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외모 外貌
외모가 번듯한 기와집들 → 겉보기에 번듯한 기와집
외모가 깔끔하고 단정하다 → 옷이 깔끔하고 말쑥하다
외모와는 달리 → 겉보기와는 달리 / 차림과는 달리
창백한 외모가 말해 주듯 → 파리한 얼굴이 말해 주듯
‘외모(外貌)’는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모양”을 가리킨다고 해요. ‘가죽·거죽·갗’이나 ‘겉·겉가죽·겉살’이나 ‘겉낯·겉얼굴·겉모습’으로 손봅니다. ‘겉빛·겉자락·겉차림·겉결’이나 ‘얼굴·얼굴짝·얼룩·얼핏’으로 손볼 만해요. ‘옷·옷가지·옷자락·옷빛·옷결·옷차림’이나 ‘옷나래·옷날개·옷멋·옷맵시·옷꽃·옷섶’으로 손질하지요. ‘꼴·꼴바탕·꼬라지·꼬락서니’나 ‘나타나다·드러나다·보이다·보임새·보여주다’로 손질하고, ‘너울·멋차림·빛·짝·티’로 손질합니다. ‘입다·입히다·입성’이나 ‘차림·차림결·차림길·차림꽃·차림멋·차림빛·차림새’로 손질해도 어울려요. ‘몸·몸뚱이·몸뚱어리·몸덩이·몸덩어리·몸매’나 ‘바깥·밖·바깥모습·밖모습’으로 손질하고요. ‘볼꼴·볼썽·볼품·불거지다’나 ‘생기다·생겨나다·삼기다·생김새’나 ‘허우대·허울·허울좋다’로 손질해도 됩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외모(外侮)’를 “1. 외국으로부터 받는 모욕 2. = 외욕(外辱)”으로 풀이하면서 싣지만 털어내야지 싶습니다. ㅍㄹㄴ
외모와 옷에 대해서 수다를 늘어놓는 치어리더들을 만날 때는 더 그랬다
→ 몸매와 옷으로 수다를 늘어놓는 춤꽃을 만날 때는 더 그랬다
→ 겉차림과 옷 수다를 늘어놓는 도움님을 만날 때는 더 그랬다
《바람이 들려주는 노래》(토마스 야이어/신홍민 옮김, 양철북, 2009) 153쪽
겉으로 드러난 외모만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잘못된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 겉으로 드러난 모습만을 크게 여기기 때문에 잘못 생각할 수 있습니다
→ 겉모습만을 대수롭게 여기기 때문에 잘못 알 수 있습니다
《내 몸을 찾습니다》(몸문화연구소, 양철북, 2011) 82쪽
곤충들의 외모는 자연스럽고 순진함과 고상함을 겸하고 있다
→ 벌레는 겉모습이 수수하고 착하며 멋지기까지 하다
→ 벌레는 투박하고 맑으며 멋스럽기까지 하다
《조복성 곤충기》(조복성, 뜨인돌, 2011) 89쪽
아냐, 외모뿐 아니라 성품도 남신이라구
→ 아냐, 겉뿐 아니라 마음도 하느님이라구
→ 아냐, 몸뿐 아니라 품새도 하느님이라구
→ 아냐, 얼굴뿐 아니라 빛도 하느님이라구
《은빛 숟가락 1》(오자와 마리/노미영 옮김, 삼양출판사, 2012) 20쪽
완벽주의 가정의 가장 유해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부모들이 아이들의 외모 관리와 수행 능력을 지적하는 데 그치지 않고 아이들의 감정 또한 완벽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 빈틈없는 집안은 어버이가 아이들 겉모습과 솜씨를 따질 뿐 아니라 아이들 마음도 빈틈이 없어야 한다고 여기느라 말썽이고
→ 칼같은 집은 엄마아빠가 아이들 차림새와 재주를 따질 뿐 아니라 아이들 마음도 칼같아야 한다고 여기느라 얄궂고
《부모의 자존감》(댄 뉴하스/안진희 옮김, 양철북, 2013) 63쪽
심부름도 못 갈 만큼 외모를 신경 쓰던
→ 심부름도 못 갈 만큼 얼굴에 마음쓰던
→ 심부름도 못 갈 만큼 몸에 마음쓰던
→ 심부름도 못 갈 만큼 겉모습을 살피던
《아이를 읽는다는 것》(한미화, 어크로스, 2014) 9쪽
성적이나 외모 따위로 차별하지 않는 것이다
→ 셈값이나 몸매 따위로 따돌리지 않는 일이다
→ 눈금이나 겉모습으로 따돌리지 않는 일이다
→ 값이나 생김새 따위로 따돌리지 않는 일이다
《강수돌 교수의 더불어 교육혁명》(강수돌, 삼인, 2015) 26쪽
하지만 아름다운 외모를 갖고 태어나도
→ 그렇지만 아름다운 얼굴로 태어나도
→ 그러나 아름다운 몸으로 태어나도
→ 그런데 아름다운 모습으로 태어나도
《공덕을 꽃 피우다》(광우, 스토리닷, 2017) 182쪽
이제 신경 쓰이는 건 외모가 아니라 품행이다
→ 이제 겉모습이 아니라 매무새를 바라본다
→ 이제 얼굴이 아니라 품빛에 마음을 쓴다
《무심하게 산다》(가쿠타 미쓰요/김현화 옮김, 북라이프, 2017) 75쪽
우리는 서구적인 외모를 아름답다고 생각해요
→ 우리는 하늬나라 얼굴을 아름답다고 여겨요
《나의 첫 젠더 수업》(김고연주, 창비, 2017) 48쪽
실력이 좋아도 외모부터 평가받습니다
→ 솜씨가 좋아도 겉모습부터 따집니다
→ 재주가 좋아도 생김새부터 살핍니다
→ 일을 잘 해도 얼굴부터 헤아립니다
→ 일을 잘 해도 몸매부터 봅니다
《인권연대의 청소년 인권 특강》(인권연대, 철수와영희, 2018) 240쪽
외모는 젊어도 나이는 나이니까
→ 얼굴은 젊어도 나이는 나이니까
→ 겉은 젊어도 나이는 나이니까
→ 옷은 젊어도 나이는 나이니까
《공전 노이즈의 공주 1》(토우메 케이/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19) 16쪽
아무래도 겉모습이다. 외모로 사람을 판단하지 말라라는 도의적 가치와는 정반대의 길을 가는
→ 아무래도 겉모습이다. 겉으로 사람을 보지 말라는 바른길과는 다르게 가는
→ 아무래도 겉모습이다. 몸뚱이로 사람을 재지 말라는 곧은길과는 달리 가는
→ 아무래도 겉모습이다. 차림새로 사람을 가누지지 말라는 참길과는 다른
《고독한 직업》(니시카와 미와/이지수 옮김, 마음산책, 2019) 41쪽
남의 외모를 가지고 이러쿵저러쿵하는 건 야비한 짓이야
→ 남을 겉모습으로 이러쿵저러쿵하다니 몹쓸짓이야
→ 남을 겉얼굴로 이러쿵저러쿵하다니 못된짓이야
《극채의 집 3》(빗케/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19) 80쪽
외모를 먼저 봤으면
→ 겉을 먼저 봤으면
→ 얼굴을 먼저 봤으면
《오늘도 삶을 읽어나갑니다》(이성갑, 스토어하우스, 2020) 170쪽
성실하게 생긴 외모를 갖고 있지만
→ 참하게 생긴 얼굴이지만
→ 반듯하게 생겼지만
《작은 나의 봄 2》(아츠미 타케루/오경화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4) 121쪽
꾸밈 노동과 외모지상주의로 인해 불필요하게 힘든 과정을 겪고 있습니다
→ 꾸밈일과 얼굴꽃 때문에 쓸데없이 힘듭니다
→ 꾸밈일과 얼굴 내세우기 탓에 덧없이 힘듭니다
《내 몸과 지구를 지키는 화장품 사용 설명서》(배나린·배성호, 철수와영희, 2025) 5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