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 헌터
이반 로딕 지음, 박상미 옮김 / 윌북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을 찍는 예쁜 길
 [찾아 읽는 사진책 71] 이반 로딕, 《페이스 헌터face hunter》(윌북,2011)

 


 사진을 찍는 길이란 내가 살아가는 길입니다. 글을 쓰는 길이란 내가 살아가는 길입니다. 그림을 그리는 길도, 노래를 부르는 길도, 연극을 하는 길도, 하나같이 내가 살아가는 길입니다.

 

 시골마을에서 흙을 만지면서 일구는 길 또한 내가 살아가는 길입니다. 사랑스러운 짝꿍을 만나 아이들을 낳고 함께 살아가는 길 또한 내가 살아가는 길이에요. 밥을 차리는 매무새라든지 집안을 쓸고닦는 일 또한 내가 살아가는 길이에요.

 

 읽을 만하다 싶은 책 하나를 살피는 몸짓이든, 책 하나를 찾아서 손에 쥐어 넘기는 몸가짐이든, 언제나 내가 살아가는 길입니다. 살아가는 대로 생각을 하고, 살아가며 생각하는 대로 말을 합니다. 내 모든 모습은 내가 태어나서 이제껏 살아온 발자국입니다.

 

 내가 무엇을 배운다 할 때에도 내가 여태 살아온 흐름에 맞추어 배웁니다. 내가 살아온 발자국을 거슬로 배우지 못합니다. 새롭게 배운다거나 새삼스레 거듭나고 싶다면, 내가 살아온 길을 고쳐야 합니다. 내 삶자락을 새롭게 고칠 때에 나는 새로운 사진결 글결 그림결 노래결을 피웁니다. 내 삶자락을 새롭게 고치지 않고서는 새로운 넋이나 꿈을 건사하지 못합니다.

 

 지식을 쌓는대서 달라지는 삶이 아닙니다. 내 온몸과 온마음을 바쳐서 삶을 뜯어고칠 때에 비로소 달라지는 삶입니다. 어떻게 살아가고 싶다 하는 꿈이 없으면서 삶이 달라질 수 없습니다. 어떻게 꿈을 이루고 싶다 하는 뜻이 없으면서 삶이 아름다울 수 없어요.

 

 이반 로딕 님 사진책 《페이스 헌터face hunter》(윌북,2011)를 읽으면서 생각합니다. 길거리에서 사진을 찍는다는 이반 로딕 님은, ‘길거리 멋쟁이’를 사진으로 담습니다. 이반 로딕 님은 ‘길거리 멋쟁이’를 사진으로 찍을 뿐이지만, 이 사진을 바라보는 사람은 저마다 달리 느껴 받아들입니다. 누군가는 패션사진으로 받아들입니다. 누군가는 얼굴(초상)사진으로 받아들입니다. 누군가는 여행사진으로 받아들일 만하고, 누군가는 도시에서 멋을 내는 사람들 이야기를 다큐멘터리로 엮는다고 받아들일 만합니다. 그러니까, 《페이스 헌터face hunter》에 담긴 모습은 사진입니다. 패션이나 작품이나 예술이나 상업이나 다큐가 아닌 사진입니다.

 

 “나는 패션잡지 편집자들이 왜 그렇게 많은 시간과 돈을 낭비하면서 재미없는 직업모델들의 사진을 찍기 위해 지구를 반 바퀴씩 날아가는지 모르겠다. 그들이 만약 나처럼 일한다면 훨씬 쉬울 텐데 말이다. 훌륭한 도시로 여행을 가서 그 동네에 사는 아름다운 멋쟁이를 찾아낸 다음 그녀를 놀이터로 데리고 가서 아이들에겐 사탕을 주면서 저리 가라고 하고 미끄럼틀을 타고 논다. 그런 다음 셔터를 누르면 된다(172쪽).”는 말을 헤아립니다. 이반 로딕 님은 길거리 멋쟁이를 사진으로 담을 테니, 이 사진은 아무래도 패션잡지에 실릴 만하겠지요. 아무래도 패션잡지를 자주 들추고, 패션잡지 편집자를 자주 만날밖에 없겠지요. 그런데, ‘그렇게 많은 시간과 돈’을 쓰면서 ‘재미없는 직업모델’을 찍는 이는 패션사진가만이 아니에요. 다큐사진을 하든 얼굴사진을 하든 무슨 사진을 하든, 웬만한 사진쟁이는 으레 틀에 박힌 사진찍기에서 헤어나지 못합니다. 가까이에서 마주하는 아름다운 삶을 느끼지 못합니다. 곁에서 언제나 어깨동무할 사랑스러운 벗을 깨닫지 못합니다. 꿈을 함께 나누고 사랑을 나란히 즐길 이웃과 동무를 좀처럼 알아채지 못해요. 인도·티벳·네팔·몽골로 가야 비로소 다큐사진이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나라로 찾아가 이러한 나라 아이들 웃는 모습을 담아야 다큐사진이지 않습니다. 아프가니스탄으로 가야만 전쟁사진을 찍지 않습니다. 미국으로 가야만 현대사진을 배우지 않습니다. 유럽으로 찾아가야만 예술사진을 느끼지 않아요.

 

 “때로는 한 도시에서 5시간을 헤매고도 사진 한 장 건지지 못할 때가 있다. 정말 놀라운 걸 보지 못했을 때이다. 마침내 찍을 사람을 찾았을 때 나는 사진의 구도를 잡으려고 한다. 보통 주변을 조금 돌아보면서 적당한 배경을 찾는 것이다. 말하자면 즉흥적인 연출 사진이라고 할 수 있다(256쪽).”는 말을 돌아봅니다. 참으로 놀라운 모습은 내 마음밭에서 싹틉니다. 참으로 놀라운 모습을 느끼며 알아채는 결은 내 가슴속에서 샘솟습니다. 나 스스로 놀랍도록 아름다이 살아가는 나날일 때에야 비로소 내 이웃과 동무와 살붙이한테서 놀랍도록 아름다운 모습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나 스스로 어여삐 꾸리는 삶일 때에 내 이웃과 동무와 살붙이한테서 어여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내 사진기로 담을 모든 빛줄기는 늘 가장 가까운 자리에서 조용히 기다려요.

 

 “상업적인 사람들이 하도 거짓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바람에 21세기에는 더 이상 사진에서 무엇이 진정한 포즈인지 믿을 수 없게 되어 버렸다. 하지만 이것만은 거짓이 아니다. 나는 이 두 사람에게 ‘하트를 해 달라’고 말하지 않았다(278쪽).”는 말을 생각합니다. 참다운 사진은 참다운 삶에서 비롯합니다. 착한 사진은 착한 삶에서 태어납니다. 아름다운 사진은 아름다운 삶에서 스며나옵니다. 사진을 찍는 한길을 걸어가려 한다면, 나 스스로 어떤 삶길을 걸어가려 하는가부터 짚어야 합니다. 어느 곳에서 어떤 꿈을 꾸면서 어떤 사람들하고 어떤 사랑을 나누는 삶을 일구려 하는가부터 살펴야 해요. 삶길을 튼튼하고 씩씩하게 붙잡은 다음에 사진길을 튼튼하고 씩씩하게 붙잡습니다. 삶길을 이루는 사랑길을 어여삐 보살피거나 돌볼 줄 안 다음에 사진길을 이루는 손길을 어여삐 보살피거나 돌볼 수 있어요.

 

 “수많은 스트리트 패션 사진작가들이 자석에 끌리듯 브랜드를 좇는다. 그리고 사람들에게 ‘무슨 브랜드를 입고 있어요?’라고 묻는다. 도대체 그게 무슨 상관인가! 난 쇼핑 안내서를 쓰는 게 아니란 말이다(18쪽).”는 말이 좋습니다. 인도에서 찍든 티벳에서 찍든 네팔에서 찍든 몽골에서 찍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서울에서 찍든 인천에서 찍든 강릉에서 찍든 영월에서 찍든 고흥에서 찍든 여수에서 찍든 대단하지 않아요. 대통령을 찍거나 군수나 시장을 찍는대서 보잘것없지 않습니다. 내 어버이를 찍든 내 아이를 찍든 하잘것없지 않아요. ‘누구를 찍었나’에 앞서 ‘사진을 찍었나’를 살피면 됩니다. ‘어떻게 찍었나’에 앞서 ‘어떤 삶을 어떻게 느끼며 찍었나’를 헤아리면 됩니다.

 

 나 스스로 좋아하는 길을 걸어가면서 나 스스로 좋아하는 사진을 느끼면 넉넉합니다. 나 스스로 사랑하는 사람하고 얼크러지면서 나 스스로 사랑하는 사진을 담으면 즐겁습니다.

 

 사진을 찍는 길은 내 꿈을 살아내는 길입니다. 사진을 찍는 예쁜 길은 내 꿈을 살아내는 예쁜 길입니다.

 

 나한테 빛나는 사랑을 알아차려 주셔요. 나한테 값진 꿈을 붙잡아 주셔요. 나한테 소담스러운 이야기를 조곤조곤 풀어놓아 주셔요. 사진을 이루는 싹은 내가 꾸리는 오늘 하루 조그마한 삶을 밑거름 삼아 돋습니다. (4344.12.13.불.ㅎㄲㅅㄱ)

 

― 페이스 헌터face hunter (이반 로딕 글·사진,박상미 옮김,윌북 펴냄,2011.6.15./17800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11-12-13 08: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이 책은 읽어보지 못했는데 표지부터 <사토리얼리스트>랑 매우 비슷하네요. 번역자도 같고요. 소개글 찾아 읽어보니 사토리얼리스트의 작가와 쌍벽을 이루는 사람이라네요.
남이 하지 않는 방법이더라도 자기 뜻을 소신있기 펼치는 사람이 귀하지요. 그런 뜻을 알아볼 수 있는 눈들을 그래도 아직 여기 저기 많이 살아있다고 믿어요, 역시 잘 드러나지 않아서 그렇지요.
작가는 자기 뜻을 사진으로 나타내고 저는 그의 작품을 보며 이 사람은 이 사진으로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헤아리고. 저에게 사진책을 보는 재미는 그런데 있는 것 같아요.

숲노래 2011-12-13 08:11   좋아요 0 | URL
사진을 자연스럽게 잘 찍었어요.
사토리얼리스트하고 거의 비슷하지만
퍽 달라요.
사토리얼리스트보다 이 책이 한결 낫구나 싶어요.

다만, 이 책이나 저 책이나 `번역`을 안 하다 보니...
`사토어쩌구`이든 `페이스어쩌구`이든
한국말로 번역을 해야지요 -_-;;;;

사진을 좀 많이 좋아하면서 사진쟁이로 한길을 걸어가려 하는 사람이라면
찬찬히 돌아볼 만하다고 느끼는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