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 해 책읽기

 


  서울에서 스무 해 넘은 아파트 사잇길 걷는다. 지은 지 스무 해 넘다 보니, 처음 지으며 ‘옮겨 박은’ 나무들 모두 스무 해라는 나날을 살아냈다. 스무 해라는 나날은 나무로 치면 손톱 끝 때처럼 아주 짧은 겨를일 뿐이지만, 제법 키 자라고 줄기 굵으며 잎사귀 넓적하고 꽃망울 흐드러진다.


  서울사람은 알까? 저 아파트 한 채 두 채보다 이 아파트 사이사이 자라는 스무 해 넘은 나무들이 훨씬 빛나고 아름다우며 사랑스러운 줄? 그러나, 나중에 아파트 재개발이니 재건축이니 하는 얘기 나돌면서 이 시멘트집 허물 적에 나무를 제대로 파내어 살뜰히 옮겨 다른 데에서 살릴 만한 건축계획이나 도시계획은 없으리라 느낀다. 내가 몰라서일는지 모르나, 나는 아직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마흔 해 묵은 아파트 나무’라든지 ‘쉰 해 먹은 아파트 나무’를 잘 건사해서 옮겨심어 살렸다는 소리를 못 들었다.


  헌 아파트를 헐고 새 아파트 지을 때에는 언제나 ‘아파트 나무’ 잘라내어 버리기만 한다. 건축설계를 하든 토목공사를 하든, 건축과 토목 일을 하는 사람들 어느 누구도 나무한테 마음을 두지 않고 눈길을 기울이지 않는다. 마흔 해 묵은 나무를 옮겨심으면 아무리 새로 지은 아파트라 하더라도 머잖아 예순 해 살아낸 나무가 되고, 쉰 해 먹은 나무라 하면 일흔 해 살아가는 나무가 될 뿐 아니라, 헐고 새로 지은 아파트를 또 헐 무렵에는 백 해 즈음 살아내는 나무가 된다.


  아직 도시사람은 나무 소담스러운 줄 모르는데, ‘아파트 나무’라 하더라도 백 해를 살아낼 수 있다면, 이제부터 이 나무 때문에 도시는 숲이 될 수 있다. 백 살 넘은 나무가 줄지어 있는 동네라면 이 동네는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다운 보금자리 될 만하다.


  오늘날 시골을 둘러보면 안다. 조선 끝무렵, 개화기,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해방, 이승만·박정희 독재정권 거치며 시골자락 나무들 온갖 뭇칼질에 시달리고 들볶인 나머지, 깊은 멧골에서조차 백 살 넘은 나무 찾아보기 어렵다. 나무를 심어 꽃을 보든 열매를 얻든, 나무 한 그루 적어도 백 살은 살아내고 삼백 살쯤은 숨쉬면서 우리 곁에서 푸르게 뿌리내리도록 북돋아야지 싶다. 집짓는 소나무 되자면 섣불리 가지치기 하지 않으며 곧게 자라도록 돌보아 삼백 살이나 오백 살은 살도록 지켜야 한다. 마을나무 되자면 천 살이나 이천 살쯤은 살아내어 둘레에 풀밭을 마련하거나 평상 하나 놓을 수 있어야 한다.


  나무 한 그루는 오천 살을 살아간다. 오천 살이란 역사학자들 말하는 한겨레 발자국하고 같은 길이가 된다. 반 만 해라는 발자국이 되게 긴 듯 역사학자들 말하지만, 고작 나무 한 그루 살아내는 길이만 할뿐이다. 나무 한 그루는 한겨레 발자국을 고스란히 지켜보며 살아간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 나라 어디에 한겨레 발자국 고스란히 지켜보며 살아낸 오천 살 먹은 나무 있는가. 천 살 먹은 나무조차 몇 안 된다.


  나무가 오래오래 살아가도록 보살피지 않으면서, 사람들은 스스로 마음밭 얼마나 깊고 그윽할 수 있는가를 잊는다. 나무가 푸르게 뿌리내리도록 마음 쓰지 않으면서, 사람들은 이웃과 동무를 사랑하는 마음씨를 스스로 잃는다. 서울 아파트마을 한복판을 걷다가 생각한다. 고작 스무 해 남짓 살아낸 ‘아파트 나무’라 하더라도, 스무 살 넘은 나무 있는 이 아파트마을은 조금이나마 ‘사람 깃들 만’한 동네가 되겠다고. 4346.4.22.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4-22 02:06   좋아요 0 | URL
그렇지요.
저도 이곳으로 이사오기 전에는 15년동안 아파트에서 살았는데,
처음 입주했을 때는 너무나 황량했던 곳이 세월이 지나 나무들이 무성해지니 아주 아이들이 뛰어 놀만한 곳이 되었지요. 오히려 지금 사는 이곳이 연말이면 남은 예산을 처리하랴 그러는지 멀쩡한 나무들과 흙길을 파헤쳐 버리고 시멘트길로 만들곤 해서 오히려 전에 살던 아파트 숲길이 오히려 더 그리울 때가 많아요.
방학동 신동아 아파트라면 아직은 아파트 사이 사이길의 나무길들이 괜찮지요?
왜 그리 사람들은 나무의 소중함과 아름다움을 쉽게 버리곤 할까요?
나무가 없어지는 만큼, 사람들의 본성도 그만큼 잃어 버려 갈텐데요..

숲노래 2013-04-22 02:13   좋아요 0 | URL
어릴 적부터 나무를 제대로 못 보고 자란 탓에
나이 들어 어른이 된다 하더라도
나무한테서 푸른 숨결 받아먹지 못하고 말아,
나무가 얼마나 아름답고 소담스러운가를
삶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구나 싶어요.

올해 새로 심은 나무 여섯 그루에
찬찬히 새싹 돋아
날마다 즐겁게 쳐다보고 쓰다듬어 주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