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쪽지 2011.7.11.
 : 바람이 흔드는 나뭇잎 소리



- 12일 장날에도 비가 쏟아질 듯하다고 느낀다. 어차피 장마당도 제대로 안 설 테고, 장마당이어야만 살 수 있는 푸성귀는 아니기에, 오늘 비가 좀 뜸할 때에 맞추어 읍내마실을 나서기로 한다.

- 그제에도 읍내에 다녀갔다. 사흘 앞서 셈틀이 갑자기 맛이 가는 바람에 그제 낮 이 녀석을 수레에 싣고 읍내로 가야 했다. 아이가 수레 앞에 앉고 셈틀을 수레 뒤에 넣으니 수레 무게가 꽤 나갈 뿐 아니라 뒤로 쏠려서 고개를 오를 때에 무척 애먹었다. 오늘은 홀가분한 수레이다. 그런데 어쩐지 기운이 나지 않는다. 힘들다.

- 집으로 돌아오는 오르막에서 다시금 느낀다. 오늘 따라 무척 힘들다. 하는 수 없이 숯고개 꼭대기에 거의 다다를 무렵 자전거를 세운다. 한숨을 돌린다. 읍내에서 비가 쏟아졌기에 아이한테 비옷을 입히고 나도 비옷을 입었는데 비가 그쳤다. 아이가 비옷이 답답하다며 벗겨 달라 한다. 아이 비옷을 벗긴다. 그러고 나서 우리를 둘러싼 멧자락을 휘 둘러본다. 아이한테 저 구름을 보라고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이야기한다. “구름이 멧등성이에 앉았네. 구름도 다리를 쉬려고 멧자락에 앉았나 봐.”

- 아이는 아버지 말을 고스란히 따라한다. 아버지나 어머니가 아이 앞에서 어떤 말을 하느냐에 따라 아이가 앞으로 살아갈 나날 쓸 말이 달라지리라. 어버이부터 아름다우며 착하고 참다이 말을 해야 아이가 아름다우며 착하고 참다운 말을 배우겠지.

- 큰길이 끝나고 마을로 접어든다. 마을에 접어든 다음 만나는 가파른 오르막에서도 자전거를 멈춘다. 끙끙거리며 미는데 아이가 걷고 싶다며 아버지를 부른다. 잘 됐다. 아이를 내린다. 아이는 콩콩 뛰듯 신나게 걷는다. 조금 걷자니 멧새들 지저귀는 소리가 가득하더니 어치가 한 무더기 이곳에서 저곳으로 날아간다. 스무 마리 넘게 보인다. 게다가 어치 사이사이 꾀꼬리가 한 마리씩 섞인다. 아이는 ‘새’만 보고 ‘꾀꼬리’는 자꾸 놓친다.

- 더 걷는다. 옆으로 자동차가 석 대 지나간다. 자동차를 모는 사람은 시골길을 달리더라도 멧새가 지저귀는 소리를 들을 일이 없겠지. 요즈음 쏟아지는 빗줄기를 그으려고 허둥지둥 다니는 어린 사마귀를 볼 일도 없겠지. 갓 깨어난 자그마한 사마귀가 시골길을 허둥지둥 가로지르는 모습을 보며 자칫 밟을 뻔했다. 새끼손가락 마디 하나보다 자그마한 크기인 새끼사마귀이니까, 자동차를 모는 이들은 알아볼 수 없을 뿐 아니라 알아보려 할 수조차 없다.

- 자꾸 걷는다. 마을길로 접어든 다음에는 수레에서 아이를 내려 걷게 하면 더 좋겠다고 새삼스레 느낀다. 집에 거의 다 온다. 마지막 얕은 오르막에서 바람이 꽤 세게 분다. 휘이이 소리를 내며 나뭇잎을 잔뜩 흔든다. 아이는 바람소리가 좋고 바람결이 시원하다며 소리를 꺄악꺄악 지른다. 고개를 들어 나무숲굴처럼 된 곳에서 푸른 잎 우거진 나뭇가지를 올려다본다. 눈을 감고 바람소리를 느낀다. 귀만 열어 바람이 나뭇잎을 흔드는 소리를 듣는다. 아이가 저 앞으로 달려간다. 아이 뒷모습을 사진으로 한 장 더 찍으면서 이 사진에는 아이와 아버지가 함께 걸어가며 들은 바람소리도 담겼을까 하고 헤아려 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양철나무꾼 2011-07-14 14:14   좋아요 0 | URL
바람이 몹시 부는 날의 사진들을 한참 들여다 봤어요.
바람에, 바람결에, 바람소리에 내어맡기는 거...때로는 위안이 되기도 하더라구요.

숲노래 2011-07-14 17:14   좋아요 0 | URL
빗소리와 바람소리를 함께 듣는 여름날은
빨래가 안 말라도... 그저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