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꽂이 들이기
책꽂이를 좋은 녀석으로 들이고 싶었다. 크기를 헤아리고 갯수를 살핀다. 내가 쓰고픈 책꽂이는 밑바닥부터 나무 두께가 어느 만큼 되어야 하는가를 생각한다. 손수 나무를 맞추어 짜는 길을 돌아본다. 공장에서 만든 물건은 값이 얼마나 하는가 어림한다. 좋은 나무를 골라 좋은 책꽂이를 짜는 분한테 말씀을 여쭌다. 더없이 좋구나 싶은 책꽂이는 하나에 이십팔만 원. 나는 이 책꽂이를 여든 개는 들여야 한다. 이십팔만 원짜리가 여든 개라면 이천만 원이 훌쩍 넘는 돈이 된다. 공장에서 만든 책꽂이는 이모저모 해서 하나에 십만 원 남짓. 이 녀석을 예순 개 들여도 육백만 원이지만, 여든 개는 있어야 하기에 팔백만 원 돈.
이도 어렵고 저도 팍팍하다. 이만 한 책꽂이를 들이기 앞서 학교땅부터 사야 하는데, 좀 까마득하다. 하는 수 없다고 생각해야 할까. 아직 더 기다려야 할까. 가장 값싸고 빠르게 장만해서 책을 건사할 ‘네 칸 칼라박스’를 백십만 원어치 들이기로 한다. 칼라박스를 주문하고는 한숨을 쉰다. 그렇다고 달리 뾰족하게 수를 내지 못한다. 집일을 건사하고 아이들하고 복닥이면서 옆지기랑 둘이 책꽂이를 짜기란 좀처럼 만만하지 않다. 옆지기가 둘째를 업고 둘이 책꽂이를 짤 수 있을까. 이틀에 하나를 짜더라도 이렇게 할 때가 가장 나을까. 이 꿈은 놓고 싶지 않다. 앞으로 이 꿈을 이루고 싶다. 이 꿈을 이룰 때까지 우리 책들이 땅바닥 아닌 책꽂이에서 기다리도록 보살피고 싶다. (4345.3.5.달.ㅎㄲㅅ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