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8.29.


《작으면 뭐가 어때서!》

 마야 마이어스 글·그림/염혜원 옮김, 비룡소, 2023.1.5.



시골은 지난이레 사이에 참깨를 말리고 터는 철이었다. 그런데 올해는 유난히 ‘깨내음’이 안 나더라. 갈수록 깨내음이 줄어드는데, 처음 시골에 깃들어 열 해 즈음 보내는 동안에는 참깨꽃이 피든, 참깨씨가 굵어가든, 참깨대를 길바닥에 말리든, 참깨내음이 온마을에 번졌다. 올해는 들길을 걷거나 두바퀴로 달려도 나락내음이 옅다. 왜 그럴까 하고 돌아보면, 이 시골에 거미·풀벌레·나비·제비(철새)·참새(텃새)가 아주 눈에 띄도록 줄었다. 온갖 숨결이 어우러지던 무렵에는 깨내음도 나락내음도 유채내음도 마늘내음도 곤드레내음도 쑥내음도 도라지내음도 흐드러졌지만, 풀죽임물과 죽음거름(화학비료)이 자꾸자꾸 늘면서 흙내음도 시골내음도 사라진다. 《작으면 뭐가 어때서!》를 되새긴다. 작으면 작고, 크면 크다. 덩치이든 키이든 대수롭지 않다. 주머니에 깃든 돈이건, 드날리는 이름값이건 그저 아무것이 아니다. 우리가 볼 대목은 마음이요, 이 마음을 돌보는 넋이다. 우리는 저마다 다른 넋인데 서로 다른 몸(순이돌이)을 입더라도 숨빛에는 ‘둘을 하나’로 품고서 함께 있는 길을 바라보아야지 싶다. 작은순이는 작은돌이를 알아보고서 다가선다. 작은돌이도 작은순이를 알아채고서 마주본다. 둘은 겉몸이 작아 보일 수 있되, 마음과 넋과 숨빛은 하늘과 바다만 하다.


#NotLittle #MayaMyers #HyewonYum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