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9.14.
《한나 아렌트의 말》
한나 아렌트 글/윤철희 옮김, 마음산책, 2016.1.25.
연산동 길손집에서 새벽을 맞는다. 등허리를 잘 폈다. 100-1 버스를 타고서 〈책과 아이들〉로 건너간다. 어제에 이은 ‘말닿기 마음닿기’ 모임을 꾸린다. 마음이 있어야 말이 있고, 마음이 없으면 꾸밈소리만 있다. “마음에 없는 말”이란 “겉으로 치레하는 소리”일 뿐이니, 마음에도 없지만 삶으로도 없이 생각조차 안 하는 채 흘러나오는 소리이기에 ‘이야기’나 ‘노래’로 안 뻗는다. 마음으로 지핀 말이기에 이야기와 노래로 피어난다. 마음을 살찌우는 말이란, 이미 스스로 삶을 가꾸면서 노래한 말인 셈이다. 《한나 아렌트의 말》을 읽는다. 우리는 한나 아렌트를 어떻게 읽는 오늘일까? ‘듣기 좋은’ 말만 고르면서 ‘나를 살피는 도움말’은 영 ‘듣그럽다’고 꺼리는 나라이지 않나? 피와 살이 되는 말과 밥과 바람과 볕은 마냥 달콤하지 않다. 쓰고 시고 맵고 짠 숱한 맛이 어울리기에 ‘나를 살리는 말·밥·바람·볕’인걸. 갈수록 온나라가 “쓰면 뱉고 달면 삼킨다”로 기울고 흔들린다. “쓰니 삼키고 달면 놓는다”라는 배움길을 알아보는 이웃을 그린다. 모든 다 다른 낟알과 잎과 남새와 열매가 다 다르게 푸른물인 줄 알아채는 동무를 그린다. 등짐을 묵직하게 짊어지고 걸으면 땀방울이 단내 같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