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심과 열심 - 나를 지키는 글쓰기
김신회 지음 / 민음사 / 2020년 7월
평점 :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5.10.5.
다듬읽기 274
《심심과 열심》
김선희
민음사
2020.7.10.
글밥을 먹은 지 열세 해 동안 이모저모 길어올린 ‘글쓰기 길잡이’를 담은 꾸러미인 《심심과 열심》이라는데, 글쓰기로 먹고살고 싶은 뜻에다가, 글밭과 책밭에서 글쓴이를 높이 알아주기를 바라는 뜻을 나란히 담습니다. 글밥을 먹는 글일도 뭇일 가운데 하나입니다만, 왜 굳이 ‘글밥’을 먹어야 하는지 찬찬히 밝히는 줄거리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높고 좋은 데에서 나를 알아보기를 바라는” 줄거리는 그저 아리송합니다. 글쓰기를 왜 하는지요? 돈·이름·힘을 거머쥐려는 뜻으로 글쓰기를 한다면 그야말로 부질없을 텐데요. 먼저 스스로 삶을 짓는 하루를 그릴 노릇이고, 언제나 스스로 하루하루 새롭게 짓는 살림을 펼 노릇이며, 삶과 살림을 사람으로서 사랑으로 가꿀 적에 “내가 이곳에 태어난 까닭과 길”을 알아챌 수 있습니다. 이때에 ‘이야기’가 저절로 샘솟아요. 글은 이때부터 쓰면 됩니다. 언제나 삶·살림·사람·사랑·숲이라는 다섯 가지를 잇고 나면서 스스로 배워서 익히는 이야기가 깨어난 뒤에 쓰면 될 글입니다. 마냥 글부터 쓰려고 하기에 꾸밈글과 치레글이 넘칩니다. 게다가 일본말씨에 옮김말씨가 출렁입니다. ‘뭘’ 쓰려고 하기보다는 ‘뭘’ 품고서 살아야 스스로 즐거울는지 살필 노릇입니다. ‘글감’부터 찾으려 하지 말고 ‘삶’부터 찾아야지요.
ㅍㄹㄴ
《심심과 열심》(김선희, 민음사, 2020)
누군가의 질문에 이렇게 대답한 적이 있다
→ 누가 여쭙기에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 누가 물어서 이렇게 들려준 적이 있다
5쪽
에세이를 쓰면서 산 지 13년이 됐다
→ 글을 쓰면서 산 지 열세 해가 된다
→ 삶글을 쓰면서 산 지 열세 해이다
6쪽
목차를 작성하는 일은 곧 소재를 모으는 일이다
→ ㄱㄴㄷ를 쓰면 곧 글감이 모인다
→ 벼리를 짜면 곧 쓸거리가 모인다
→ 길눈을 매기면 곧 글감이 보인다
→ 앞뒤를 놓으면 곧 쓸거리를 찾는다
22쪽
초고는 빈 종이를 채우는 데 의의를 두고
→ 첫글은 빈종이를 채운다는 마음으로
→ 애벌글은 빈종이를 채우려는 뜻으로
23쪽
부연 설명이 필요할 때는 쉽고 명료한 문장으로 다시 쓴다
→ 곁들여야 하면 쉽고 단출히 다시 쓴다
→ 덧말을 달 적에는 쉽고 짧게 다시 쓴다
25쪽
첫 문장을 읽어 보면 그 문장만으로 글 한 편이 만들어질 거라 호언장담한 내가 있다
→ 첫줄을 읽어 보면 첫줄만으로 글 한 자락이 태어난다고 떵떵거린 티가 난다
→ 첫자락을 읽으면 첫자락만으로 글 하나가 나온다고 뽐내는 티가 난다
31쪽
그렇게 글쓰기가 일상 속의 작은 즐거움이 된다면
→ 그렇게 글쓰기가 이 삶에서 즐겁다면
→ 그렇게 글을 쓰는 삶이 즐겁다면
→ 그렇게 글을 쓰면서 즐겁다면
43쪽
그 일기가 책으로 만들어진 적이 있다
→ 하루글을 책으로 묶은 적이 있다
→ 하루쓰기를 책으로 낸 적이 있다
44쪽
요즘 들어 원고 노동자라는 말을 자주 접한다
→ 요즘 들어 글일꾼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 요즘 글바치라는 말을 자주 쓴다
51쪽
특히 독자를 넘어 문학계나 출판계에서 인정받고 싶었다
→ 그리고 글벗을 넘어 글밭과 책밭이 받아들이길 바랐다
→ 게다가 글이웃보다 글밭과 책밭에서 알아주길 빌었다
65쪽
가슴 깊은 곳의 이야기까지 꺼내 보여주는 것은 솔직함이 아닌 적나라함이 될 수도 있다
→ 가슴 깊은 이야기까지 보여주면 꾸밈없기보다는 발가벗을 수도 있다
→ 가슴 깊은 이야기까지 들려주면 고스란보다는 민낯일 수도 있다
71쪽
어느새 이 루틴에 습관이 붙어서 책 원고를 쓰는 기간이 되면 매일 비슷한 양을 일하고
→ 어느새 이런 버릇이 붙어서 책을 쓸 적에는 날마다 비슷하게 쓰고
→ 어느새 이렇게 길을 들여서 책을 쓸 때에는 나날이 비슷비슷 일하고
86쪽
세상에는 두 부류의 사람이 있다
→ 온누리에는 두 사람이 있다
→ 둘레에는 두 갈래가 있다
187쪽
서점 매대 위에 놓인 걸 볼 때마다 묘한 기분이 든다
→ 책집에 놓인 모습을 볼 때마다 야릇하다
→ 책집 시렁에 놓인 책을 볼 때마다 낯설다
192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