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를 이루는 숲
도시를 이루는 숲은 무엇일까. 나는 책방이 도시에서 사람들한테 푸른 숨결 베푸는 고운 숲 구실을 한다고 느낀다. 중학교를 다니고 고등학교를 다닐 적에, 또 고등학교를 마치고 대학교를 다섯 학기 다니는 동안, 학교 둘레에서 책방을 쉽게 만나거나 드나들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내 마음과 내 이웃들 마음은 사뭇 달랐다고 생각한다.
도시에 책방이 있을 때와 없을 때는 크게 다르다. 도시에 새책방 여러 곳 있을 때하고 헌책방 한두 곳 있을 때 또한 크게 다르다. 새책방만 있고 헌책방이 없다면, 그 도시는 어딘가 허전하거나 쓸쓸하다. 새책방과 헌책방이 골고루 곳곳에 있으면, 그 도시는 여러모로 밝거나 산뜻하다.
‘기적의 도서관’이라 하면서 몇몇 도서관이 여러 지자체에 선다. 도서관을 세우고 책이야기 나누는 일은 반가우면서 고맙다. 그런데, 도서관만 있고 책방이 없다면? 사람들이 이녁 스스로 주머니돈 모아서 책 하나 살피며 장만하는 즐거움을 누리지 못한다면?
갓 나오는 책은 갓 나오는 대로 따스한 기운 느끼며 장만할 때에 즐겁다. 오래 묵은 책은 오래 묵은 대로 깊은 기운 느끼며 장만할 때에 즐겁다. 살가운 동무와 만나 이야기꽃을 피울 적에는 이대로 즐겁고, 할머니 할아버지하고 오순도순 둘러앉아 이야기열매 받아먹을 적에는 이대로 즐겁다. 아이들과 부대끼며 새로운 이야기샘 길어올릴 적에는 이대로 즐거울 테지.
도서관 곁에 새책방이 있고, 새책방 곁에 헌책방 여러 곳 거리나 골목을 이루면 얼마나 아름다울까. 도서관에서 낡은 책은 사람들한테 내놓으며 깨끗한 책을 새로 갖추고, 도서관에서 나온 책을 헌책방에서 받아들여 알맞춤한 값으로 팔 수 있으면, 또 새책방에서 새로 나오는 책들을 널리 알려 팔 수 있으면, 그리고 새책방과 도서관에서 다루지 못하는 책을 헌책방에서 정갈히 손질하며 팔 수 있으면, 참말 사랑스러운 책터가 이루어지리라.
책방 곁에 나무로 이루어진 숲이 있으면 더 좋겠다. 사람들 살림집 사이사이에 풀숲이 있고 텃밭이 있으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다. 책은 나무를 베어 나무 숨결로 새로 빚는 이야기꾸러미인 줄 사람들이 고즈넉하게 느낄 수 있으면 참 좋겠다. 4346.2.13.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