아리면서
예쁘게 살아간다면 참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